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역 없이 직접 연기

입력 2004.10.29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갈수록 완성도가 높아지는 우리 영화.
여기에는 배우들의 철저한 프로정신이 한몫하고 있습니다.
단 한 장면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그 열정을 김진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실제 음악회와 다름 없는 영화 속 한 장면입니다.
첼리스트역의 배우가 선보이고 있는 곡은 쇼스타고비치의 첼로협주곡 1번.
현을 켜는 시늉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연주를 하고 있습니다.
⊙엄지원(영화배우): 그 한 신 때문에 정확하게 4개월하고 15일을 단 하루도 빼지 않고 연습을 매일 했어요.
⊙기자: 극중에서 목수 겸 건축가역을 맡은 정우성 씨 역시 전문가로부터 실제 목공일과 도면 그리는 법을 배웠습니다.
영화 속 소품으로 등장하는 의자와 그림 일부는 정우성 씨가 직접 만든 작품입니다.
⊙정우성(영화배우): 도구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의자도 만들어 보고 설계도 그리는 법을 배워보기도 하고 그랬죠.
⊙기자: 극중 트럼펫 연주를 해야 했던 배우 최민식 씨도 반년 동안 집중 교습을 받았고 원래 오른손잡이인 이범수 씨 역시 피나는 왼손던지기 훈련으로 자연스런 왼손잡이 투수역을 선보였습니다.
단 한 장면이라도 대역을 쓰지 않고 배우가 직접 연기했을 때 극중 현실감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값비싼 출연료가 배우의 자존심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최선의 노력이 담긴 연기로 승부할 때 배우로서의 생명력과 자존심 역시 지켜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BS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역 없이 직접 연기
    • 입력 2004-10-29 21:26:19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갈수록 완성도가 높아지는 우리 영화. 여기에는 배우들의 철저한 프로정신이 한몫하고 있습니다. 단 한 장면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그 열정을 김진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실제 음악회와 다름 없는 영화 속 한 장면입니다. 첼리스트역의 배우가 선보이고 있는 곡은 쇼스타고비치의 첼로협주곡 1번. 현을 켜는 시늉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연주를 하고 있습니다. ⊙엄지원(영화배우): 그 한 신 때문에 정확하게 4개월하고 15일을 단 하루도 빼지 않고 연습을 매일 했어요. ⊙기자: 극중에서 목수 겸 건축가역을 맡은 정우성 씨 역시 전문가로부터 실제 목공일과 도면 그리는 법을 배웠습니다. 영화 속 소품으로 등장하는 의자와 그림 일부는 정우성 씨가 직접 만든 작품입니다. ⊙정우성(영화배우): 도구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의자도 만들어 보고 설계도 그리는 법을 배워보기도 하고 그랬죠. ⊙기자: 극중 트럼펫 연주를 해야 했던 배우 최민식 씨도 반년 동안 집중 교습을 받았고 원래 오른손잡이인 이범수 씨 역시 피나는 왼손던지기 훈련으로 자연스런 왼손잡이 투수역을 선보였습니다. 단 한 장면이라도 대역을 쓰지 않고 배우가 직접 연기했을 때 극중 현실감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값비싼 출연료가 배우의 자존심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최선의 노력이 담긴 연기로 승부할 때 배우로서의 생명력과 자존심 역시 지켜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BS뉴스 김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