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속 정기권' 대혼란 불 보듯
입력 2004.07.13 (22:02)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시가 응급처방으로 내놓은 지하철 정기권이 반쪽짜리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서 철도청 경기도와 사전협의없이 급하게 밀어붙인 게 잘못이었습니다.
김주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용병(서울시 방화동): 690원 하던 게 하루아침에 1300원으로 대략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기자: 이 같은 요금인상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서울시가 모레부터 발급하기로 한 지하철 정기권은 3만 5200원으로 한 달 간 지하철 이용이 가능합니다.
⊙김덕영(서울시 도시철도 팀장): 거리비례제를 저희가 포기하는 게 아니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정기권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기자: 그러나 서울시의 지하철정기권 도입은 교통개편만큼이나 졸속으로 진행됐습니다.
수도권 전철망의 한 축을 맞고 있는 철도청과는 아무런 사전협의가 없었고 결국 철도청은 국철구간에서의 정기권 사용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박태현(철도청 광역철도 영업과장): 충분한 협의를 해서 모든 것이 결정이 돼야 되는데 서울시가 단독적으로 발표를 해서 시행하겠다는 것은 이것은 법령위반이다...
⊙기자: 정기권이 도입돼도 정작 장거리통근으로 요금부담이 훨씬 커진 경기도민들에게는 혜택이 전혀 돌아가지 않습니다.
⊙오윤석(경기도 수원시): 수도권 인천에서 이쪽 경기도도 해 주어야 되는데 이게 안 되니까 그게 좀 가장 불만이죠.
⊙기자: 경기도 구간은 물론 서울지하철과 뒤섞여 있는 서울시내 철도철관할 40개 역사에서도 정기권을 쓸 수 없게 돼 반쪽짜리 정기권이 되는 것은 물론 일대 혼란이 불가피합니다.
또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정기권이 있어도 버스요금은 별도로 내야 하기 때문에 통합요금제 도입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김혜민(서울시 가락동): 할인혜택도 못 받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다는 게 번거롭기도 하고 그렇게 필요할 것 같지는 않은데요.
⊙기자: 시민단체들은 수도권 전체의 광역교통정비를 위한 유관기관끼리의 협력이 간과됐다고 비난합니다.
⊙이민규(경실련 시민사업팀 간사): 철도청과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충분히 협의를 한 이후에 완전히 준비를 마친 이후에 정기권 도입을 해도 늦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서울교통체계 개편과 관련한 혼란과 불편에 대해 서울시민 50여 명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냈고 감사원도 이에 대한 특별감사를 검토중이어서 이번 사태가 어떻게 결말이 날지 주목됩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서 철도청 경기도와 사전협의없이 급하게 밀어붙인 게 잘못이었습니다.
김주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용병(서울시 방화동): 690원 하던 게 하루아침에 1300원으로 대략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기자: 이 같은 요금인상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서울시가 모레부터 발급하기로 한 지하철 정기권은 3만 5200원으로 한 달 간 지하철 이용이 가능합니다.
⊙김덕영(서울시 도시철도 팀장): 거리비례제를 저희가 포기하는 게 아니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정기권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기자: 그러나 서울시의 지하철정기권 도입은 교통개편만큼이나 졸속으로 진행됐습니다.
수도권 전철망의 한 축을 맞고 있는 철도청과는 아무런 사전협의가 없었고 결국 철도청은 국철구간에서의 정기권 사용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박태현(철도청 광역철도 영업과장): 충분한 협의를 해서 모든 것이 결정이 돼야 되는데 서울시가 단독적으로 발표를 해서 시행하겠다는 것은 이것은 법령위반이다...
⊙기자: 정기권이 도입돼도 정작 장거리통근으로 요금부담이 훨씬 커진 경기도민들에게는 혜택이 전혀 돌아가지 않습니다.
⊙오윤석(경기도 수원시): 수도권 인천에서 이쪽 경기도도 해 주어야 되는데 이게 안 되니까 그게 좀 가장 불만이죠.
⊙기자: 경기도 구간은 물론 서울지하철과 뒤섞여 있는 서울시내 철도철관할 40개 역사에서도 정기권을 쓸 수 없게 돼 반쪽짜리 정기권이 되는 것은 물론 일대 혼란이 불가피합니다.
또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정기권이 있어도 버스요금은 별도로 내야 하기 때문에 통합요금제 도입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김혜민(서울시 가락동): 할인혜택도 못 받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다는 게 번거롭기도 하고 그렇게 필요할 것 같지는 않은데요.
⊙기자: 시민단체들은 수도권 전체의 광역교통정비를 위한 유관기관끼리의 협력이 간과됐다고 비난합니다.
⊙이민규(경실련 시민사업팀 간사): 철도청과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충분히 협의를 한 이후에 완전히 준비를 마친 이후에 정기권 도입을 해도 늦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서울교통체계 개편과 관련한 혼란과 불편에 대해 서울시민 50여 명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냈고 감사원도 이에 대한 특별감사를 검토중이어서 이번 사태가 어떻게 결말이 날지 주목됩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졸속 정기권' 대혼란 불 보듯
-
- 입력 2004-07-13 22:02:04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서울시가 응급처방으로 내놓은 지하철 정기권이 반쪽짜리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서 철도청 경기도와 사전협의없이 급하게 밀어붙인 게 잘못이었습니다.
김주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용병(서울시 방화동): 690원 하던 게 하루아침에 1300원으로 대략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기자: 이 같은 요금인상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서울시가 모레부터 발급하기로 한 지하철 정기권은 3만 5200원으로 한 달 간 지하철 이용이 가능합니다.
⊙김덕영(서울시 도시철도 팀장): 거리비례제를 저희가 포기하는 게 아니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정기권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기자: 그러나 서울시의 지하철정기권 도입은 교통개편만큼이나 졸속으로 진행됐습니다.
수도권 전철망의 한 축을 맞고 있는 철도청과는 아무런 사전협의가 없었고 결국 철도청은 국철구간에서의 정기권 사용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박태현(철도청 광역철도 영업과장): 충분한 협의를 해서 모든 것이 결정이 돼야 되는데 서울시가 단독적으로 발표를 해서 시행하겠다는 것은 이것은 법령위반이다...
⊙기자: 정기권이 도입돼도 정작 장거리통근으로 요금부담이 훨씬 커진 경기도민들에게는 혜택이 전혀 돌아가지 않습니다.
⊙오윤석(경기도 수원시): 수도권 인천에서 이쪽 경기도도 해 주어야 되는데 이게 안 되니까 그게 좀 가장 불만이죠.
⊙기자: 경기도 구간은 물론 서울지하철과 뒤섞여 있는 서울시내 철도철관할 40개 역사에서도 정기권을 쓸 수 없게 돼 반쪽짜리 정기권이 되는 것은 물론 일대 혼란이 불가피합니다.
또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정기권이 있어도 버스요금은 별도로 내야 하기 때문에 통합요금제 도입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김혜민(서울시 가락동): 할인혜택도 못 받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다는 게 번거롭기도 하고 그렇게 필요할 것 같지는 않은데요.
⊙기자: 시민단체들은 수도권 전체의 광역교통정비를 위한 유관기관끼리의 협력이 간과됐다고 비난합니다.
⊙이민규(경실련 시민사업팀 간사): 철도청과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충분히 협의를 한 이후에 완전히 준비를 마친 이후에 정기권 도입을 해도 늦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서울교통체계 개편과 관련한 혼란과 불편에 대해 서울시민 50여 명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냈고 감사원도 이에 대한 특별감사를 검토중이어서 이번 사태가 어떻게 결말이 날지 주목됩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