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포기하면 남한 전력 공급”
입력 2005.07.12 (21:57)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이 6자회담에서 핵폐기에 합의하면 남한 전력 200만킬로와트를 제공하겠다는 중대제안의 내용을 정부가 공개했습니다.
첫 소식으로 정창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오늘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대북 중대제안의 공개와 대국민 설득 방침을 정했습니다.
대북 중대제안은 북한이 핵폐기에 합의할 경우 남한의 전력을 북한에 제공하는 안으로 확인됐습니다.
직접 송전방식입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우리가 독자적으로 200만킬로와트의 전력을 북한에 직접 송전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기자: 현재 2년째 중단 상태인 대북 경수로 건설공사를 종료하는 대신에 상응하는 전력공급을 제안한 것입니다.
정부는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폐기가 합의되는 즉시 송전선로와 변환시설 건설에 착수해 3년 내에 전력공급을 시작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습니다.
빠르면 2008년 이후부터는 대북 직접 전력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추진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지난 94년 제네바합의에 따라 경수로 사업을 되살릴 경우 우리 정부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24억달러.
중대제안의 핵심요소인 기반 설비 공사는 이 범위 내에서 마무리할 수 있다는 추정입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제네바합의에 따라서 경수로를 짓는 데 들어가게 될 비용으로 북한에 대해 전력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기자: 정부는 대북 전력공급은 우리 정부의 독자적인 추진사항으로 다른 관련국들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촉구해나간다는 계획입니다.
KBS뉴스 정창준입니다.
첫 소식으로 정창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오늘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대북 중대제안의 공개와 대국민 설득 방침을 정했습니다.
대북 중대제안은 북한이 핵폐기에 합의할 경우 남한의 전력을 북한에 제공하는 안으로 확인됐습니다.
직접 송전방식입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우리가 독자적으로 200만킬로와트의 전력을 북한에 직접 송전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기자: 현재 2년째 중단 상태인 대북 경수로 건설공사를 종료하는 대신에 상응하는 전력공급을 제안한 것입니다.
정부는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폐기가 합의되는 즉시 송전선로와 변환시설 건설에 착수해 3년 내에 전력공급을 시작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습니다.
빠르면 2008년 이후부터는 대북 직접 전력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추진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지난 94년 제네바합의에 따라 경수로 사업을 되살릴 경우 우리 정부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24억달러.
중대제안의 핵심요소인 기반 설비 공사는 이 범위 내에서 마무리할 수 있다는 추정입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제네바합의에 따라서 경수로를 짓는 데 들어가게 될 비용으로 북한에 대해 전력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기자: 정부는 대북 전력공급은 우리 정부의 독자적인 추진사항으로 다른 관련국들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촉구해나간다는 계획입니다.
KBS뉴스 정창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핵포기하면 남한 전력 공급”
-
- 입력 2005-07-12 20:57:39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북한이 6자회담에서 핵폐기에 합의하면 남한 전력 200만킬로와트를 제공하겠다는 중대제안의 내용을 정부가 공개했습니다.
첫 소식으로 정창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는 오늘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대북 중대제안의 공개와 대국민 설득 방침을 정했습니다.
대북 중대제안은 북한이 핵폐기에 합의할 경우 남한의 전력을 북한에 제공하는 안으로 확인됐습니다.
직접 송전방식입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우리가 독자적으로 200만킬로와트의 전력을 북한에 직접 송전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기자: 현재 2년째 중단 상태인 대북 경수로 건설공사를 종료하는 대신에 상응하는 전력공급을 제안한 것입니다.
정부는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폐기가 합의되는 즉시 송전선로와 변환시설 건설에 착수해 3년 내에 전력공급을 시작하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습니다.
빠르면 2008년 이후부터는 대북 직접 전력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추가 비용 부담 없이 추진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
지난 94년 제네바합의에 따라 경수로 사업을 되살릴 경우 우리 정부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24억달러.
중대제안의 핵심요소인 기반 설비 공사는 이 범위 내에서 마무리할 수 있다는 추정입니다.
⊙정동영(통일부 장관): 제네바합의에 따라서 경수로를 짓는 데 들어가게 될 비용으로 북한에 대해 전력을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기자: 정부는 대북 전력공급은 우리 정부의 독자적인 추진사항으로 다른 관련국들도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촉구해나간다는 계획입니다.
KBS뉴스 정창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