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표준 점수제…과목별 편차 커
입력 2004.12.14 (20:34)
수정 2004.12.14 (20: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 예정대로 수능점수가 학생들에게 통보됐습니다.
처음 도입된 표준점수제도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 교사 모두 어떤 기준으로 대학을 선택해야 할지 지금 우왕좌왕 당황해하고 있습니다.
⊙앵커: 특히 선택과목에 따라서 학생간의 표준점수차이가 커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데요, 먼저 이번 수능 점수 결과의 특징을 이영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오랜 기간 땀흘린 노력의 결과가 나오는 순간.
수험생들의 희비는 과목간 난이도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표준점수의 분포에 따라 크게 엇갈렸습니다.
⊙김수진(고3 학생): 못 봤다고 생각했는데요, 표준점수가 다르게 나왔어요.
⊙기자: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의 경우 똑같이 만점을 받았더라도 선택과목에 따라 표준점수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쉽게 출제된 사회탐구영역의 윤리는 만점자가 17%나 돼 만점을 받았더라도 표준점수가 61점에 불과한 반면 사회문화는 최고 표준점수가 68점으로 7점이나 차이났습니다.
특히 표준점수를 서열화한 백분율로 환산할 경우 윤리에서 1문제라도 틀린 학생은 만점자와 13점 이상이나 차이가 나 표준점수뿐 아니라 백분위를 반영하는 대학에 진학할 때도 크게 불리해졌습니다.
⊙남명호(교육과정평가원 수능처장): 이번에 쉽게 나온 윤리, 국사, 한국지리쪽에 재수생들이 좀더 몰렸고 결과적으로 만점자가 많이 나왔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기자: 교육당국에서는 표준점수를 도입하지 않았다면 더 불공정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일부 과목의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렵게 됐습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처음 도입된 표준점수제도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 교사 모두 어떤 기준으로 대학을 선택해야 할지 지금 우왕좌왕 당황해하고 있습니다.
⊙앵커: 특히 선택과목에 따라서 학생간의 표준점수차이가 커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데요, 먼저 이번 수능 점수 결과의 특징을 이영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오랜 기간 땀흘린 노력의 결과가 나오는 순간.
수험생들의 희비는 과목간 난이도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표준점수의 분포에 따라 크게 엇갈렸습니다.
⊙김수진(고3 학생): 못 봤다고 생각했는데요, 표준점수가 다르게 나왔어요.
⊙기자: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의 경우 똑같이 만점을 받았더라도 선택과목에 따라 표준점수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쉽게 출제된 사회탐구영역의 윤리는 만점자가 17%나 돼 만점을 받았더라도 표준점수가 61점에 불과한 반면 사회문화는 최고 표준점수가 68점으로 7점이나 차이났습니다.
특히 표준점수를 서열화한 백분율로 환산할 경우 윤리에서 1문제라도 틀린 학생은 만점자와 13점 이상이나 차이가 나 표준점수뿐 아니라 백분위를 반영하는 대학에 진학할 때도 크게 불리해졌습니다.
⊙남명호(교육과정평가원 수능처장): 이번에 쉽게 나온 윤리, 국사, 한국지리쪽에 재수생들이 좀더 몰렸고 결과적으로 만점자가 많이 나왔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기자: 교육당국에서는 표준점수를 도입하지 않았다면 더 불공정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일부 과목의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렵게 됐습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첫 표준 점수제…과목별 편차 커
-
- 입력 2004-12-14 19:58:33
- 수정2004-12-14 20:53:32
⊙앵커: 오늘 예정대로 수능점수가 학생들에게 통보됐습니다.
처음 도입된 표준점수제도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 교사 모두 어떤 기준으로 대학을 선택해야 할지 지금 우왕좌왕 당황해하고 있습니다.
⊙앵커: 특히 선택과목에 따라서 학생간의 표준점수차이가 커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는데요, 먼저 이번 수능 점수 결과의 특징을 이영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오랜 기간 땀흘린 노력의 결과가 나오는 순간.
수험생들의 희비는 과목간 난이도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표준점수의 분포에 따라 크게 엇갈렸습니다.
⊙김수진(고3 학생): 못 봤다고 생각했는데요, 표준점수가 다르게 나왔어요.
⊙기자: 탐구영역과 제2외국어의 경우 똑같이 만점을 받았더라도 선택과목에 따라 표준점수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쉽게 출제된 사회탐구영역의 윤리는 만점자가 17%나 돼 만점을 받았더라도 표준점수가 61점에 불과한 반면 사회문화는 최고 표준점수가 68점으로 7점이나 차이났습니다.
특히 표준점수를 서열화한 백분율로 환산할 경우 윤리에서 1문제라도 틀린 학생은 만점자와 13점 이상이나 차이가 나 표준점수뿐 아니라 백분위를 반영하는 대학에 진학할 때도 크게 불리해졌습니다.
⊙남명호(교육과정평가원 수능처장): 이번에 쉽게 나온 윤리, 국사, 한국지리쪽에 재수생들이 좀더 몰렸고 결과적으로 만점자가 많이 나왔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기자: 교육당국에서는 표준점수를 도입하지 않았다면 더 불공정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일부 과목의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피하기는 어렵게 됐습니다.
KBS뉴스 이영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