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속 정기권' 대혼란 불 보듯

입력 2004.07.13 (22:02)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시가 응급처방으로 내놓은 지하철 정기권이 반쪽짜리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서 철도청 경기도와 사전협의없이 급하게 밀어붙인 게 잘못이었습니다.
김주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용병(서울시 방화동): 690원 하던 게 하루아침에 1300원으로 대략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기자: 이 같은 요금인상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서울시가 모레부터 발급하기로 한 지하철 정기권은 3만 5200원으로 한 달 간 지하철 이용이 가능합니다.
⊙김덕영(서울시 도시철도 팀장): 거리비례제를 저희가 포기하는 게 아니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정기권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기자: 그러나 서울시의 지하철정기권 도입은 교통개편만큼이나 졸속으로 진행됐습니다.
수도권 전철망의 한 축을 맞고 있는 철도청과는 아무런 사전협의가 없었고 결국 철도청은 국철구간에서의 정기권 사용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박태현(철도청 광역철도 영업과장): 충분한 협의를 해서 모든 것이 결정이 돼야 되는데 서울시가 단독적으로 발표를 해서 시행하겠다는 것은 이것은 법령위반이다...
⊙기자: 정기권이 도입돼도 정작 장거리통근으로 요금부담이 훨씬 커진 경기도민들에게는 혜택이 전혀 돌아가지 않습니다.
⊙오윤석(경기도 수원시): 수도권 인천에서 이쪽 경기도도 해 주어야 되는데 이게 안 되니까 그게 좀 가장 불만이죠.
⊙기자: 경기도 구간은 물론 서울지하철과 뒤섞여 있는 서울시내 철도철관할 40개 역사에서도 정기권을 쓸 수 없게 돼 반쪽짜리 정기권이 되는 것은 물론 일대 혼란이 불가피합니다.
또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정기권이 있어도 버스요금은 별도로 내야 하기 때문에 통합요금제 도입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김혜민(서울시 가락동): 할인혜택도 못 받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다는 게 번거롭기도 하고 그렇게 필요할 것 같지는 않은데요.
⊙기자: 시민단체들은 수도권 전체의 광역교통정비를 위한 유관기관끼리의 협력이 간과됐다고 비난합니다.
⊙이민규(경실련 시민사업팀 간사): 철도청과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충분히 협의를 한 이후에 완전히 준비를 마친 이후에 정기권 도입을 해도 늦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서울교통체계 개편과 관련한 혼란과 불편에 대해 서울시민 50여 명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냈고 감사원도 이에 대한 특별감사를 검토중이어서 이번 사태가 어떻게 결말이 날지 주목됩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졸속 정기권' 대혼란 불 보듯
    • 입력 2004-07-13 22:02:04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서울시가 응급처방으로 내놓은 지하철 정기권이 반쪽짜리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요금 인상에 대한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서 철도청 경기도와 사전협의없이 급하게 밀어붙인 게 잘못이었습니다. 김주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용병(서울시 방화동): 690원 하던 게 하루아침에 1300원으로 대략 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기자: 이 같은 요금인상에 대한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서울시가 모레부터 발급하기로 한 지하철 정기권은 3만 5200원으로 한 달 간 지하철 이용이 가능합니다. ⊙김덕영(서울시 도시철도 팀장): 거리비례제를 저희가 포기하는 게 아니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 정기권을 도입하는 것입니다. ⊙기자: 그러나 서울시의 지하철정기권 도입은 교통개편만큼이나 졸속으로 진행됐습니다. 수도권 전철망의 한 축을 맞고 있는 철도청과는 아무런 사전협의가 없었고 결국 철도청은 국철구간에서의 정기권 사용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박태현(철도청 광역철도 영업과장): 충분한 협의를 해서 모든 것이 결정이 돼야 되는데 서울시가 단독적으로 발표를 해서 시행하겠다는 것은 이것은 법령위반이다... ⊙기자: 정기권이 도입돼도 정작 장거리통근으로 요금부담이 훨씬 커진 경기도민들에게는 혜택이 전혀 돌아가지 않습니다. ⊙오윤석(경기도 수원시): 수도권 인천에서 이쪽 경기도도 해 주어야 되는데 이게 안 되니까 그게 좀 가장 불만이죠. ⊙기자: 경기도 구간은 물론 서울지하철과 뒤섞여 있는 서울시내 철도철관할 40개 역사에서도 정기권을 쓸 수 없게 돼 반쪽짜리 정기권이 되는 것은 물론 일대 혼란이 불가피합니다. 또 버스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정기권이 있어도 버스요금은 별도로 내야 하기 때문에 통합요금제 도입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김혜민(서울시 가락동): 할인혜택도 못 받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다는 게 번거롭기도 하고 그렇게 필요할 것 같지는 않은데요. ⊙기자: 시민단체들은 수도권 전체의 광역교통정비를 위한 유관기관끼리의 협력이 간과됐다고 비난합니다. ⊙이민규(경실련 시민사업팀 간사): 철도청과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충분히 협의를 한 이후에 완전히 준비를 마친 이후에 정기권 도입을 해도 늦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서울교통체계 개편과 관련한 혼란과 불편에 대해 서울시민 50여 명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냈고 감사원도 이에 대한 특별감사를 검토중이어서 이번 사태가 어떻게 결말이 날지 주목됩니다. KBS뉴스 김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