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 중도금 대출 규제 풀렸지만, 지역별 양극화 뚜렷
입력 2023.03.21 (18:05)
수정 2023.03.21 (18: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중도금 대출 규제가 풀리고,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 경제부 박진수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제부터 중도금 대출 한도 규제가 풀렸지요.
얼마나 더 받을 수 있게 되는 겁니까.
[기자]
네, 분양을 받고 계약금을 낸 뒤 중도금, 그리고 잔금을 받아야 입주를 할 수 있죠.
대부분 중도금 비중이 제일 큰 데, 이 돈을 분양가와 관계없이 빌릴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12억 원 이하인 주택에만 대출을 허용했는데, 이 기준이 없어졌고, 전체 분양가의 60%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12억 원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최대 7억 2천만 원까지 빌릴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이미 풀린 규제도 많죠.
기존 주택 처분 조건도 사라졌고, 수도권에 묶여 있던 전매 제한 기간도 3년으로 줄었습니다.
규제 지역에서 풀린 곳에선 세대주가 아니어도 1순위 청약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 무순위 청약에선 서울의 분양 단지는 서울에, 경기도의 분양 단지는 경기도에 살아야 지원할 수 있었는데, 이 기준도 사라졌습니다.
또, 강남3구, 용산을 뺀 서울 대부분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가점 대신 추첨 물량도 많아졌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역과 관계없이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고, 또 되팔 수도 있다는 건데 이런 점들 때문인지, 청약 경쟁률이 많이 올랐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번 달 청약 신청을 받았던 서울 영등포구 아파트, 200대 1 가까운 경쟁률로 마감됐습니다.
은평구 아파트의 청약도 10대 1 넘는 경쟁률을 보여줬고요.
지난해 신청을 받았던 강동구, 성북구 아파트도 최근 미분양 물량 없이 이렇게 청약을 접수를 마감했습니다.
석 달 전만 해도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 분양 물량이 많이 나올 것이다.
이런 우려가 있었는데, 분위기는 바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격 기준 완화되고 대출 등 자금 조달도 쉬워졌으니 청약 시장에 뛰어드는 사람 더 많을 거고요.
여기에 전매제한 기간도 완화돼 시세 차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습니다.
그래서 집을 장만하려는 실수요보다는 차익을 보려는 가수요, 투기 수요들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앵커]
서울 청약 시장은 흐름이 좀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 지방은 좀 다르다고 합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지역별로 보면, 청약 시장 양극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6.1대 1입니다.
서울 57대 1, 경남 28.4대 1, 부산 12.1대 1입니다.
그런데 경기도만 봐도 1.1대 1.
인천 1.5대 1, 경북 0.7대 1, 전남 0.1대 1, 전북 0.2대 1, 제주 0.2대 1입니다.
이렇다 보니. 이번 달 분양 예정 물량도 지역별 차이가 큽니다.
서울은 분양 일정을 앞당기는 분위기고, 광주나 전북 등 지방 도시의 경우는 분양 물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청약 시장의 흐름이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미분양 물량은 좀 해소될 수 있을까요.
[기자]
네, 원희룡 국토부 장관, 미분양 아파트와 관련해 10만 호까지는 각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7만 5천 호를 넘어 계속 늘고 있는 미분양 주택이 건설사는 물론 금융사까지 연쇄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 답을 내놓은 겁니다.
원 장관은 대구의 경우 미분양 60%는 비교적 우량한 대기업들이 갖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걱정할 단계가 아니다.
이런 취지의 답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요.
아직도 분양가나 호가가 주변 시세나 소비자들이 기다리는 것보다 높다며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집을 살 때 전세를 안고 사는 이른바 '갭투자'도 전세가격이 하락하면서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도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분양 잘 된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달 2천 건을 돌파하며 늘고 있다고는 하지만, 통계 작성 시작 이후 월평균 6천여 건에 비하면 1/3 수준에 불과하는 등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갔다.
