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 투자’, 범정부적 지원 정황들
입력 2005.05.13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러시아 유전투자 의혹사건에 정부 여러 부처들이 개입돼 있었다는 정황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검찰은 범정부적인 지원이나 묵인이 있었는지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곽희섭 기자입니다.
⊙기자: 철도공사에 이어 청와대, 건설교통부, 그리고 외교통상부와 산업자원부, 이번에는 국가정보원까지 검찰이 러시아 유전 투자의혹 사건과 관련해 수사하고 있는 대상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9월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앞두고 유전사업이 갑자기 서둘러 추진된 데 주목하고 있습니다.
검찰 조사 결과 김세호 전 건설교통부 차관은 지난해 8월 청와대 김 모 행정관에게 왕영용 본부장을 통해 유전사업에 대해 보고했습니다.
또 9월에는 자신이 직접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 장관은 그런 부탁을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가 오늘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을 바꾸었습니다.
김 씨는 또 철도청장이던 지난해 7월 대전에서 국정원 직원들과 함께 황영기 우리은행장을 만났습니다.
우리은행과 국정원측은 대출이나 유전 이야기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며칠 뒤 대출 심사가 있던 시점이라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또 주모스크바 대사관은 지난해 9월 대통령의 방러에 앞서 철도공사와 코리아쿠르드오일, 러시아 알파에코사 등의 3자모임을 준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외교부까지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이 때문에 유전투자사업은 범정부 차원의 묵인 또는 지원이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 초기부터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과 이기명 씨 등 정치권 실세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검찰도 이제 이번 사건에 대한 관계와 정치권의 개입 여부와 그 과정을 파헤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주 우리은행장을 소환하고 수사 결과에 따라 이광재 의원과 이희범 산자부 장관 등도 소환할 예정이어서 다음주가 이번 수사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KBS뉴스 곽희섭입니다.
검찰은 범정부적인 지원이나 묵인이 있었는지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곽희섭 기자입니다.
⊙기자: 철도공사에 이어 청와대, 건설교통부, 그리고 외교통상부와 산업자원부, 이번에는 국가정보원까지 검찰이 러시아 유전 투자의혹 사건과 관련해 수사하고 있는 대상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9월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앞두고 유전사업이 갑자기 서둘러 추진된 데 주목하고 있습니다.
검찰 조사 결과 김세호 전 건설교통부 차관은 지난해 8월 청와대 김 모 행정관에게 왕영용 본부장을 통해 유전사업에 대해 보고했습니다.
또 9월에는 자신이 직접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 장관은 그런 부탁을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가 오늘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을 바꾸었습니다.
김 씨는 또 철도청장이던 지난해 7월 대전에서 국정원 직원들과 함께 황영기 우리은행장을 만났습니다.
우리은행과 국정원측은 대출이나 유전 이야기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며칠 뒤 대출 심사가 있던 시점이라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또 주모스크바 대사관은 지난해 9월 대통령의 방러에 앞서 철도공사와 코리아쿠르드오일, 러시아 알파에코사 등의 3자모임을 준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외교부까지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이 때문에 유전투자사업은 범정부 차원의 묵인 또는 지원이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 초기부터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과 이기명 씨 등 정치권 실세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검찰도 이제 이번 사건에 대한 관계와 정치권의 개입 여부와 그 과정을 파헤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주 우리은행장을 소환하고 수사 결과에 따라 이광재 의원과 이희범 산자부 장관 등도 소환할 예정이어서 다음주가 이번 수사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KBS뉴스 곽희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전 투자’, 범정부적 지원 정황들
-
- 입력 2005-05-13 21:08:0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러시아 유전투자 의혹사건에 정부 여러 부처들이 개입돼 있었다는 정황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검찰은 범정부적인 지원이나 묵인이 있었는지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곽희섭 기자입니다.
⊙기자: 철도공사에 이어 청와대, 건설교통부, 그리고 외교통상부와 산업자원부, 이번에는 국가정보원까지 검찰이 러시아 유전 투자의혹 사건과 관련해 수사하고 있는 대상입니다.
검찰은 지난해 9월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앞두고 유전사업이 갑자기 서둘러 추진된 데 주목하고 있습니다.
검찰 조사 결과 김세호 전 건설교통부 차관은 지난해 8월 청와대 김 모 행정관에게 왕영용 본부장을 통해 유전사업에 대해 보고했습니다.
또 9월에는 자신이 직접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 장관은 그런 부탁을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가 오늘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을 바꾸었습니다.
김 씨는 또 철도청장이던 지난해 7월 대전에서 국정원 직원들과 함께 황영기 우리은행장을 만났습니다.
우리은행과 국정원측은 대출이나 유전 이야기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며칠 뒤 대출 심사가 있던 시점이라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또 주모스크바 대사관은 지난해 9월 대통령의 방러에 앞서 철도공사와 코리아쿠르드오일, 러시아 알파에코사 등의 3자모임을 준비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외교부까지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이 때문에 유전투자사업은 범정부 차원의 묵인 또는 지원이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 초기부터 이광재 열린우리당 의원과 이기명 씨 등 정치권 실세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검찰도 이제 이번 사건에 대한 관계와 정치권의 개입 여부와 그 과정을 파헤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주 우리은행장을 소환하고 수사 결과에 따라 이광재 의원과 이희범 산자부 장관 등도 소환할 예정이어서 다음주가 이번 수사의 최대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
KBS뉴스 곽희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