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특기자 부정 입학 근절해야
입력 2004.10.27 (21:59)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대로 대학입학 부정 비리는 무엇보다 축구 선수와 학부모들의 잘못된 사고와 관행에서 비롯됐습니다.
박종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잊을 만하면 되풀이되는 특기자 비리는 무엇보다 학부모의 그릇된 사고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좋은 대학을 나와야 한다는 잘못된 상식과 관행이 검은 거래의 유혹에 빠져들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입학비리 역시 지방대학은 거의 없고 소위 서울에 있는 명문대학들이 포함돼 이런 관행을 잘 말해 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선수선발제도도 중요하지만 학부모들의 인식변화 역시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오상덕(한양대 체육학과 교수): 학력 위주가 아니라 실력위주기 때문에 부모들도 그런 레이벨이 있는 대학보다도, 레이벨이 있는 팀보다도 자기 선수가 기량을 100% 발휘할 수 있는...
⊙기자: 축구 대표팀의 경우 현재 지방대학과 고졸 출신이 명문대 출신보다 많고 프로축구 역시 올해 신인 110명 가운데 27명이 고졸 이하의 학력을 가졌습니다.
명문대학이 아니더라도 실력을 키우고 국가 대표가 될 수 있는 길이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와 함께 선수 선발의 투명성을 높이고 비리감독들에 대한 인적 청산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고교와 대학, 프로 등에서 한번 비리에 연루된 감독들은 영원히 축구계로부터 추방하는 강력한 제재가 필요합니다.
결국 입시비리를 막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의 인식 변화 그리고 축구계의 자정노력과 제도적 장치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KBS뉴스 박종복입니다.
박종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잊을 만하면 되풀이되는 특기자 비리는 무엇보다 학부모의 그릇된 사고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좋은 대학을 나와야 한다는 잘못된 상식과 관행이 검은 거래의 유혹에 빠져들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입학비리 역시 지방대학은 거의 없고 소위 서울에 있는 명문대학들이 포함돼 이런 관행을 잘 말해 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선수선발제도도 중요하지만 학부모들의 인식변화 역시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오상덕(한양대 체육학과 교수): 학력 위주가 아니라 실력위주기 때문에 부모들도 그런 레이벨이 있는 대학보다도, 레이벨이 있는 팀보다도 자기 선수가 기량을 100% 발휘할 수 있는...
⊙기자: 축구 대표팀의 경우 현재 지방대학과 고졸 출신이 명문대 출신보다 많고 프로축구 역시 올해 신인 110명 가운데 27명이 고졸 이하의 학력을 가졌습니다.
명문대학이 아니더라도 실력을 키우고 국가 대표가 될 수 있는 길이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와 함께 선수 선발의 투명성을 높이고 비리감독들에 대한 인적 청산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고교와 대학, 프로 등에서 한번 비리에 연루된 감독들은 영원히 축구계로부터 추방하는 강력한 제재가 필요합니다.
결국 입시비리를 막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의 인식 변화 그리고 축구계의 자정노력과 제도적 장치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KBS뉴스 박종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체육특기자 부정 입학 근절해야
-
- 입력 2004-10-27 21:50:3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앞서 보신 대로 대학입학 부정 비리는 무엇보다 축구 선수와 학부모들의 잘못된 사고와 관행에서 비롯됐습니다.
박종복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잊을 만하면 되풀이되는 특기자 비리는 무엇보다 학부모의 그릇된 사고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좋은 대학을 나와야 한다는 잘못된 상식과 관행이 검은 거래의 유혹에 빠져들게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입학비리 역시 지방대학은 거의 없고 소위 서울에 있는 명문대학들이 포함돼 이런 관행을 잘 말해 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비리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선수선발제도도 중요하지만 학부모들의 인식변화 역시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오상덕(한양대 체육학과 교수): 학력 위주가 아니라 실력위주기 때문에 부모들도 그런 레이벨이 있는 대학보다도, 레이벨이 있는 팀보다도 자기 선수가 기량을 100% 발휘할 수 있는...
⊙기자: 축구 대표팀의 경우 현재 지방대학과 고졸 출신이 명문대 출신보다 많고 프로축구 역시 올해 신인 110명 가운데 27명이 고졸 이하의 학력을 가졌습니다.
명문대학이 아니더라도 실력을 키우고 국가 대표가 될 수 있는 길이 얼마든지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와 함께 선수 선발의 투명성을 높이고 비리감독들에 대한 인적 청산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고교와 대학, 프로 등에서 한번 비리에 연루된 감독들은 영원히 축구계로부터 추방하는 강력한 제재가 필요합니다.
결국 입시비리를 막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의 인식 변화 그리고 축구계의 자정노력과 제도적 장치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KBS뉴스 박종복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