이렇게 보기에는 조금 어려운 상황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박미주
최근 중도금 대출 규제가 풀리고,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 경제부 박진수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제부터 중도금 대출 한도 규제가 풀렸지요.
얼마나 더 받을 수 있게 되는 겁니까.
[기자]
네, 분양을 받고 계약금을 낸 뒤 중도금, 그리고 잔금을 받아야 입주를 할 수 있죠.
대부분 중도금 비중이 제일 큰 데, 이 돈을 분양가와 관계없이 빌릴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12억 원 이하인 주택에만 대출을 허용했는데, 이 기준이 없어졌고, 전체 분양가의 60%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12억 원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최대 7억 2천만 원까지 빌릴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이미 풀린 규제도 많죠.
기존 주택 처분 조건도 사라졌고, 수도권에 묶여 있던 전매 제한 기간도 3년으로 줄었습니다.
규제 지역에서 풀린 곳에선 세대주가 아니어도 1순위 청약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 무순위 청약에선 서울의 분양 단지는 서울에, 경기도의 분양 단지는 경기도에 살아야 지원할 수 있었는데, 이 기준도 사라졌습니다.
또, 강남3구, 용산을 뺀 서울 대부분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가점 대신 추첨 물량도 많아졌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역과 관계없이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고, 또 되팔 수도 있다는 건데 이런 점들 때문인지, 청약 경쟁률이 많이 올랐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번 달 청약 신청을 받았던 서울 영등포구 아파트, 200대 1 가까운 경쟁률로 마감됐습니다.
은평구 아파트의 청약도 10대 1 넘는 경쟁률을 보여줬고요.
지난해 신청을 받았던 강동구, 성북구 아파트도 최근 미분양 물량 없이 이렇게 청약을 접수를 마감했습니다.
석 달 전만 해도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 분양 물량이 많이 나올 것이다.
이런 우려가 있었는데, 분위기는 바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격 기준 완화되고 대출 등 자금 조달도 쉬워졌으니 청약 시장에 뛰어드는 사람 더 많을 거고요.
여기에 전매제한 기간도 완화돼 시세 차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습니다.
그래서 집을 장만하려는 실수요보다는 차익을 보려는 가수요, 투기 수요들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앵커]
서울 청약 시장은 흐름이 좀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 지방은 좀 다르다고 합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지역별로 보면, 청약 시장 양극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6.1대 1입니다.
서울 57대 1, 경남 28.4대 1, 부산 12.1대 1입니다.
그런데 경기도만 봐도 1.1대 1.
인천 1.5대 1, 경북 0.7대 1, 전남 0.1대 1, 전북 0.2대 1, 제주 0.2대 1입니다.
이렇다 보니. 이번 달 분양 예정 물량도 지역별 차이가 큽니다.
서울은 분양 일정을 앞당기는 분위기고, 광주나 전북 등 지방 도시의 경우는 분양 물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청약 시장의 흐름이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미분양 물량은 좀 해소될 수 있을까요.
[기자]
네, 원희룡 국토부 장관, 미분양 아파트와 관련해 10만 호까지는 각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7만 5천 호를 넘어 계속 늘고 있는 미분양 주택이 건설사는 물론 금융사까지 연쇄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 답을 내놓은 겁니다.
원 장관은 대구의 경우 미분양 60%는 비교적 우량한 대기업들이 갖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걱정할 단계가 아니다.
이런 취지의 답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요.
아직도 분양가나 호가가 주변 시세나 소비자들이 기다리는 것보다 높다며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집을 살 때 전세를 안고 사는 이른바 '갭투자'도 전세가격이 하락하면서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도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분양 잘 된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달 2천 건을 돌파하며 늘고 있다고는 하지만, 통계 작성 시작 이후 월평균 6천여 건에 비하면 1/3 수준에 불과하는 등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갔다.
이렇게 보기에는 조금 어려운 상황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T] 중도금 대출 규제 풀렸지만, 지역별 양극화 뚜렷
-
- 입력 2023-03-21 18:05:35
- 수정2023-03-21 18:18:41

[앵커]
최근 중도금 대출 규제가 풀리고,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 경제부 박진수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제부터 중도금 대출 한도 규제가 풀렸지요.
