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발표에도 석연치 않은 점
입력 2004.10.26 (21:5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금은 군 작전이 해제돼 주민들이 안도하고 있지만 월북자 소행 같다는 군당국의 발표에는 몇 가지 석연치 않은 점이 있습니다.
김도엽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적 침투 예상 대비 가장 높은 경계수위인 진돗개 하나가 발령된 시간은 새벽 3시 45분.
이때부터 철원, 연천 등 북부지역을 지나는 모든 차량에 대한 삼엄한 검문검색이 시작됐습니다.
검문소에는 장갑차와 대전차화기까지 배치됐고 쉴새없이 군 병력을 실은 트럭들이 이동하는 등 준전시상태를 방불케 할 만큼 군의 반응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날카로웠습니다.
⊙강원도 철원군 주민: 하여튼 이런 일은 없었어요.
농사꾼들을 한 번도 안 들여보낸 적이 없었어요.
이런 일은 처음입니다.
⊙기자: 관할 사단뿐 아니라 군단 예하병력 전체가 비상에 돌입한 경계태세는 하지만 저녁 6시 반을 기해 민간인이 월북한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내려지면서 14시간여의 한바탕 소동으로 그치고 말았습니다.
또한 민간인이 비무장지대 철책선을 뚫고 월북했다는 군의 설명은 여전히 석연치 않은 점이 많습니다.
과연 민간인이 철책선을 3곳이나 감쪽같이 뚫고 2km에 이르는 지뢰밭을 무사히 통과해 북쪽으로 넘어갈 수 있냐는 의문이 남기 때문입니다.
군의 발표대로 민간인 1명이 월북했다 하더라도 그만큼 최전방의 철통경계가 결과적으로 우롱당한 셈입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김도엽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적 침투 예상 대비 가장 높은 경계수위인 진돗개 하나가 발령된 시간은 새벽 3시 45분.
이때부터 철원, 연천 등 북부지역을 지나는 모든 차량에 대한 삼엄한 검문검색이 시작됐습니다.
검문소에는 장갑차와 대전차화기까지 배치됐고 쉴새없이 군 병력을 실은 트럭들이 이동하는 등 준전시상태를 방불케 할 만큼 군의 반응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날카로웠습니다.
⊙강원도 철원군 주민: 하여튼 이런 일은 없었어요.
농사꾼들을 한 번도 안 들여보낸 적이 없었어요.
이런 일은 처음입니다.
⊙기자: 관할 사단뿐 아니라 군단 예하병력 전체가 비상에 돌입한 경계태세는 하지만 저녁 6시 반을 기해 민간인이 월북한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내려지면서 14시간여의 한바탕 소동으로 그치고 말았습니다.
또한 민간인이 비무장지대 철책선을 뚫고 월북했다는 군의 설명은 여전히 석연치 않은 점이 많습니다.
과연 민간인이 철책선을 3곳이나 감쪽같이 뚫고 2km에 이르는 지뢰밭을 무사히 통과해 북쪽으로 넘어갈 수 있냐는 의문이 남기 때문입니다.
군의 발표대로 민간인 1명이 월북했다 하더라도 그만큼 최전방의 철통경계가 결과적으로 우롱당한 셈입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軍 발표에도 석연치 않은 점
-
- 입력 2004-10-26 21:01:5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지금은 군 작전이 해제돼 주민들이 안도하고 있지만 월북자 소행 같다는 군당국의 발표에는 몇 가지 석연치 않은 점이 있습니다.
김도엽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적 침투 예상 대비 가장 높은 경계수위인 진돗개 하나가 발령된 시간은 새벽 3시 45분.
이때부터 철원, 연천 등 북부지역을 지나는 모든 차량에 대한 삼엄한 검문검색이 시작됐습니다.
검문소에는 장갑차와 대전차화기까지 배치됐고 쉴새없이 군 병력을 실은 트럭들이 이동하는 등 준전시상태를 방불케 할 만큼 군의 반응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날카로웠습니다.
⊙강원도 철원군 주민: 하여튼 이런 일은 없었어요.
농사꾼들을 한 번도 안 들여보낸 적이 없었어요.
이런 일은 처음입니다.
⊙기자: 관할 사단뿐 아니라 군단 예하병력 전체가 비상에 돌입한 경계태세는 하지만 저녁 6시 반을 기해 민간인이 월북한 것으로 잠정 결론이 내려지면서 14시간여의 한바탕 소동으로 그치고 말았습니다.
또한 민간인이 비무장지대 철책선을 뚫고 월북했다는 군의 설명은 여전히 석연치 않은 점이 많습니다.
과연 민간인이 철책선을 3곳이나 감쪽같이 뚫고 2km에 이르는 지뢰밭을 무사히 통과해 북쪽으로 넘어갈 수 있냐는 의문이 남기 때문입니다.
군의 발표대로 민간인 1명이 월북했다 하더라도 그만큼 최전방의 철통경계가 결과적으로 우롱당한 셈입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