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강릉] ‘동해항’에서 16㎞ ‘옥계항’ 개발?…“중복 투자 우려”
입력 2023.03.09 (19:23)
수정 2023.03.09 (20: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릉시가 옥계항을 컨테이너 수송이 가능한 물류항으로 바꿔 개발하는 계획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인근 동해시 지역사회는 현재 동해항조차 물동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복투자를 중단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시멘트와 유연탄 등을 실어나르는 강릉 옥계항입니다.
강릉시는 지방관리 무역항인 옥계항을 국가관리항으로 바꿔 물동량을 늘리고, 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내년 상반기까지 개발 계획과 경제성 분석을 위한 용역이 시행됩니다.
강릉시와 인접한 동해시 지역사회가 옥계항 개발 계획에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동해항과 옥계항 간 거리가 10여 킬로미터에 불과해 예산 낭비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입니다.
강릉시는 옥계항은 컨테이너 물류항으로 벌크 위주의 동해항과 다르다고 하지만, 동해항도 컨테이너 화물 유치가 꾸준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동훈/북방물류산업진흥원 정책기획본부장 : "강원도 물동량은 한정적이고 항로 자체도 중복 항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거점항만을 육성하고…."]
동해신항까지 건설되면 물동량 확보는 더 큰 고민거리가 될 전망입니다.
자칫 자치단체 간 제살깎아먹기가 우려되고 있지만, 강원도는 대응에 소극적입니다.
강원도는 옥계항이 국가관리항으로 지정되면 지방 재정도 아낄 수 있고, 항만 경쟁력도 올라간다고 판단합니다.
[최성균/강원도환동해본부장 : "열악한 강원도의 입장을 봐서는 항만은 발전해야 하고, 투자는 어느 항이든 많이 투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적으로 발전소 연료 이외 물동량 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인 상황.
국가재정 투입 가능성마저 아직 불분명한 가운데, 지역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점차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태백시, 갈등 빈발 ‘택시요금 체계’ 개선 추진
태백시가 요금 갈등이 빈발하고 있는 택시요금 체계 개선을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택시 운수 종사자와 주민을 대상으로 요금 체계 개선을 위한 설명회를 열어, 연구용역 내용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입니다.
2008년부터 적용되는 태백시의 택시요금 체계는 복합 할증 체계로, 지역에 따라 31%에서 최고 52%의 할증률이 적용돼 부당 요금 오해로 인한 갈등과 민원이 빈발하고 있습니다.
정선군, 농번기 마을공동급식 지원사업 확대
정선군은 올해부터 마을 공동급식 지원금을 기존 500만 원에서 700만 원으로 늘려, 25개 마을에 모두 1억 7천5백만 원을 지원합니다.
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은 조리원 인건비와 부식비 일부 등을 지원하는 마을 공동 급식을 통해 여성 농업인의 농번기 가사 부담과 점식 식사 마련 부담을 덜어주는 사업입니다.
강릉시, ‘강원FC 강릉 시즌권’ 구매 독려
강릉시가 이달(3월) 말 만료되는 '강원FC 강릉 시즌권' 만 명 구매 달성을 위한 막바지 홍보에 나섭니다.
강릉시는 공식 유튜브 채널에 강릉제일고와 강릉중앙고의 정기전 등 '구도 강릉'을 주제로 만든 콘텐츠를 올리는 등 주민들을 대상으로 시즌권 구매를 독려하기로 했습니다.
올 시즌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강원FC 홈경기를 볼 수 있는 강원FC 강릉 시즌권은 지난 2일 기준으로, 114개 기관, 2천여 명이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양양군, 농산물 저온저장고 53동 설치 지원
양양군이 고품질 농산물 생산과 유통을 위해 올해 2억 4천만 원을 들여 저온저장고 제작 설치비의 절반을 지원합니다.
지원 시설은 10제곱미터 규모의 소형 저온저장고 53동입니다.
