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협력 강조’에…여 “국익 관점” 야 “3·1 정신 훼손”

입력 2023.03.01 (19:03) 수정 2023.03.01 (19: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과의 협력을 강조한 오늘(1일) 대통령 기념사에, 여야의 평가는 엇갈렸습니다.

여당은 국익 관점에서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했다고 긍정 평가한 반면, 야당들은 역사관이 의심스러운 역대 최악의 기념사, '3.1 정신 훼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이 오로지 국익 관점에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세계적 복합위기와 북한 핵 위협 대응을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세계 변화에 발맞춰 미래를 준비하는데 앞장서겠다고도 했습니다.

[박정하/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갈등과 대립의 연속이 아닌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미래지향적인 우리의 방향을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대통령의 기념사만 보면 일제강점 상처가 깨끗이 아문 것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일본과 협력은 진솔한 사과와 책임지는 자세가 전제돼야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시민단체가 마련한 기념행사에 참석한 이재명 대표는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방안을 비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피해자를 보호해야 될 정부가 나서서 '돈 필요해? 얼마면 돼? 내가 대신 줄게' 이런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SNS 를 통해서는, 일제 강점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내인론'이 3.1절 기념사에 나온 거라고 지적하며, "선열 앞에 고개를 들 수 없는 심정"이라고도 했습니다.

정의당도 과거 반성이 전혀 없는 일본에 협력만 강조하는 것은 '친일 굴종 외교'라며 역대 최악의 기념사였다고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 노경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협력 강조’에…여 “국익 관점” 야 “3·1 정신 훼손”
    • 입력 2023-03-01 19:03:58
    • 수정2023-03-01 19:22:10
    뉴스 7
[앵커]

일본과의 협력을 강조한 오늘(1일) 대통령 기념사에, 여야의 평가는 엇갈렸습니다.

여당은 국익 관점에서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했다고 긍정 평가한 반면, 야당들은 역사관이 의심스러운 역대 최악의 기념사, '3.1 정신 훼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윤석열 대통령이 오로지 국익 관점에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세계적 복합위기와 북한 핵 위협 대응을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세계 변화에 발맞춰 미래를 준비하는데 앞장서겠다고도 했습니다.

[박정하/국민의힘 수석대변인 : "갈등과 대립의 연속이 아닌 역사에서 교훈을 찾고 미래지향적인 우리의 방향을 제시한 것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대통령의 기념사만 보면 일제강점 상처가 깨끗이 아문 것 같다고 비판했습니다.

일본과 협력은 진솔한 사과와 책임지는 자세가 전제돼야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시민단체가 마련한 기념행사에 참석한 이재명 대표는 정부의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방안을 비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 "피해자를 보호해야 될 정부가 나서서 '돈 필요해? 얼마면 돼? 내가 대신 줄게' 이런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SNS 를 통해서는, 일제 강점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내인론'이 3.1절 기념사에 나온 거라고 지적하며, "선열 앞에 고개를 들 수 없는 심정"이라고도 했습니다.

정의당도 과거 반성이 전혀 없는 일본에 협력만 강조하는 것은 '친일 굴종 외교'라며 역대 최악의 기념사였다고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장세권/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 노경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