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연정 공론화’ 논란
입력 2005.07.05 (22: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 대통령의 이런 입장에 대해서 정치권의 반응은 다양합니다.
여당은 공론화로 뒷받침하겠다는 분위기지만 야당은 국면전환용이라고 비난하면서 경계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창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여당은 연정 논의를 본격적으로 테이블 위에 올리는 분위기입니다.
여소야대를 타개하고 국정의 원활한 뒷받침을 위해서는 연정을 포함한 권력구조 논의가 시작되어야 한다는 입니다.
문희상 의장도 개헌이나 내각제가 아니더라도 책임총리의 각료 제청권을 활용해 제1당에 조각권을 주는 것이 대통령의 연정 구상이라며 구체화했습니다.
⊙문희상(열린우리당 의장): 내각을 통해서 장관 자리를 누구를 몇 사람 준다든지 합의해서 그것도 정정당당히 하면 그게 소연정인 거예요.
⊙기자: 한나라당은 여소야대를 탓하는 것은 국민을 탓하는 것이라며 노 대통령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원론적 발언이 아니라 여권의 연정구상이 구체화되고 공론화되는 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전여옥(한나라당 대변인): 한국정치가 비정상이라고 탓할 때가 아닙니다.
그에 앞서 자신의 국정 운영이 정상적인가부터 물어봐야 할 것입니다.
⊙기자: 현실적인 연정 대상으로 거론되는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에서는 미묘한 시각차가 엿보입니다.
민주노동당은 연정을 국면전환용이라고 비난하면서도 대통령의 계획이 정치발전에 기여한다면 사회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여운을 남겼고 민주당은 국정실패의 책임을 국민과 야당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비난 수위를 높였습니다.
여야가 실익과 파장을 놓고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창준입니다.
여당은 공론화로 뒷받침하겠다는 분위기지만 야당은 국면전환용이라고 비난하면서 경계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창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여당은 연정 논의를 본격적으로 테이블 위에 올리는 분위기입니다.
여소야대를 타개하고 국정의 원활한 뒷받침을 위해서는 연정을 포함한 권력구조 논의가 시작되어야 한다는 입니다.
문희상 의장도 개헌이나 내각제가 아니더라도 책임총리의 각료 제청권을 활용해 제1당에 조각권을 주는 것이 대통령의 연정 구상이라며 구체화했습니다.
⊙문희상(열린우리당 의장): 내각을 통해서 장관 자리를 누구를 몇 사람 준다든지 합의해서 그것도 정정당당히 하면 그게 소연정인 거예요.
⊙기자: 한나라당은 여소야대를 탓하는 것은 국민을 탓하는 것이라며 노 대통령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원론적 발언이 아니라 여권의 연정구상이 구체화되고 공론화되는 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전여옥(한나라당 대변인): 한국정치가 비정상이라고 탓할 때가 아닙니다.
그에 앞서 자신의 국정 운영이 정상적인가부터 물어봐야 할 것입니다.
⊙기자: 현실적인 연정 대상으로 거론되는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에서는 미묘한 시각차가 엿보입니다.
민주노동당은 연정을 국면전환용이라고 비난하면서도 대통령의 계획이 정치발전에 기여한다면 사회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여운을 남겼고 민주당은 국정실패의 책임을 국민과 야당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비난 수위를 높였습니다.
여야가 실익과 파장을 놓고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창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치권, ‘연정 공론화’ 논란
-
- 입력 2005-07-05 20:58:41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노 대통령의 이런 입장에 대해서 정치권의 반응은 다양합니다.
여당은 공론화로 뒷받침하겠다는 분위기지만 야당은 국면전환용이라고 비난하면서 경계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창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여당은 연정 논의를 본격적으로 테이블 위에 올리는 분위기입니다.
여소야대를 타개하고 국정의 원활한 뒷받침을 위해서는 연정을 포함한 권력구조 논의가 시작되어야 한다는 입니다.
문희상 의장도 개헌이나 내각제가 아니더라도 책임총리의 각료 제청권을 활용해 제1당에 조각권을 주는 것이 대통령의 연정 구상이라며 구체화했습니다.
⊙문희상(열린우리당 의장): 내각을 통해서 장관 자리를 누구를 몇 사람 준다든지 합의해서 그것도 정정당당히 하면 그게 소연정인 거예요.
⊙기자: 한나라당은 여소야대를 탓하는 것은 국민을 탓하는 것이라며 노 대통령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원론적 발언이 아니라 여권의 연정구상이 구체화되고 공론화되는 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전여옥(한나라당 대변인): 한국정치가 비정상이라고 탓할 때가 아닙니다.
그에 앞서 자신의 국정 운영이 정상적인가부터 물어봐야 할 것입니다.
⊙기자: 현실적인 연정 대상으로 거론되는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에서는 미묘한 시각차가 엿보입니다.
민주노동당은 연정을 국면전환용이라고 비난하면서도 대통령의 계획이 정치발전에 기여한다면 사회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여운을 남겼고 민주당은 국정실패의 책임을 국민과 야당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비난 수위를 높였습니다.
여야가 실익과 파장을 놓고 고심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창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