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시작…“표준화 돼야 효과”

입력 2023.01.03 (06:43) 수정 2023.01.03 (13: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반려동물이 버려지는 중요한 이유가 예상보다 많이 드는 비용, 또 아프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죠.

여기엔 비싼 동물병원 진료비를 빼놓을 수 없을 겁니다.

그래서 진료비를 공개하고 표준화하는 안이 추진되고는 있지만 효과는 의문입니다.

계속해서 장혁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진료비를 자발적으로 공개한 동물 병원입니다.

["기본 진료비 1만 원, 불소 처치하는 거 3만 원..."]

예방접종부터, 진찰비, 입원, 수술비까지 거의 모든 진료비를 반려동물 양육자에게 알립니다.

[장봉환/'진료비 공개' 동물 병원 원장 : "보호자분들이 미리 진료에 대한 내용이나 비용을 알고 있어야지 준비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니까..."]

이렇게 진료비를 공개하는 병원은 10% 남짓, 이번주부터는 수의사 2인 이상 병원은 진료비를 반드시 게시해야 합니다.

1년 뒤엔 모든 병원으로 확대됩니다.

양육자들이 진료비를 비교할 수 있게 되면 최대 11배까지 차이가 나는 진료비가 낮아질 수 있을 거라는 계산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표준화입니다.

같은 증상이라도 병원마다 검사 항목과 수술 방식이 달라 공개된 진료비를 단순 비교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수의업계 관계자 : "개, 고양이, 토끼, 기니피그... 이런 수십 종의 동물들을 치료하잖아요? 개 한 종만 해도 1kg 미만의 진짜 작은 애들부터 50kg 넘는 큰 애들도 있고..."]

정부는 일단 주요 진료 항목 100개를 골라 2024년까지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표준화가 이뤄지면 그나마 진료비 부담을 덜어줄 '펫보험' 상품도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심준원/펫핀스 대표 : "일본은 지금 한 (가입률이) 한 9~10%. 보험시장만 7,000억 원 이상 시장이 형성되어 있고요. (전제 조건은) 질병 코드랑 항목이 표준화가 완벽하게 돼야 하는 거죠."]

정부는 더 나아가 진료비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수가제'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지만 실제 도입까진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물병원 진료비 공개 시작…“표준화 돼야 효과”
    • 입력 2023-01-03 06:43:40
    • 수정2023-01-03 13:08:03
    뉴스광장 1부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반려동물이 버려지는 중요한 이유가 예상보다 많이 드는 비용, 또 아프거나 사고를 당한 경우죠.

여기엔 비싼 동물병원 진료비를 빼놓을 수 없을 겁니다.

그래서 진료비를 공개하고 표준화하는 안이 추진되고는 있지만 효과는 의문입니다.

계속해서 장혁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진료비를 자발적으로 공개한 동물 병원입니다.

["기본 진료비 1만 원, 불소 처치하는 거 3만 원..."]

예방접종부터, 진찰비, 입원, 수술비까지 거의 모든 진료비를 반려동물 양육자에게 알립니다.

[장봉환/'진료비 공개' 동물 병원 원장 : "보호자분들이 미리 진료에 대한 내용이나 비용을 알고 있어야지 준비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니까..."]

이렇게 진료비를 공개하는 병원은 10% 남짓, 이번주부터는 수의사 2인 이상 병원은 진료비를 반드시 게시해야 합니다.

1년 뒤엔 모든 병원으로 확대됩니다.

양육자들이 진료비를 비교할 수 있게 되면 최대 11배까지 차이가 나는 진료비가 낮아질 수 있을 거라는 계산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표준화입니다.

같은 증상이라도 병원마다 검사 항목과 수술 방식이 달라 공개된 진료비를 단순 비교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수의업계 관계자 : "개, 고양이, 토끼, 기니피그... 이런 수십 종의 동물들을 치료하잖아요? 개 한 종만 해도 1kg 미만의 진짜 작은 애들부터 50kg 넘는 큰 애들도 있고..."]

정부는 일단 주요 진료 항목 100개를 골라 2024년까지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표준화가 이뤄지면 그나마 진료비 부담을 덜어줄 '펫보험' 상품도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심준원/펫핀스 대표 : "일본은 지금 한 (가입률이) 한 9~10%. 보험시장만 7,000억 원 이상 시장이 형성되어 있고요. (전제 조건은) 질병 코드랑 항목이 표준화가 완벽하게 돼야 하는 거죠."]

정부는 더 나아가 진료비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수가제'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지만 실제 도입까진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장혁진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