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반발, “원안대로 추진”
입력 2005.01.21 (22:05)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러나 충청지역 주민들은 원안대로 추진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번 당정안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용만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여당의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으로 행정중심도시를 결정한 사실이 알려지자 연기, 공주 주민들은 또 한번 속았다는 반응입니다.
⊙홍석하(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행정특별시 플러스 알파를 요구해 왔는데 그것을 수용하는 것처럼 해 왔다가 지금 이렇게 한 것은 사실 충청권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들을 기만한 것이다.
⊙기자: 특히 원안 추진 또는 원안에 가장 가까운 후손대안을 요구해 온 충청지역 주민들은 외교, 안보 등 핵심중앙부처가 빠진 행정중심도시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김일호(연기군 비대위 집행위원장): 당초의 약속과도 멀고 그리고 신행정수도의 본질과도 많이 훼손된 것이기 때문에 절대 받아들일 수가 없습니다.
⊙기자: 충청지역의 시민사회단체 역시 원안에서 크게 후퇴한 정부여당의 대안은 분산과 분권을 통한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당초의 취지를 외면하는 배신행위라고 비난했습니다.
⊙김제선(신행정수도범충청권협의회 공동대표): 기본적으로 균형발전이 되는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고 지방민들로부터 심판을 면치 못할 겁니다.
⊙기자: 한편 충청지역 주민들은 국회 특위에서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오는 27일 2만여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상경집회를 열 계획입니다.
KBS뉴스 김용만입니다.
김용만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여당의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으로 행정중심도시를 결정한 사실이 알려지자 연기, 공주 주민들은 또 한번 속았다는 반응입니다.
⊙홍석하(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행정특별시 플러스 알파를 요구해 왔는데 그것을 수용하는 것처럼 해 왔다가 지금 이렇게 한 것은 사실 충청권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들을 기만한 것이다.
⊙기자: 특히 원안 추진 또는 원안에 가장 가까운 후손대안을 요구해 온 충청지역 주민들은 외교, 안보 등 핵심중앙부처가 빠진 행정중심도시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김일호(연기군 비대위 집행위원장): 당초의 약속과도 멀고 그리고 신행정수도의 본질과도 많이 훼손된 것이기 때문에 절대 받아들일 수가 없습니다.
⊙기자: 충청지역의 시민사회단체 역시 원안에서 크게 후퇴한 정부여당의 대안은 분산과 분권을 통한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당초의 취지를 외면하는 배신행위라고 비난했습니다.
⊙김제선(신행정수도범충청권협의회 공동대표): 기본적으로 균형발전이 되는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고 지방민들로부터 심판을 면치 못할 겁니다.
⊙기자: 한편 충청지역 주민들은 국회 특위에서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오는 27일 2만여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상경집회를 열 계획입니다.
KBS뉴스 김용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민들 반발, “원안대로 추진”
-
- 입력 2005-01-21 21:00:57
- 수정2018-08-29 15:00:00
![](/newsimage2/200501/20050121/684874.jpg)
⊙앵커: 그러나 충청지역 주민들은 원안대로 추진할 것을 요구하면서 이번 당정안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김용만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여당의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으로 행정중심도시를 결정한 사실이 알려지자 연기, 공주 주민들은 또 한번 속았다는 반응입니다.
⊙홍석하(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행정특별시 플러스 알파를 요구해 왔는데 그것을 수용하는 것처럼 해 왔다가 지금 이렇게 한 것은 사실 충청권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들을 기만한 것이다.
⊙기자: 특히 원안 추진 또는 원안에 가장 가까운 후손대안을 요구해 온 충청지역 주민들은 외교, 안보 등 핵심중앙부처가 빠진 행정중심도시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김일호(연기군 비대위 집행위원장): 당초의 약속과도 멀고 그리고 신행정수도의 본질과도 많이 훼손된 것이기 때문에 절대 받아들일 수가 없습니다.
⊙기자: 충청지역의 시민사회단체 역시 원안에서 크게 후퇴한 정부여당의 대안은 분산과 분권을 통한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당초의 취지를 외면하는 배신행위라고 비난했습니다.
⊙김제선(신행정수도범충청권협의회 공동대표): 기본적으로 균형발전이 되는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고 지방민들로부터 심판을 면치 못할 겁니다.
⊙기자: 한편 충청지역 주민들은 국회 특위에서 신행정수도 후속대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는 오는 27일 2만여 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상경집회를 열 계획입니다.
KBS뉴스 김용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