지원 대상자는 출하량이 많고 공동이용률이 높은 농가, 수출 유망품종 생산 농가 등입니다.
강릉시가 옥계항을 컨테이너 수송이 가능한 물류항으로 바꿔 개발하는 계획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인근 동해시 지역사회는 현재 동해항조차 물동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복투자를 중단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시멘트와 유연탄 등을 실어나르는 강릉 옥계항입니다.
강릉시는 지방관리 무역항인 옥계항을 국가관리항으로 바꿔 물동량을 늘리고, 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내년 상반기까지 개발 계획과 경제성 분석을 위한 용역이 시행됩니다.
강릉시와 인접한 동해시 지역사회가 옥계항 개발 계획에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동해항과 옥계항 간 거리가 10여 킬로미터에 불과해 예산 낭비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입니다.
강릉시는 옥계항은 컨테이너 물류항으로 벌크 위주의 동해항과 다르다고 하지만, 동해항도 컨테이너 화물 유치가 꾸준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동훈/북방물류산업진흥원 정책기획본부장 : "강원도 물동량은 한정적이고 항로 자체도 중복 항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거점항만을 육성하고…."]
동해신항까지 건설되면 물동량 확보는 더 큰 고민거리가 될 전망입니다.
자칫 자치단체 간 제살깎아먹기가 우려되고 있지만, 강원도는 대응에 소극적입니다.
강원도는 옥계항이 국가관리항으로 지정되면 지방 재정도 아낄 수 있고, 항만 경쟁력도 올라간다고 판단합니다.
[최성균/강원도환동해본부장 : "열악한 강원도의 입장을 봐서는 항만은 발전해야 하고, 투자는 어느 항이든 많이 투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적으로 발전소 연료 이외 물동량 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인 상황.
국가재정 투입 가능성마저 아직 불분명한 가운데, 지역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점차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태백시, 갈등 빈발 ‘택시요금 체계’ 개선 추진
태백시가 요금 갈등이 빈발하고 있는 택시요금 체계 개선을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택시 운수 종사자와 주민을 대상으로 요금 체계 개선을 위한 설명회를 열어, 연구용역 내용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입니다.
2008년부터 적용되는 태백시의 택시요금 체계는 복합 할증 체계로, 지역에 따라 31%에서 최고 52%의 할증률이 적용돼 부당 요금 오해로 인한 갈등과 민원이 빈발하고 있습니다.
정선군, 농번기 마을공동급식 지원사업 확대
정선군은 올해부터 마을 공동급식 지원금을 기존 500만 원에서 700만 원으로 늘려, 25개 마을에 모두 1억 7천5백만 원을 지원합니다.
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은 조리원 인건비와 부식비 일부 등을 지원하는 마을 공동 급식을 통해 여성 농업인의 농번기 가사 부담과 점식 식사 마련 부담을 덜어주는 사업입니다.
강릉시, ‘강원FC 강릉 시즌권’ 구매 독려
강릉시가 이달(3월) 말 만료되는 '강원FC 강릉 시즌권' 만 명 구매 달성을 위한 막바지 홍보에 나섭니다.
강릉시는 공식 유튜브 채널에 강릉제일고와 강릉중앙고의 정기전 등 '구도 강릉'을 주제로 만든 콘텐츠를 올리는 등 주민들을 대상으로 시즌권 구매를 독려하기로 했습니다.
올 시즌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강원FC 홈경기를 볼 수 있는 강원FC 강릉 시즌권은 지난 2일 기준으로, 114개 기관, 2천여 명이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양양군, 농산물 저온저장고 53동 설치 지원
양양군이 고품질 농산물 생산과 유통을 위해 올해 2억 4천만 원을 들여 저온저장고 제작 설치비의 절반을 지원합니다.
지원 시설은 10제곱미터 규모의 소형 저온저장고 53동입니다.
