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이슈 이태원 참사
‘이상민 탄핵소추안’ 통과…野3당 “국민의 심판”
입력 2023.02.08 (21:02) 수정 2023.02.09 (07:59)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안녕하십니까.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습니다.

야 3당이 공동으로 이태원 참사의 책임을 물은 건데 이렇게 국무위원이 탄핵소추된 건 헌정 사상 처음입니다.

오늘(8일) 이 문제, 집중해서 들여다봅니다.

첫 소식,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상민 행안부 장관 탄핵안이 참사 발생 102일 만에 국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무기명 표결에서 전체 293명 가운데 과반인 179명이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국무위원 탄핵안이 국회 문턱을 넘은 건 75년 헌정 사상 처음입니다.

민주당은 제안 설명에서 재난·안전 주무로서 이 장관 탄핵 사유는 차고 넘친다며 참사 희생자 중 100여 명의 이름을 부르기도 했습니다.

[김승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희생자들이 잊혀지지 않도록 역사에 기록해 달라고 하십니다. 지켜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정말 미안합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애초 탄핵안을 대정부 질문 이후 표결에 부치는 일정을 제시했지만, 야당은 표결을 통해 이 안건을 부결시키기도 했습니다.

오후 늦게 표결하면 이탈 의원이 생길 수 있어 '단속'에 나선 겁니다.

야당은 윤석열 정권이 참사 책임에 대해 끝내 답을 내놓지 않았다며 탄핵안 처리는 '국민의 심판', '민심의 경고'라고 했습니다.

[박홍근/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정치적 선택이나 술책이 아닙니다. 무능으로 국민을 지키지 못한 이 정권의 무책임한 침묵처럼 우리 국회마저 침묵한다면 불행한 참사는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김희서/정의당 수석대변인 :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 여당은 탄핵소추안에 담긴 국민의 뜻과 경고를 더 이상 무시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참사 유족들도 "정부의 침묵 속에서 국회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이제라도 해줬다"며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도 책임을 다해달라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윤대민/영상편집:안영아/그래픽:박미주
  • ‘이상민 탄핵소추안’ 통과…野3당 “국민의 심판”
    • 입력 2023-02-08 21:02:21
    • 수정2023-02-09 07:59:29
    뉴스 9
[앵커]

안녕하십니까.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됐습니다.

야 3당이 공동으로 이태원 참사의 책임을 물은 건데 이렇게 국무위원이 탄핵소추된 건 헌정 사상 처음입니다.

오늘(8일) 이 문제, 집중해서 들여다봅니다.

첫 소식, 최유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상민 행안부 장관 탄핵안이 참사 발생 102일 만에 국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무기명 표결에서 전체 293명 가운데 과반인 179명이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국무위원 탄핵안이 국회 문턱을 넘은 건 75년 헌정 사상 처음입니다.

민주당은 제안 설명에서 재난·안전 주무로서 이 장관 탄핵 사유는 차고 넘친다며 참사 희생자 중 100여 명의 이름을 부르기도 했습니다.

[김승원/더불어민주당 의원 : "희생자들이 잊혀지지 않도록 역사에 기록해 달라고 하십니다. 지켜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정말 미안합니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애초 탄핵안을 대정부 질문 이후 표결에 부치는 일정을 제시했지만, 야당은 표결을 통해 이 안건을 부결시키기도 했습니다.

오후 늦게 표결하면 이탈 의원이 생길 수 있어 '단속'에 나선 겁니다.

야당은 윤석열 정권이 참사 책임에 대해 끝내 답을 내놓지 않았다며 탄핵안 처리는 '국민의 심판', '민심의 경고'라고 했습니다.

[박홍근/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정치적 선택이나 술책이 아닙니다. 무능으로 국민을 지키지 못한 이 정권의 무책임한 침묵처럼 우리 국회마저 침묵한다면 불행한 참사는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김희서/정의당 수석대변인 :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 여당은 탄핵소추안에 담긴 국민의 뜻과 경고를 더 이상 무시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참사 유족들도 "정부의 침묵 속에서 국회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이제라도 해줬다"며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도 책임을 다해달라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최유경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 윤대민/영상편집:안영아/그래픽:박미주

이 기사는 건전한 댓글 문화와 원활한 운영을 위해 댓글사용이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