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생활 물가 4년 만에 최고…4.9% 상승
입력 2005.05.02 (22:02)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 한 달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가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유가 행진에다 일부 농산물 가격의 폭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보도에 임승창 기자입니다.
⊙기자: 과일가게 앞을 지나는 주부들의 표정은 밝지 않습니다.
⊙윤영순(서울시 시흥동): 작년에는 그래도 돈 1만원어치 사면 먹을 게 있었는데 올해는 돈 1만원어치 사야 작년에 한 30% 정도...
⊙박보금(영등포청과시장 상인): 사과 같은 거 서민들이 안 먹죠.
딱 쓸 양만 제사 때도 딱 3개만 사 가요.
⊙기자: 실제로 도매 한 상자 가격이 사과는 26%, 참외는 48%나 올랐습니다.
담배와 등유값 등도 상당폭 오르면서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4.9%나 올랐습니다.
이런 상승폭은 4월 기준으로 지난 2001년에 6.4% 이후 최고입니다.
⊙신민영(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생활물가지수라는 것은 장바구니 물가를 의미하는데요, 생활물가지수가 높을 경우에 중하위소득계층이 지갑을 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내수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기자: 하지만 4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라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이 올랐지만 공공서비스와 집값이 내렸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유가인상분이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앞으로의 물가를 낙관하기는 어렵습니다.
KBS뉴스 임승창입니다.
고유가 행진에다 일부 농산물 가격의 폭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보도에 임승창 기자입니다.
⊙기자: 과일가게 앞을 지나는 주부들의 표정은 밝지 않습니다.
⊙윤영순(서울시 시흥동): 작년에는 그래도 돈 1만원어치 사면 먹을 게 있었는데 올해는 돈 1만원어치 사야 작년에 한 30% 정도...
⊙박보금(영등포청과시장 상인): 사과 같은 거 서민들이 안 먹죠.
딱 쓸 양만 제사 때도 딱 3개만 사 가요.
⊙기자: 실제로 도매 한 상자 가격이 사과는 26%, 참외는 48%나 올랐습니다.
담배와 등유값 등도 상당폭 오르면서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4.9%나 올랐습니다.
이런 상승폭은 4월 기준으로 지난 2001년에 6.4% 이후 최고입니다.
⊙신민영(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생활물가지수라는 것은 장바구니 물가를 의미하는데요, 생활물가지수가 높을 경우에 중하위소득계층이 지갑을 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내수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기자: 하지만 4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라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이 올랐지만 공공서비스와 집값이 내렸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유가인상분이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앞으로의 물가를 낙관하기는 어렵습니다.
KBS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월 생활 물가 4년 만에 최고…4.9% 상승
-
- 입력 2005-05-02 21:06:1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지난 한 달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가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유가 행진에다 일부 농산물 가격의 폭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보도에 임승창 기자입니다.
⊙기자: 과일가게 앞을 지나는 주부들의 표정은 밝지 않습니다.
⊙윤영순(서울시 시흥동): 작년에는 그래도 돈 1만원어치 사면 먹을 게 있었는데 올해는 돈 1만원어치 사야 작년에 한 30% 정도...
⊙박보금(영등포청과시장 상인): 사과 같은 거 서민들이 안 먹죠.
딱 쓸 양만 제사 때도 딱 3개만 사 가요.
⊙기자: 실제로 도매 한 상자 가격이 사과는 26%, 참외는 48%나 올랐습니다.
담배와 등유값 등도 상당폭 오르면서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4.9%나 올랐습니다.
이런 상승폭은 4월 기준으로 지난 2001년에 6.4% 이후 최고입니다.
⊙신민영(LG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생활물가지수라는 것은 장바구니 물가를 의미하는데요, 생활물가지수가 높을 경우에 중하위소득계층이 지갑을 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내수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기자: 하지만 4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 올라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이 올랐지만 공공서비스와 집값이 내렸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유가인상분이 시차를 두고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앞으로의 물가를 낙관하기는 어렵습니다.
KBS뉴스 임승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