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요금 부담에 장사 접을 판”…자영업자들 지원 호소

입력 2023.02.21 (21:42) 수정 2023.02.21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소상공인들은 에너지 취약계층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재료비도 치솟았는데 에너지 요금 때문에 아예 장사를 접게 생겼다며 호소했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코인노래방입니다.

손님이 있든 없든 노래 기계를 켜둬야 하고, 난방도 일정 온도로 유지해야 해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없습니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서 사정이 좀 나아지나 했더니, 껑충 뛴 전기 요금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김익환/OO 노래방 대표 : "(코로나19를) 버티고 버텼는데 이제부터 정상영업 시작할 수 있나 했는데… 한 곡에 1000원 하면 현실적으로 손님들이 코인노래방 발길 끊지 않을까."]

이 숙박업소도 난방비 고지서를 받아들고 시름이 깊어졌습니다.

1년 전보다 사용량은 줄었는데 한달 가스 요금이 90만 원이나 더 나온 겁니다.

당장 숙박 요금을 올릴 수도 없는 상황.

[권현숙/OO숙박업소 대표 : "가스비가 올랐다고 저희만 (요금을) 올릴 수 없어요. 주위 업소랑 경쟁을 해야 하니까 저희가 그냥 감내할 수밖에 없어요."]

견디다 못한 소상공인들은 정부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고지서에 덜덜 떤다, 덜덜 떤다, 덜덜 떤다!!"]

이들이 공개한 관리비를 확인해 보니, PC방, 노래방, 미용실 등 에너지 사용이 많은 업종에서 한 달 평균 30%가량 요금 부담이 늘었습니다.

[유덕현/OO찌개 대표 : "어쩔 수 없이 메뉴값을 조정하게 되면 과연 영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겠느냐, 절박한 상황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소상공인들은 요금 분할 납부 제도만으로는 버티기 힘들다며 에너지 취약계층에 포함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오세희/소상공인연합회 회장 : "난방비가 재난 수준이므로 사회적 보험 상품을 만들어서 지원을 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됩니다."]

최근 소상공인단체 조사에선 응답자의 80%가 난방 비용에 매우 부담을 느꼈고, 35%는 마땅한 대안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왕인흡 김형준/영상편집:이상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너지요금 부담에 장사 접을 판”…자영업자들 지원 호소
    • 입력 2023-02-21 21:42:46
    • 수정2023-02-21 22:08:16
    뉴스 9
[앵커]

소상공인들은 에너지 취약계층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재료비도 치솟았는데 에너지 요금 때문에 아예 장사를 접게 생겼다며 호소했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코인노래방입니다.

손님이 있든 없든 노래 기계를 켜둬야 하고, 난방도 일정 온도로 유지해야 해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없습니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서 사정이 좀 나아지나 했더니, 껑충 뛴 전기 요금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김익환/OO 노래방 대표 : "(코로나19를) 버티고 버텼는데 이제부터 정상영업 시작할 수 있나 했는데… 한 곡에 1000원 하면 현실적으로 손님들이 코인노래방 발길 끊지 않을까."]

이 숙박업소도 난방비 고지서를 받아들고 시름이 깊어졌습니다.

1년 전보다 사용량은 줄었는데 한달 가스 요금이 90만 원이나 더 나온 겁니다.

당장 숙박 요금을 올릴 수도 없는 상황.

[권현숙/OO숙박업소 대표 : "가스비가 올랐다고 저희만 (요금을) 올릴 수 없어요. 주위 업소랑 경쟁을 해야 하니까 저희가 그냥 감내할 수밖에 없어요."]

견디다 못한 소상공인들은 정부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고지서에 덜덜 떤다, 덜덜 떤다, 덜덜 떤다!!"]

이들이 공개한 관리비를 확인해 보니, PC방, 노래방, 미용실 등 에너지 사용이 많은 업종에서 한 달 평균 30%가량 요금 부담이 늘었습니다.

[유덕현/OO찌개 대표 : "어쩔 수 없이 메뉴값을 조정하게 되면 과연 영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겠느냐, 절박한 상황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소상공인들은 요금 분할 납부 제도만으로는 버티기 힘들다며 에너지 취약계층에 포함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오세희/소상공인연합회 회장 : "난방비가 재난 수준이므로 사회적 보험 상품을 만들어서 지원을 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됩니다."]

최근 소상공인단체 조사에선 응답자의 80%가 난방 비용에 매우 부담을 느꼈고, 35%는 마땅한 대안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왕인흡 김형준/영상편집:이상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