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 시점에서...北 의도는?

입력 2005.02.10 (22:03)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왜 지금 시점에 이런 강경입장을 내놓았는지 의도가 궁금합니다.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이라는 게 유력한 분석이지만 그만큼 북한이 체제위기를 심각하게 느끼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손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 대화와 협상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원칙적 입장과 조선반도를 제거하려는 최종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
⊙기자: 초강경 분위기 속에서도 대화 가능성을 열어놓은 북한의 오늘 성명은 북한이 회담 자체를 깨려는 의도는 없다는 증거로 분석됩니다.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북한 특유의 벼랑 끝 전술이라는 분석은 여기에서 출발합니다.
특히 대북 무력공격을 반대해 온 한국정부의 역할에 대한 강한 기대가 변수가 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김근식(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한국 정부의 입장이 아마 미국의 대북강경기조의 현실화를 막을 수 있는 완충역할을 하겠다라는 기대를 가지고 아마 외무장관회담 직전에 북한으로서는 자기의 강한 입장을 한번 나타낸 게 아닌가...
⊙기자: 또한 핵무기 보유라는 초강경 카드를 꺼낸 것은 그만큼 체제불안 위기가 큰 상태에서 미국으로부터 체제보장을 받고 싶어하는 증거로 분석됩니다.
미국에 이어 일본마저 북한 인권법으로 죄어오는 상황에서 폭정의 종식, 자유의 확산을 외치는 미국의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게 됐다는 것입니다.
우리 정부의 역할도 이미 북한의 체제보장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안보위협에 대해서도 북한의 안보를 보장할 수 있는 이러한 조치를 다자차원에서 할 용의를 표명할 생각이고...
⊙기자: 그러나 북한의 이번 성명은 미국을 향한 강력한 압박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지만 6자회담과 한반도 평화 노력은 다시 한 번 위태로운 출발선에 서게 됐습니다.
KBS뉴스 손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왜 이 시점에서...北 의도는?
    • 입력 2005-02-10 21:00:58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북한이 왜 지금 시점에 이런 강경입장을 내놓았는지 의도가 궁금합니다.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이라는 게 유력한 분석이지만 그만큼 북한이 체제위기를 심각하게 느끼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손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 대화와 협상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우리의 원칙적 입장과 조선반도를 제거하려는 최종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 ⊙기자: 초강경 분위기 속에서도 대화 가능성을 열어놓은 북한의 오늘 성명은 북한이 회담 자체를 깨려는 의도는 없다는 증거로 분석됩니다.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북한 특유의 벼랑 끝 전술이라는 분석은 여기에서 출발합니다. 특히 대북 무력공격을 반대해 온 한국정부의 역할에 대한 강한 기대가 변수가 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김근식(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한국 정부의 입장이 아마 미국의 대북강경기조의 현실화를 막을 수 있는 완충역할을 하겠다라는 기대를 가지고 아마 외무장관회담 직전에 북한으로서는 자기의 강한 입장을 한번 나타낸 게 아닌가... ⊙기자: 또한 핵무기 보유라는 초강경 카드를 꺼낸 것은 그만큼 체제불안 위기가 큰 상태에서 미국으로부터 체제보장을 받고 싶어하는 증거로 분석됩니다. 미국에 이어 일본마저 북한 인권법으로 죄어오는 상황에서 폭정의 종식, 자유의 확산을 외치는 미국의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게 됐다는 것입니다. 우리 정부의 역할도 이미 북한의 체제보장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반기문(외교통상부 장관): 안보위협에 대해서도 북한의 안보를 보장할 수 있는 이러한 조치를 다자차원에서 할 용의를 표명할 생각이고... ⊙기자: 그러나 북한의 이번 성명은 미국을 향한 강력한 압박이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지만 6자회담과 한반도 평화 노력은 다시 한 번 위태로운 출발선에 서게 됐습니다. KBS뉴스 손관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