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죄와 반성은 없고…“日, ‘후속조치’에만 관심”

입력 2023.03.08 (21:29) 수정 2023.03.08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수요일인 오늘 3월 8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여성의 날이죠.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선 어김없이 강제동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 집회가 열렸습니다.

참가자들은 여성의 존엄과 인권을 뜻하는 노랗고 파란 장미꽃을 들었는데요.

피해 당사자가 합의하지 않은 정부의 강제 동원 피해 보상안에 반대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이렇게 국내에서는 반발과 비판이 거센데 정작 일본은 후속 조치에만 몰두하는 분위깁니다.

문제 해결의 핵심인 사죄와 반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정부 대변인격인 관방장관의 정례 기자회견.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 정상화 추진에 대한 입장을 묻자, 한·일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한국의 조치를 주시하겠다고 말합니다.

기대감을 내비친 겁니다.

[마쓰노 히로카즈/일본 관방장관 : "지소미아는 일한(한일) 간 안보협력과 연계를 강화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한국 측 검토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해법을 발표하자마자 수출규제, 지소미아까지 그동안 묶여 있던 관련 조치들이 모두 제자리로, 빠르게 돌아가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강제동원 배상 해법과 관련한 발언은 첫날 기자회견 이후 한 마디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일본 기자들의 질문도 없었고 정부 측 입장에 대한 어떤 설명도 없었습니다.

우리 정부의 발표가 있었던 그제(6일) 외무상과 총리의 약식 기자회견, "한국이 후속 조치를 착실하게 이행할 거로 기대한다"는 어제(7일) 외무상의 발언이 전부입니다.

일본 정부의 무대응 속에 일본 언론의 관심도 한·일 정상회담, 한·미·일 안보협력 등 후속 조치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강제동원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위해 사죄나 반성을 촉구하기보단 한국 내 여론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니시노 준야 게이오대 교수/NHK 인터뷰 : "윤 정권이 국정 운영에 노력해서 한국 내 이해를 얻는 작업을 충분히 해 나간다면 이번 해결책이 지속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을 거로 봅니다."]

한국이 내놓은 해법을 일본이 마지못해 받아들여 주고 또 이를 제대로 이행할지 지켜봐야 한다는 게 여기서 느껴지는 주된 반응입니다.

문제의 본질인 사죄와 반성, 적극적인 배상 해법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찾아보기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최창준/자료조사:이지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죄와 반성은 없고…“日, ‘후속조치’에만 관심”
    • 입력 2023-03-08 21:29:00
    • 수정2023-03-08 22:02:00
    뉴스 9
[앵커]

수요일인 오늘 3월 8일은 유엔이 정한 세계 여성의 날이죠.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선 어김없이 강제동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 집회가 열렸습니다.

참가자들은 여성의 존엄과 인권을 뜻하는 노랗고 파란 장미꽃을 들었는데요.

피해 당사자가 합의하지 않은 정부의 강제 동원 피해 보상안에 반대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습니다.

이렇게 국내에서는 반발과 비판이 거센데 정작 일본은 후속 조치에만 몰두하는 분위깁니다.

문제 해결의 핵심인 사죄와 반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정부 대변인격인 관방장관의 정례 기자회견.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 정상화 추진에 대한 입장을 묻자, 한·일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라며 한국의 조치를 주시하겠다고 말합니다.

기대감을 내비친 겁니다.

[마쓰노 히로카즈/일본 관방장관 : "지소미아는 일한(한일) 간 안보협력과 연계를 강화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한국 측 검토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해법을 발표하자마자 수출규제, 지소미아까지 그동안 묶여 있던 관련 조치들이 모두 제자리로, 빠르게 돌아가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강제동원 배상 해법과 관련한 발언은 첫날 기자회견 이후 한 마디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일본 기자들의 질문도 없었고 정부 측 입장에 대한 어떤 설명도 없었습니다.

우리 정부의 발표가 있었던 그제(6일) 외무상과 총리의 약식 기자회견, "한국이 후속 조치를 착실하게 이행할 거로 기대한다"는 어제(7일) 외무상의 발언이 전부입니다.

일본 정부의 무대응 속에 일본 언론의 관심도 한·일 정상회담, 한·미·일 안보협력 등 후속 조치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강제동원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위해 사죄나 반성을 촉구하기보단 한국 내 여론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니시노 준야 게이오대 교수/NHK 인터뷰 : "윤 정권이 국정 운영에 노력해서 한국 내 이해를 얻는 작업을 충분히 해 나간다면 이번 해결책이 지속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을 거로 봅니다."]

한국이 내놓은 해법을 일본이 마지못해 받아들여 주고 또 이를 제대로 이행할지 지켜봐야 한다는 게 여기서 느껴지는 주된 반응입니다.

문제의 본질인 사죄와 반성, 적극적인 배상 해법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찾아보기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최창준/자료조사:이지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