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만 년 전 ‘나무 화석’ 공개…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입력 2023.02.14 (19:31) 수정 2023.02.14 (1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길이가 10미터가 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나무 화석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2천 만 년 전 한반도의 식생 환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인정돼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습니다.

홍정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치 살아있는 나무를 통째로 옮겨놓은 듯, 울퉁불퉁한 나뭇결과 군데군데 자리 잡은 옹이가 선명합니다.

실제 나무처럼 보이지만, 2천 만 년 전 한반도에 자라던 나무가 퇴적층에 묻혀 돌처럼 굳어진 화석입니다.

길이는 10.2m, 폭은 최대 1.3m에 이릅니다.

2009년 경북 포항에서 발견된 국내 최대 규모의 나무 화석으로, 당시 식생과 퇴적 환경 등을 보여주는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달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습니다.

[정승호/국립문화재연구원 학예연구사 : "표면구조가 오늘날 나무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처럼 너무 생생하고, 온전하게 10m 이상의 길이로 나왔다는 것."]

화석이 되기 전 이 나무는 나이테와 세포의 배열 특성 등으로 미뤄 측백나무 과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무 화석을 직접 본 관람객들은 압도적인 크기에 놀라고, 온전한 보존 상태에 한 번 더 놀랍니다.

[김명선/서울시 마포구 : "형태가 그대로 보존돼 있어 가지고, '돌'이라는 게 어떻게 보면 원형이 어느 것이든 다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문화재청은 추가 보존 처리와 공간 확보를 통해 이 나무 화석을 상설 전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번 특별공개 행사에서는 국내에서 발굴된 신생대 고래골격 화석과 신종 공룡으로 인정받은 네 발로 걷는 조각류 공룡의 발자국 화석 등도 선보입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천만 년 전 ‘나무 화석’ 공개…천연기념물로 지정돼
    • 입력 2023-02-14 19:31:49
    • 수정2023-02-14 19:43:32
    뉴스 7
[앵커]

길이가 10미터가 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나무 화석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됐습니다.

2천 만 년 전 한반도의 식생 환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인정돼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습니다.

홍정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치 살아있는 나무를 통째로 옮겨놓은 듯, 울퉁불퉁한 나뭇결과 군데군데 자리 잡은 옹이가 선명합니다.

실제 나무처럼 보이지만, 2천 만 년 전 한반도에 자라던 나무가 퇴적층에 묻혀 돌처럼 굳어진 화석입니다.

길이는 10.2m, 폭은 최대 1.3m에 이릅니다.

2009년 경북 포항에서 발견된 국내 최대 규모의 나무 화석으로, 당시 식생과 퇴적 환경 등을 보여주는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달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습니다.

[정승호/국립문화재연구원 학예연구사 : "표면구조가 오늘날 나무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처럼 너무 생생하고, 온전하게 10m 이상의 길이로 나왔다는 것."]

화석이 되기 전 이 나무는 나이테와 세포의 배열 특성 등으로 미뤄 측백나무 과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무 화석을 직접 본 관람객들은 압도적인 크기에 놀라고, 온전한 보존 상태에 한 번 더 놀랍니다.

[김명선/서울시 마포구 : "형태가 그대로 보존돼 있어 가지고, '돌'이라는 게 어떻게 보면 원형이 어느 것이든 다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문화재청은 추가 보존 처리와 공간 확보를 통해 이 나무 화석을 상설 전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번 특별공개 행사에서는 국내에서 발굴된 신생대 고래골격 화석과 신종 공룡으로 인정받은 네 발로 걷는 조각류 공룡의 발자국 화석 등도 선보입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이동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