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일로 각 대학들은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묘수를 찾느라 더욱 고민에 빠지게 됐습니다.
계속해서 이영진 기자입니다.
⊙기자: 학교간 차등을 두는 방법으로 학생을 뽑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각 대학들은 어떻게 하면 공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학생을 뽑을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습니다.
⊙박동숙 (이화여대 입학처장): 보다 합리적이고 공정한 전형을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정상적인 평가를 통한 보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기자: 특히 2008학년도부터 내신 비중을 크게 높이는 방향으로 입시제도가 바뀔 예정이어서 대학들은 더욱더 고민입니다.
⊙정기언(교육인적자원부 차관보): 학생부 성적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 장학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대학으로 하여금 학생부 성적 반영 비율을 제고하도록 제도적으로 유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기자: 하지만 아직까지 내신의 신뢰성과 변별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거의 없어서 대학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학교간 격차를 완전히 무시할 수 없지만 각 대학의 재량권이 많이 부여된 것은 아닙니다.
⊙이재강(교육혁신위원회 상근위원): 앞으로는 이 변별을 점수 이외에 학생의 가치나 잠재력 이런 것들을 발굴해내는 구체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기자: 이와 관련해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장은 신입생을 내신과 서류평가, 본고사를 치르는 방식으로 각각 3분의 1씩 선발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본고사도 절대 안 된다는 입장이어서 공정하면서도 우수한 학생을 뽑을 수 있는 묘책을 찾는 데는 좀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계속해서 이영진 기자입니다.
⊙기자: 학교간 차등을 두는 방법으로 학생을 뽑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각 대학들은 어떻게 하면 공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학생을 뽑을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습니다.
⊙박동숙 (이화여대 입학처장): 보다 합리적이고 공정한 전형을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정상적인 평가를 통한 보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기자: 특히 2008학년도부터 내신 비중을 크게 높이는 방향으로 입시제도가 바뀔 예정이어서 대학들은 더욱더 고민입니다.
⊙정기언(교육인적자원부 차관보): 학생부 성적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 장학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대학으로 하여금 학생부 성적 반영 비율을 제고하도록 제도적으로 유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기자: 하지만 아직까지 내신의 신뢰성과 변별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거의 없어서 대학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학교간 격차를 완전히 무시할 수 없지만 각 대학의 재량권이 많이 부여된 것은 아닙니다.
⊙이재강(교육혁신위원회 상근위원): 앞으로는 이 변별을 점수 이외에 학생의 가치나 잠재력 이런 것들을 발굴해내는 구체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기자: 이와 관련해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장은 신입생을 내신과 서류평가, 본고사를 치르는 방식으로 각각 3분의 1씩 선발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본고사도 절대 안 된다는 입장이어서 공정하면서도 우수한 학생을 뽑을 수 있는 묘책을 찾는 데는 좀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학력 공정 평가 비상
-
- 입력 2004-10-08 21:02:28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이번 일로 각 대학들은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묘수를 찾느라 더욱 고민에 빠지게 됐습니다.
계속해서 이영진 기자입니다.
⊙기자: 학교간 차등을 두는 방법으로 학생을 뽑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각 대학들은 어떻게 하면 공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학생을 뽑을 수 있을지 고심하고 있습니다.
⊙박동숙 (이화여대 입학처장): 보다 합리적이고 공정한 전형을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정상적인 평가를 통한 보완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기자: 특히 2008학년도부터 내신 비중을 크게 높이는 방향으로 입시제도가 바뀔 예정이어서 대학들은 더욱더 고민입니다.
⊙정기언(교육인적자원부 차관보): 학생부 성적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서 장학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대학으로 하여금 학생부 성적 반영 비율을 제고하도록 제도적으로 유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기자: 하지만 아직까지 내신의 신뢰성과 변별력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이 거의 없어서 대학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학교간 격차를 완전히 무시할 수 없지만 각 대학의 재량권이 많이 부여된 것은 아닙니다.
⊙이재강(교육혁신위원회 상근위원): 앞으로는 이 변별을 점수 이외에 학생의 가치나 잠재력 이런 것들을 발굴해내는 구체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기자: 이와 관련해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장은 신입생을 내신과 서류평가, 본고사를 치르는 방식으로 각각 3분의 1씩 선발하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본고사도 절대 안 된다는 입장이어서 공정하면서도 우수한 학생을 뽑을 수 있는 묘책을 찾는 데는 좀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