“나라 구하다 죽었냐” 잇단 막말…유족 “2차 가해”

입력 2022.12.13 (19:07) 수정 2022.12.13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 유족들을 향한 여당 인사들의 막말과 실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 시의원은 급기야 '자식 팔아 한 몫 챙기려 한다'는 입에 담기 힘든 주장까지 했는데요.

유족들은 2차 가해를 멈춰달라며 국민의힘에 공식 면담을 요청했습니다.

이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비례대표인 김미나 경남 창원 시의원의 SNS 게시물입니다.

이태원 참사 유족을 향해 "나라 구하다 죽었냐", "자식 팔아 한 몫 챙기자는 수작'이라는 거친 표현을 연이어 올렸습니다.

민주당을 겨냥해선 "노란 리본 우려먹고 이제 깜장 리본 달고 얼마나 우려먹을까"라고 썼습니다.

파문이 커지자 김 의원은 계정을 비공개로 돌리고 공식 사과했지만, 그 과정에서 또 다른 논란을 불렀습니다.

[김미나/경남 창원시의원/국민의힘 : "유가족분들께 고개 숙여 깊이 사과드리며 깊이 반성하겠습니다. 제가 공인인 줄을 깜빡했네요. 제가 공인인 걸 인지를 못 하고 그렇게 한 발언이라서 죄송하다고요."]

여권 인사들의 '2차 가해성' 발언, 이번만이 아닙니다.

참사 원인이 '압사'가 아닌 '마약'이나 '독극물'일 수 있다고 주장했던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은 본회의장 단상에 올라 근거 없는 의혹을 주장했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의원/지난 11일 : "참사는 소위 말하는 해밀턴호텔 옆에 골목만 있었던 게 아니에요. 현장에서 직선거리로 무려 300 미터나 떨어진 곳에도 시신이 있었다고 합니다."]

앞서 같은 당 권성동 의원도 유족 협의회 출범 소식에 "세월호처럼 정쟁으로 소비되다 시민단체의 횡령에 악용될 수 있다"고 해 거센 비판을 받았습니다.

유족들은 2차 가해를 차단해야 할 여당이 가해에 앞장선다며 지도부와의 면담을 요청했습니다.

[이정민/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부대표 : "'세월호의 길을 가지 말라'거나 이태원 유가족들의 슬픔과 아픔을 '정쟁'이라고 표현하는 것에 대해 깊은 분노를 금치 못하겠습니다."]

민주당과 정의당도 "국민의힘은 유족 2차 가해를 멈추고, 공식 사과하라"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라 구하다 죽었냐” 잇단 막말…유족 “2차 가해”
    • 입력 2022-12-13 19:07:35
    • 수정2022-12-13 22:04:06
    뉴스 7
[앵커]

이태원 참사 유족들을 향한 여당 인사들의 막말과 실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한 시의원은 급기야 '자식 팔아 한 몫 챙기려 한다'는 입에 담기 힘든 주장까지 했는데요.

유족들은 2차 가해를 멈춰달라며 국민의힘에 공식 면담을 요청했습니다.

이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 비례대표인 김미나 경남 창원 시의원의 SNS 게시물입니다.

이태원 참사 유족을 향해 "나라 구하다 죽었냐", "자식 팔아 한 몫 챙기자는 수작'이라는 거친 표현을 연이어 올렸습니다.

민주당을 겨냥해선 "노란 리본 우려먹고 이제 깜장 리본 달고 얼마나 우려먹을까"라고 썼습니다.

파문이 커지자 김 의원은 계정을 비공개로 돌리고 공식 사과했지만, 그 과정에서 또 다른 논란을 불렀습니다.

[김미나/경남 창원시의원/국민의힘 : "유가족분들께 고개 숙여 깊이 사과드리며 깊이 반성하겠습니다. 제가 공인인 줄을 깜빡했네요. 제가 공인인 걸 인지를 못 하고 그렇게 한 발언이라서 죄송하다고요."]

여권 인사들의 '2차 가해성' 발언, 이번만이 아닙니다.

참사 원인이 '압사'가 아닌 '마약'이나 '독극물'일 수 있다고 주장했던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은 본회의장 단상에 올라 근거 없는 의혹을 주장했습니다.

[송언석/국민의힘 의원/지난 11일 : "참사는 소위 말하는 해밀턴호텔 옆에 골목만 있었던 게 아니에요. 현장에서 직선거리로 무려 300 미터나 떨어진 곳에도 시신이 있었다고 합니다."]

앞서 같은 당 권성동 의원도 유족 협의회 출범 소식에 "세월호처럼 정쟁으로 소비되다 시민단체의 횡령에 악용될 수 있다"고 해 거센 비판을 받았습니다.

유족들은 2차 가해를 차단해야 할 여당이 가해에 앞장선다며 지도부와의 면담을 요청했습니다.

[이정민/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부대표 : "'세월호의 길을 가지 말라'거나 이태원 유가족들의 슬픔과 아픔을 '정쟁'이라고 표현하는 것에 대해 깊은 분노를 금치 못하겠습니다."]

민주당과 정의당도 "국민의힘은 유족 2차 가해를 멈추고, 공식 사과하라"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