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민원 눈치보다 댐 방류 실패…홍수피해 키워”

입력 2023.01.13 (07:33) 수정 2023.01.13 (07: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20년 여름, 진안 용담댐 하류에서 수해 피해가 컸던 건, 댐 방류량을 잘못 조절했기 때문이라고 감사원이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수자원공사가 강 하류에 있는 레저업체 민원 때문에 제대로 된 판단을 못 했다고도 지적했습니다.

오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감사원이 2020년 댐 하류 지역 수해 대비 실태를 감사해 발표한 보고서.

수자원공사는 7월 30일 용담댐 수위가 제한 수위를 넘었는데도 방류량을 되레 줄입니다.

초당 3백 톤을 빼내다 40~160톤 정도로 확 낮춘 겁니다.

이후 홍수저장 최고수위를 단 2.41미터 남겨둘 때까지 물은 차올랐고, 8월 7일 집중호우가 또 오자, 최고 수위를 넘길 위기에 닥칩니다.

결국, 수자원공사는 초당 2천9백 톤을 한꺼번에 쏟아내기 시작했는데, 금강 하류가 버틸 수 없는 양이었습니다.

애당초 성급하게 방류량을 줄여 댐 수위를 충분히 낮춰놓지 못한 게 재난의 시작점이 된 셈인데, 수자원공사가 이런 판단을 한 배경엔 '민원 눈치 보기'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강 하류에 있는 레저 업체들의 영업을 방해할까봐 제때 방류하지 않고, 양을 줄여준 겁니다.

이 잘못된 판단으로 당시 진안과 무주 등 용담댐 하류 49개 지구에 홍수피해가 컸다는 게 감사원 결론입니다.

감사원은 수자원공사 사장에게 방류량을 잘못 조절한 직원 3명에 대한 주의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감사원 “민원 눈치보다 댐 방류 실패…홍수피해 키워”
    • 입력 2023-01-13 07:33:38
    • 수정2023-01-13 07:39:32
    뉴스광장(전주)
[앵커]

2020년 여름, 진안 용담댐 하류에서 수해 피해가 컸던 건, 댐 방류량을 잘못 조절했기 때문이라고 감사원이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수자원공사가 강 하류에 있는 레저업체 민원 때문에 제대로 된 판단을 못 했다고도 지적했습니다.

오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감사원이 2020년 댐 하류 지역 수해 대비 실태를 감사해 발표한 보고서.

수자원공사는 7월 30일 용담댐 수위가 제한 수위를 넘었는데도 방류량을 되레 줄입니다.

초당 3백 톤을 빼내다 40~160톤 정도로 확 낮춘 겁니다.

이후 홍수저장 최고수위를 단 2.41미터 남겨둘 때까지 물은 차올랐고, 8월 7일 집중호우가 또 오자, 최고 수위를 넘길 위기에 닥칩니다.

결국, 수자원공사는 초당 2천9백 톤을 한꺼번에 쏟아내기 시작했는데, 금강 하류가 버틸 수 없는 양이었습니다.

애당초 성급하게 방류량을 줄여 댐 수위를 충분히 낮춰놓지 못한 게 재난의 시작점이 된 셈인데, 수자원공사가 이런 판단을 한 배경엔 '민원 눈치 보기'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강 하류에 있는 레저 업체들의 영업을 방해할까봐 제때 방류하지 않고, 양을 줄여준 겁니다.

이 잘못된 판단으로 당시 진안과 무주 등 용담댐 하류 49개 지구에 홍수피해가 컸다는 게 감사원 결론입니다.

감사원은 수자원공사 사장에게 방류량을 잘못 조절한 직원 3명에 대한 주의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촬영기자:신재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전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