얼마나 더 받을 수 있게 되는 겁니까.
[기자]
네, 분양을 받고 계약금을 낸 뒤 중도금, 그리고 잔금을 받아야 입주를 할 수 있죠.
대부분 중도금 비중이 제일 큰 데, 이 돈을 분양가와 관계없이 빌릴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12억 원 이하인 주택에만 대출을 허용했는데, 이 기준이 없어졌고, 전체 분양가의 60%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12억 원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최대 7억 2천만 원까지 빌릴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이미 풀린 규제도 많죠.
기존 주택 처분 조건도 사라졌고, 수도권에 묶여 있던 전매 제한 기간도 3년으로 줄었습니다.
규제 지역에서 풀린 곳에선 세대주가 아니어도 1순위 청약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 무순위 청약에선 서울의 분양 단지는 서울에, 경기도의 분양 단지는 경기도에 살아야 지원할 수 있었는데, 이 기준도 사라졌습니다.
또, 강남3구, 용산을 뺀 서울 대부분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가점 대신 추첨 물량도 많아졌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역과 관계없이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고, 또 되팔 수도 있다는 건데 이런 점들 때문인지, 청약 경쟁률이 많이 올랐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번 달 청약 신청을 받았던 서울 영등포구 아파트, 200대 1 가까운 경쟁률로 마감됐습니다.
은평구 아파트의 청약도 10대 1 넘는 경쟁률을 보여줬고요.
지난해 신청을 받았던 강동구, 성북구 아파트도 최근 미분양 물량 없이 이렇게 청약을 접수를 마감했습니다.
석 달 전만 해도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 분양 물량이 많이 나올 것이다.
이런 우려가 있었는데, 분위기는 바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격 기준 완화되고 대출 등 자금 조달도 쉬워졌으니 청약 시장에 뛰어드는 사람 더 많을 거고요.
여기에 전매제한 기간도 완화돼 시세 차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습니다.
그래서 집을 장만하려는 실수요보다는 차익을 보려는 가수요, 투기 수요들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앵커]
서울 청약 시장은 흐름이 좀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 지방은 좀 다르다고 합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지역별로 보면, 청약 시장 양극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6.1대 1입니다.
서울 57대 1, 경남 28.4대 1, 부산 12.1대 1입니다.
그런데 경기도만 봐도 1.1대 1.
인천 1.5대 1, 경북 0.7대 1, 전남 0.1대 1, 전북 0.2대 1, 제주 0.2대 1입니다.
이렇다 보니. 이번 달 분양 예정 물량도 지역별 차이가 큽니다.
서울은 분양 일정을 앞당기는 분위기고, 광주나 전북 등 지방 도시의 경우는 분양 물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청약 시장의 흐름이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미분양 물량은 좀 해소될 수 있을까요.
[기자]
네, 원희룡 국토부 장관, 미분양 아파트와 관련해 10만 호까지는 각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7만 5천 호를 넘어 계속 늘고 있는 미분양 주택이 건설사는 물론 금융사까지 연쇄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 답을 내놓은 겁니다.
원 장관은 대구의 경우 미분양 60%는 비교적 우량한 대기업들이 갖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걱정할 단계가 아니다.
이런 취지의 답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요.
아직도 분양가나 호가가 주변 시세나 소비자들이 기다리는 것보다 높다며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집을 살 때 전세를 안고 사는 이른바 '갭투자'도 전세가격이 하락하면서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도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분양 잘 된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달 2천 건을 돌파하며 늘고 있다고는 하지만, 통계 작성 시작 이후 월평균 6천여 건에 비하면 1/3 수준에 불과하는 등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갔다.
이렇게 보기에는 조금 어려운 상황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박미주
최근 중도금 대출 규제가 풀리고,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크게 올랐습니다.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지, 경제부 박진수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제부터 중도금 대출 한도 규제가 풀렸지요.
