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좀처럼 보기 힘든 제비가 집집마다 둥지를 튼 마을이 있습니다.
아예 흥부마을이라고 불릴 정도입니다.
김명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새끼제비들이 배가 고프다며 연신 입을 벌려대고 어미제비를 기다립니다.
새끼를 생각하는 모정이 애처롭기만 합니다.
옆 둥지에는 어미 뱃속에서 갓 나온 새하얀 알도 보입니다.
수십년째 해마다 제비들이 찾아온다는 이 식당에는 올해도 제비 10가족이 둥지를 틀었습니다.
이제는 제비들이 찾아오지 않으면 섭섭할 만큼 정이 들었습니다.
⊙최미자(식당 주인): 밖에 나갔다가 다시 이 집을 찾아오거든요.
그 시간에는 진짜 제비가 많이 둥지를 찾아 들어오기 때문에...
⊙기자: 제비들은 먹이를 찾아 수만리길을 날아옵니다.
⊙박희천(경북대 생물학과 교수): 중간에 습지가 굉장히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제비들의 먹이가 되는 작은 곤충, 수서 곤충 이런 것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기자: 농촌도 갈수록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흥부마을이라 불리는 이 마을은 아직까지 제비들의 천국입니다.
KBS뉴스 김명주입니다.
아예 흥부마을이라고 불릴 정도입니다.
김명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새끼제비들이 배가 고프다며 연신 입을 벌려대고 어미제비를 기다립니다.
새끼를 생각하는 모정이 애처롭기만 합니다.
옆 둥지에는 어미 뱃속에서 갓 나온 새하얀 알도 보입니다.
수십년째 해마다 제비들이 찾아온다는 이 식당에는 올해도 제비 10가족이 둥지를 틀었습니다.
이제는 제비들이 찾아오지 않으면 섭섭할 만큼 정이 들었습니다.
⊙최미자(식당 주인): 밖에 나갔다가 다시 이 집을 찾아오거든요.
그 시간에는 진짜 제비가 많이 둥지를 찾아 들어오기 때문에...
⊙기자: 제비들은 먹이를 찾아 수만리길을 날아옵니다.
⊙박희천(경북대 생물학과 교수): 중간에 습지가 굉장히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제비들의 먹이가 되는 작은 곤충, 수서 곤충 이런 것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기자: 농촌도 갈수록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흥부마을이라 불리는 이 마을은 아직까지 제비들의 천국입니다.
KBS뉴스 김명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마을은 '흥부 마을'
-
- 입력 2004-05-20 21:27:29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좀처럼 보기 힘든 제비가 집집마다 둥지를 튼 마을이 있습니다.
아예 흥부마을이라고 불릴 정도입니다.
김명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새끼제비들이 배가 고프다며 연신 입을 벌려대고 어미제비를 기다립니다.
새끼를 생각하는 모정이 애처롭기만 합니다.
옆 둥지에는 어미 뱃속에서 갓 나온 새하얀 알도 보입니다.
수십년째 해마다 제비들이 찾아온다는 이 식당에는 올해도 제비 10가족이 둥지를 틀었습니다.
이제는 제비들이 찾아오지 않으면 섭섭할 만큼 정이 들었습니다.
⊙최미자(식당 주인): 밖에 나갔다가 다시 이 집을 찾아오거든요.
그 시간에는 진짜 제비가 많이 둥지를 찾아 들어오기 때문에...
⊙기자: 제비들은 먹이를 찾아 수만리길을 날아옵니다.
⊙박희천(경북대 생물학과 교수): 중간에 습지가 굉장히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제비들의 먹이가 되는 작은 곤충, 수서 곤충 이런 것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기자: 농촌도 갈수록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흥부마을이라 불리는 이 마을은 아직까지 제비들의 천국입니다.
KBS뉴스 김명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