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 동물 조기 사망 원인 밝혀
입력 2005.05.16 (22:03)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복제동물 생산에 성공한 지 10년 가까이 지나고 있지만 태어난 직후 숨지는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우리 연구진이 빨리 죽는 까닭을 밝혀냈습니다.
최문종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96년 태어난 복제양 돌리는 2003년 폐질환으로 숨졌습니다.
하지만 7년 가까이 산 돌리와는 달리 복제동물 가운데 절반 가량은 태어난 지 일주일 안에 목숨을 잃습니다.
이처럼 복제동물이 빨리 죽는 이유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됐습니다.
경상대 김진회 교수 등 연구진은 숨진 복제돼지 28마리를 분석한 결과 일반 돼지에는 없는 이상단백질 16개가 나타났으며 이 단백질로 인한 심장기능 이상이 직접적인 폐사 원인이라고 밝혔습니다.
심장에서 혈액 흐름을 좌우하는 마이오사이트라는 세포를 이상단백질이 죽이고 그 결과 장기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로 태어나자마자 숨질 가능성이 높은 복제동물을 미리 찾아낼 수 있는 길도 열렸습니다.
⊙김진희(경상대 교수): 유전형으로는 이미 손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그런 것을 확인할 길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조기에 장기의 안정성 검토가 가능하다는 것이...
⊙기자: 하지만 복제동물의 장기 이식을 통해 수명을 연장하려는 인류의 꿈에는 넘어야 할 산이 하나 더 늘었습니다.
면역거부반응과 함께 이상단백질의 작용을 미리 막는 것이 동물을 이용한 대체장기 연구의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뉴스 최문종입니다.
우리 연구진이 빨리 죽는 까닭을 밝혀냈습니다.
최문종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96년 태어난 복제양 돌리는 2003년 폐질환으로 숨졌습니다.
하지만 7년 가까이 산 돌리와는 달리 복제동물 가운데 절반 가량은 태어난 지 일주일 안에 목숨을 잃습니다.
이처럼 복제동물이 빨리 죽는 이유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됐습니다.
경상대 김진회 교수 등 연구진은 숨진 복제돼지 28마리를 분석한 결과 일반 돼지에는 없는 이상단백질 16개가 나타났으며 이 단백질로 인한 심장기능 이상이 직접적인 폐사 원인이라고 밝혔습니다.
심장에서 혈액 흐름을 좌우하는 마이오사이트라는 세포를 이상단백질이 죽이고 그 결과 장기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로 태어나자마자 숨질 가능성이 높은 복제동물을 미리 찾아낼 수 있는 길도 열렸습니다.
⊙김진희(경상대 교수): 유전형으로는 이미 손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그런 것을 확인할 길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조기에 장기의 안정성 검토가 가능하다는 것이...
⊙기자: 하지만 복제동물의 장기 이식을 통해 수명을 연장하려는 인류의 꿈에는 넘어야 할 산이 하나 더 늘었습니다.
면역거부반응과 함께 이상단백질의 작용을 미리 막는 것이 동물을 이용한 대체장기 연구의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뉴스 최문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제 동물 조기 사망 원인 밝혀
-
- 입력 2005-05-16 21:37:17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복제동물 생산에 성공한 지 10년 가까이 지나고 있지만 태어난 직후 숨지는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우리 연구진이 빨리 죽는 까닭을 밝혀냈습니다.
최문종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96년 태어난 복제양 돌리는 2003년 폐질환으로 숨졌습니다.
하지만 7년 가까이 산 돌리와는 달리 복제동물 가운데 절반 가량은 태어난 지 일주일 안에 목숨을 잃습니다.
이처럼 복제동물이 빨리 죽는 이유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됐습니다.
경상대 김진회 교수 등 연구진은 숨진 복제돼지 28마리를 분석한 결과 일반 돼지에는 없는 이상단백질 16개가 나타났으며 이 단백질로 인한 심장기능 이상이 직접적인 폐사 원인이라고 밝혔습니다.
심장에서 혈액 흐름을 좌우하는 마이오사이트라는 세포를 이상단백질이 죽이고 그 결과 장기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로 태어나자마자 숨질 가능성이 높은 복제동물을 미리 찾아낼 수 있는 길도 열렸습니다.
⊙김진희(경상대 교수): 유전형으로는 이미 손상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그런 것을 확인할 길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조기에 장기의 안정성 검토가 가능하다는 것이...
⊙기자: 하지만 복제동물의 장기 이식을 통해 수명을 연장하려는 인류의 꿈에는 넘어야 할 산이 하나 더 늘었습니다.
면역거부반응과 함께 이상단백질의 작용을 미리 막는 것이 동물을 이용한 대체장기 연구의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뉴스 최문종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