얼마나 더 받을 수 있게 되는 겁니까.
[기자]
네, 분양을 받고 계약금을 낸 뒤 중도금, 그리고 잔금을 받아야 입주를 할 수 있죠.
대부분 중도금 비중이 제일 큰 데, 이 돈을 분양가와 관계없이 빌릴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12억 원 이하인 주택에만 대출을 허용했는데, 이 기준이 없어졌고, 전체 분양가의 60%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12억 원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최대 7억 2천만 원까지 빌릴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이미 풀린 규제도 많죠.
기존 주택 처분 조건도 사라졌고, 수도권에 묶여 있던 전매 제한 기간도 3년으로 줄었습니다.
규제 지역에서 풀린 곳에선 세대주가 아니어도 1순위 청약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 무순위 청약에선 서울의 분양 단지는 서울에, 경기도의 분양 단지는 경기도에 살아야 지원할 수 있었는데, 이 기준도 사라졌습니다.
또, 강남3구, 용산을 뺀 서울 대부분 지역이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가점 대신 추첨 물량도 많아졌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지역과 관계없이 다주택자도 분양을 받을 수 있고, 또 되팔 수도 있다는 건데 이런 점들 때문인지, 청약 경쟁률이 많이 올랐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번 달 청약 신청을 받았던 서울 영등포구 아파트, 200대 1 가까운 경쟁률로 마감됐습니다.
은평구 아파트의 청약도 10대 1 넘는 경쟁률을 보여줬고요.
지난해 신청을 받았던 강동구, 성북구 아파트도 최근 미분양 물량 없이 이렇게 청약을 접수를 마감했습니다.
석 달 전만 해도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 분양 물량이 많이 나올 것이다.
이런 우려가 있었는데, 분위기는 바뀌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격 기준 완화되고 대출 등 자금 조달도 쉬워졌으니 청약 시장에 뛰어드는 사람 더 많을 거고요.
여기에 전매제한 기간도 완화돼 시세 차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습니다.
그래서 집을 장만하려는 실수요보다는 차익을 보려는 가수요, 투기 수요들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앵커]
서울 청약 시장은 흐름이 좀 바뀌었다고 볼 수 있는데, 지방은 좀 다르다고 합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지역별로 보면, 청약 시장 양극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6.1대 1입니다.
서울 57대 1, 경남 28.4대 1, 부산 12.1대 1입니다.
그런데 경기도만 봐도 1.1대 1.
인천 1.5대 1, 경북 0.7대 1, 전남 0.1대 1, 전북 0.2대 1, 제주 0.2대 1입니다.
이렇다 보니. 이번 달 분양 예정 물량도 지역별 차이가 큽니다.
서울은 분양 일정을 앞당기는 분위기고, 광주나 전북 등 지방 도시의 경우는 분양 물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청약 시장의 흐름이 부동산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미분양 물량은 좀 해소될 수 있을까요.
[기자]
네, 원희룡 국토부 장관, 미분양 아파트와 관련해 10만 호까지는 각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7만 5천 호를 넘어 계속 늘고 있는 미분양 주택이 건설사는 물론 금융사까지 연쇄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 답을 내놓은 겁니다.
원 장관은 대구의 경우 미분양 60%는 비교적 우량한 대기업들이 갖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걱정할 단계가 아니다.
이런 취지의 답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요.
아직도 분양가나 호가가 주변 시세나 소비자들이 기다리는 것보다 높다며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집을 살 때 전세를 안고 사는 이른바 '갭투자'도 전세가격이 하락하면서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도 평가했습니다.
실제로 분양 잘 된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달 2천 건을 돌파하며 늘고 있다고는 하지만, 통계 작성 시작 이후 월평균 6천여 건에 비하면 1/3 수준에 불과하는 등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들어갔다.
이렇게 보기에는 조금 어려운 상황입니다.
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박미주
-
-
박진수 기자 realwater@kbs.co.kr
박진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