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학생들 `인터넷은 오락 매체`
입력 2005.02.09 (22:19)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 용도가 대체로 오락에 치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도에 구영희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PC방입니다.
설날인데도 컴퓨터 앞에 앉아 온라인 게임에 빠져 있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중학생: 하루 한 시간씩 해요.
일주일에 8시간 정도 해요.
⊙기자: 최근 서울과 싱가포르, 타이베이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인터넷 이용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내용은 달랐습니다.
우선 접속빈도는 일주일에 5일 이상 접속한다는 학생이 서울의 경우 다른 두 도시보다 월등히 많았습니다.
특히 인터넷을 가장 중요한 오락과 휴식매체로 꼽은 응답자 비율이 우리나라는 두 명에 한 명꼴로 싱가포르나 타이베이보다 높았습니다.
또 온라인 참여활동에 있어서도 음악이나 영화 다운로드는 3개 도시 학생들 모두 공통적으로 많이 꼽았지만 게임이 80%를 넘은 것은 우리나라 학생들뿐이었습니다.
⊙고등학생: 인터넷 접속하면 채팅이나 게임해요.
⊙고등학생: 인터넷 서핑이나 메신저, 게임해요.
⊙기자: 그러나 직업적 성공을 위해 인터넷을 전문가 수준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은 우리나라가 훨씬 낮게 나타나는 등 인터넷을 미래생활과 생산적 활동에 연계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구영희입니다.
보도에 구영희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PC방입니다.
설날인데도 컴퓨터 앞에 앉아 온라인 게임에 빠져 있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중학생: 하루 한 시간씩 해요.
일주일에 8시간 정도 해요.
⊙기자: 최근 서울과 싱가포르, 타이베이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인터넷 이용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내용은 달랐습니다.
우선 접속빈도는 일주일에 5일 이상 접속한다는 학생이 서울의 경우 다른 두 도시보다 월등히 많았습니다.
특히 인터넷을 가장 중요한 오락과 휴식매체로 꼽은 응답자 비율이 우리나라는 두 명에 한 명꼴로 싱가포르나 타이베이보다 높았습니다.
또 온라인 참여활동에 있어서도 음악이나 영화 다운로드는 3개 도시 학생들 모두 공통적으로 많이 꼽았지만 게임이 80%를 넘은 것은 우리나라 학생들뿐이었습니다.
⊙고등학생: 인터넷 접속하면 채팅이나 게임해요.
⊙고등학생: 인터넷 서핑이나 메신저, 게임해요.
⊙기자: 그러나 직업적 성공을 위해 인터넷을 전문가 수준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은 우리나라가 훨씬 낮게 나타나는 등 인터넷을 미래생활과 생산적 활동에 연계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구영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학생들 `인터넷은 오락 매체`
-
- 입력 2005-02-09 21:16:28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인터넷 사용 용도가 대체로 오락에 치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도에 구영희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PC방입니다.
설날인데도 컴퓨터 앞에 앉아 온라인 게임에 빠져 있는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중학생: 하루 한 시간씩 해요.
일주일에 8시간 정도 해요.
⊙기자: 최근 서울과 싱가포르, 타이베이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인터넷 이용도는 모두 90% 이상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내용은 달랐습니다.
우선 접속빈도는 일주일에 5일 이상 접속한다는 학생이 서울의 경우 다른 두 도시보다 월등히 많았습니다.
특히 인터넷을 가장 중요한 오락과 휴식매체로 꼽은 응답자 비율이 우리나라는 두 명에 한 명꼴로 싱가포르나 타이베이보다 높았습니다.
또 온라인 참여활동에 있어서도 음악이나 영화 다운로드는 3개 도시 학생들 모두 공통적으로 많이 꼽았지만 게임이 80%를 넘은 것은 우리나라 학생들뿐이었습니다.
⊙고등학생: 인터넷 접속하면 채팅이나 게임해요.
⊙고등학생: 인터넷 서핑이나 메신저, 게임해요.
⊙기자: 그러나 직업적 성공을 위해 인터넷을 전문가 수준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비율은 우리나라가 훨씬 낮게 나타나는 등 인터넷을 미래생활과 생산적 활동에 연계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구영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