지원 대상자는 출하량이 많고 공동이용률이 높은 농가, 수출 유망품종 생산 농가 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강릉] ‘동해항’에서 16㎞ ‘옥계항’ 개발?…“중복 투자 우려”
-
- 입력 2023-03-09 19:23:27
- 수정2023-03-09 20:05:58
[앵커]
강릉시가 옥계항을 컨테이너 수송이 가능한 물류항으로 바꿔 개발하는 계획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인근 동해시 지역사회는 현재 동해항조차 물동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복투자를 중단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시멘트와 유연탄 등을 실어나르는 강릉 옥계항입니다.
강릉시는 지방관리 무역항인 옥계항을 국가관리항으로 바꿔 물동량을 늘리고, 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내년 상반기까지 개발 계획과 경제성 분석을 위한 용역이 시행됩니다.
강릉시와 인접한 동해시 지역사회가 옥계항 개발 계획에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동해항과 옥계항 간 거리가 10여 킬로미터에 불과해 예산 낭비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입니다.
강릉시는 옥계항은 컨테이너 물류항으로 벌크 위주의 동해항과 다르다고 하지만, 동해항도 컨테이너 화물 유치가 꾸준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동훈/북방물류산업진흥원 정책기획본부장 : "강원도 물동량은 한정적이고 항로 자체도 중복 항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거점항만을 육성하고…."]
동해신항까지 건설되면 물동량 확보는 더 큰 고민거리가 될 전망입니다.
자칫 자치단체 간 제살깎아먹기가 우려되고 있지만, 강원도는 대응에 소극적입니다.
강원도는 옥계항이 국가관리항으로 지정되면 지방 재정도 아낄 수 있고, 항만 경쟁력도 올라간다고 판단합니다.
[최성균/강원도환동해본부장 : "열악한 강원도의 입장을 봐서는 항만은 발전해야 하고, 투자는 어느 항이든 많이 투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적으로 발전소 연료 이외 물동량 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인 상황.
국가재정 투입 가능성마저 아직 불분명한 가운데, 지역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점차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태백시, 갈등 빈발 ‘택시요금 체계’ 개선 추진
태백시가 요금 갈등이 빈발하고 있는 택시요금 체계 개선을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택시 운수 종사자와 주민을 대상으로 요금 체계 개선을 위한 설명회를 열어, 연구용역 내용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입니다.
2008년부터 적용되는 태백시의 택시요금 체계는 복합 할증 체계로, 지역에 따라 31%에서 최고 52%의 할증률이 적용돼 부당 요금 오해로 인한 갈등과 민원이 빈발하고 있습니다.
정선군, 농번기 마을공동급식 지원사업 확대
정선군은 올해부터 마을 공동급식 지원금을 기존 500만 원에서 700만 원으로 늘려, 25개 마을에 모두 1억 7천5백만 원을 지원합니다.
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은 조리원 인건비와 부식비 일부 등을 지원하는 마을 공동 급식을 통해 여성 농업인의 농번기 가사 부담과 점식 식사 마련 부담을 덜어주는 사업입니다.
강릉시, ‘강원FC 강릉 시즌권’ 구매 독려
강릉시가 이달(3월) 말 만료되는 '강원FC 강릉 시즌권' 만 명 구매 달성을 위한 막바지 홍보에 나섭니다.
강릉시는 공식 유튜브 채널에 강릉제일고와 강릉중앙고의 정기전 등 '구도 강릉'을 주제로 만든 콘텐츠를 올리는 등 주민들을 대상으로 시즌권 구매를 독려하기로 했습니다.
올 시즌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강원FC 홈경기를 볼 수 있는 강원FC 강릉 시즌권은 지난 2일 기준으로, 114개 기관, 2천여 명이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양양군, 농산물 저온저장고 53동 설치 지원
양양군이 고품질 농산물 생산과 유통을 위해 올해 2억 4천만 원을 들여 저온저장고 제작 설치비의 절반을 지원합니다.
지원 시설은 10제곱미터 규모의 소형 저온저장고 53동입니다.
지원 대상자는 출하량이 많고 공동이용률이 높은 농가, 수출 유망품종 생산 농가 등입니다.
