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 처방 너무 많다”

입력 2005.05.26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병의원들이 주사제 처방을 너무 많이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선진국에서는 부작용 우려 때문에 줄이고 있는 추세입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병의원들은 주사를 너무 많이 놓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를 보면 중소병원이나 의원을 찾은 외래환자 100명 중 30명이 주사를 맞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학병원의 주사 처방률은 8%, 종합병원은 14%로 조사됐습니다.
영국이 2%, 미국이 5%인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병의원들은 선진국에 비해 최대 15배 이상 주사를 많이 놓는 것입니다.
⊙이상용(보건복지부 연금보험국장): 급성쇼크, 혈관염 등 부작용의 위험이 커서 약을 먹을 수 없거나 응급한 경우 등에 사용토록 하고 있습니다.
⊙기자: 특히 감기증세로 찾아온 환자의 주사제 처방률이 99%에 이르는 병원도 있지만 전혀 쓰지 않는 병원도 있었습니다.
⊙이정권(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경쟁체제에서 다른 의원과 경쟁하기 때문에 환자의 요구를 뿌리치기가 쉽지 않습니다.
⊙기자: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도가 20% 수준, 경북은 41%, 경남은 38%로 주사제 처방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주사는 부작용 위험이 커 응급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습니다.
⊙배상필(가정의학 전문의): 단순한 감기라든지 일반적인 질환들에 있어서는 꼭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잘은 안 씁니다.
⊙기자: 건강보원심표원은 주사를 적게 쓰는 전국의 병원 2500여 곳의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했습니다.
KBS뉴스 김병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사 처방 너무 많다”
    • 입력 2005-05-26 21:25:39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우리나라 병의원들이 주사제 처방을 너무 많이 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선진국에서는 부작용 우려 때문에 줄이고 있는 추세입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병의원들은 주사를 너무 많이 놓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를 보면 중소병원이나 의원을 찾은 외래환자 100명 중 30명이 주사를 맞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학병원의 주사 처방률은 8%, 종합병원은 14%로 조사됐습니다. 영국이 2%, 미국이 5%인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병의원들은 선진국에 비해 최대 15배 이상 주사를 많이 놓는 것입니다. ⊙이상용(보건복지부 연금보험국장): 급성쇼크, 혈관염 등 부작용의 위험이 커서 약을 먹을 수 없거나 응급한 경우 등에 사용토록 하고 있습니다. ⊙기자: 특히 감기증세로 찾아온 환자의 주사제 처방률이 99%에 이르는 병원도 있지만 전혀 쓰지 않는 병원도 있었습니다. ⊙이정권(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경쟁체제에서 다른 의원과 경쟁하기 때문에 환자의 요구를 뿌리치기가 쉽지 않습니다. ⊙기자: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도가 20% 수준, 경북은 41%, 경남은 38%로 주사제 처방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주사는 부작용 위험이 커 응급한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권장되고 있습니다. ⊙배상필(가정의학 전문의): 단순한 감기라든지 일반적인 질환들에 있어서는 꼭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잘은 안 씁니다. ⊙기자: 건강보원심표원은 주사를 적게 쓰는 전국의 병원 2500여 곳의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했습니다. KBS뉴스 김병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