강릉시가 옥계항을 컨테이너 수송이 가능한 물류항으로 바꿔 개발하는 계획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인근 동해시 지역사회는 현재 동해항조차 물동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중복투자를 중단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시멘트와 유연탄 등을 실어나르는 강릉 옥계항입니다.
강릉시는 지방관리 무역항인 옥계항을 국가관리항으로 바꿔 물동량을 늘리고, 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내년 상반기까지 개발 계획과 경제성 분석을 위한 용역이 시행됩니다.
강릉시와 인접한 동해시 지역사회가 옥계항 개발 계획에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동해항과 옥계항 간 거리가 10여 킬로미터에 불과해 예산 낭비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입니다.
강릉시는 옥계항은 컨테이너 물류항으로 벌크 위주의 동해항과 다르다고 하지만, 동해항도 컨테이너 화물 유치가 꾸준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동훈/북방물류산업진흥원 정책기획본부장 : "강원도 물동량은 한정적이고 항로 자체도 중복 항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거점항만을 육성하고…."]
동해신항까지 건설되면 물동량 확보는 더 큰 고민거리가 될 전망입니다.
자칫 자치단체 간 제살깎아먹기가 우려되고 있지만, 강원도는 대응에 소극적입니다.
강원도는 옥계항이 국가관리항으로 지정되면 지방 재정도 아낄 수 있고, 항만 경쟁력도 올라간다고 판단합니다.
[최성균/강원도환동해본부장 : "열악한 강원도의 입장을 봐서는 항만은 발전해야 하고, 투자는 어느 항이든 많이 투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실적으로 발전소 연료 이외 물동량 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인 상황.
국가재정 투입 가능성마저 아직 불분명한 가운데, 지역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점차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태백시, 갈등 빈발 ‘택시요금 체계’ 개선 추진
태백시가 요금 갈등이 빈발하고 있는 택시요금 체계 개선을 추진합니다.
이에 따라,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택시 운수 종사자와 주민을 대상으로 요금 체계 개선을 위한 설명회를 열어, 연구용역 내용을 설명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입니다.
2008년부터 적용되는 태백시의 택시요금 체계는 복합 할증 체계로, 지역에 따라 31%에서 최고 52%의 할증률이 적용돼 부당 요금 오해로 인한 갈등과 민원이 빈발하고 있습니다.
정선군, 농번기 마을공동급식 지원사업 확대
정선군은 올해부터 마을 공동급식 지원금을 기존 500만 원에서 700만 원으로 늘려, 25개 마을에 모두 1억 7천5백만 원을 지원합니다.
마을 공동급식 지원사업은 조리원 인건비와 부식비 일부 등을 지원하는 마을 공동 급식을 통해 여성 농업인의 농번기 가사 부담과 점식 식사 마련 부담을 덜어주는 사업입니다.
강릉시, ‘강원FC 강릉 시즌권’ 구매 독려
강릉시가 이달(3월) 말 만료되는 '강원FC 강릉 시즌권' 만 명 구매 달성을 위한 막바지 홍보에 나섭니다.
강릉시는 공식 유튜브 채널에 강릉제일고와 강릉중앙고의 정기전 등 '구도 강릉'을 주제로 만든 콘텐츠를 올리는 등 주민들을 대상으로 시즌권 구매를 독려하기로 했습니다.
올 시즌 강릉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강원FC 홈경기를 볼 수 있는 강원FC 강릉 시즌권은 지난 2일 기준으로, 114개 기관, 2천여 명이 구매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양양군, 농산물 저온저장고 53동 설치 지원
양양군이 고품질 농산물 생산과 유통을 위해 올해 2억 4천만 원을 들여 저온저장고 제작 설치비의 절반을 지원합니다.
지원 시설은 10제곱미터 규모의 소형 저온저장고 53동입니다.
지원 대상자는 출하량이 많고 공동이용률이 높은 농가, 수출 유망품종 생산 농가 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