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여론 설득될까

입력 2023.03.21 (21:16) 수정 2023.04.10 (15: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외교부 담당하는 윤진 기자와 한일관계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윤 대통령 모두 발언은 대부분이 한일정상회담 관련 설명이었습니다.

이렇게 적극 대처하는 배경,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지난 6일 정부가 배상 해법을 발표했을 때, 여론 반발이 컸습니다.

정부는 정상회담을 통해 경제나 안보 분야 등에서 한일 관계 개선의 실질적 성과가 나오면, 여론이 바뀔 거라고 기대했지만, 아직 변화가 느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국민들에게 대통령이 '정치적 결단'을 내리게 된 배경을 직접 설명하고, 대국민 설득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대통령은 일본이 이미 수십 차례 과거사 문제에 반성과 사죄를 표했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추가 사죄를 요구하는 이유는 뭔가요?

[기자]

과거사와 관련된 일본의 사죄 담화는, 대표적인 게 두 개 있습니다.

1998년 김대중-오부치 선언과 2010년 간 나오토 총리가 발표한 담화입니다.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손해와 고통을 안겨준 것에 대해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한다"고 했습니다.

문제는 일본 내각이 이 두 담화에 배치되는 언행을 계속 해 오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해법을 발표한 지 3일 뒤에, 하야시 일본 외무상이 강제동원의 불법성을 부인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때문에, 지금 기시다 내각이 계승하겠다고 한 게 어떤 건지, 입장을 명확히 알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겁니다.

[앵커]

오늘(21일)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해서, 피해자 측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강제동원 피해자는 정부가 인정한 사람만 21만여 명에 이릅니다.

피해자들의 의견을 하나로 정리하긴 어렵습니다.

저희가 오늘 피해자 단체들을 취재해 봤는데요, 의견이 둘로 갈렸습니다.

대통령 발언을 지지한다는 쪽에선, 한일 관계 개선의 필요성, 시급성에 동의한다고 했고요.

대신 관계 개선 뒤에는 사죄나 배상참여 같은 후속 조치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했습니다.

반면, 비판하는 쪽에서는 국민들이 반발하는 이유는 이번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 국가적 정체성을 부정당했다고 느끼고, 그래서 자존심이 상한 건데, 대통령이 이런 정서를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윤 대통령은 비판 여론 속에서도 '정면돌파'를 선택했습니다.

앞으로 한일 관계가 순탄하게 발전될까요?

[기자]

아직 낙관하긴 이릅니다.

한일 관계 개선은 정권의 의지만으로 되는 게 아니라 국민의 광범위한 지지가 필수적입니다.

정부의 대국민 설득 노력의 진정성, 여기에 일본 정부의 호응 정도에 따라 양국 간 미래도 결정될 걸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대 여론 설득될까
    • 입력 2023-03-21 21:16:01
    • 수정2023-04-10 15:36:51
    뉴스 9
[앵커]

외교부 담당하는 윤진 기자와 한일관계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윤 대통령 모두 발언은 대부분이 한일정상회담 관련 설명이었습니다.

이렇게 적극 대처하는 배경,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지난 6일 정부가 배상 해법을 발표했을 때, 여론 반발이 컸습니다.

정부는 정상회담을 통해 경제나 안보 분야 등에서 한일 관계 개선의 실질적 성과가 나오면, 여론이 바뀔 거라고 기대했지만, 아직 변화가 느껴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국민들에게 대통령이 '정치적 결단'을 내리게 된 배경을 직접 설명하고, 대국민 설득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대통령은 일본이 이미 수십 차례 과거사 문제에 반성과 사죄를 표했다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추가 사죄를 요구하는 이유는 뭔가요?

[기자]

과거사와 관련된 일본의 사죄 담화는, 대표적인 게 두 개 있습니다.

1998년 김대중-오부치 선언과 2010년 간 나오토 총리가 발표한 담화입니다.

"식민지 지배로 한국 국민에게 손해와 고통을 안겨준 것에 대해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한다"고 했습니다.

문제는 일본 내각이 이 두 담화에 배치되는 언행을 계속 해 오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해법을 발표한 지 3일 뒤에, 하야시 일본 외무상이 강제동원의 불법성을 부인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때문에, 지금 기시다 내각이 계승하겠다고 한 게 어떤 건지, 입장을 명확히 알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겁니다.

[앵커]

오늘(21일)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해서, 피해자 측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강제동원 피해자는 정부가 인정한 사람만 21만여 명에 이릅니다.

피해자들의 의견을 하나로 정리하긴 어렵습니다.

저희가 오늘 피해자 단체들을 취재해 봤는데요, 의견이 둘로 갈렸습니다.

대통령 발언을 지지한다는 쪽에선, 한일 관계 개선의 필요성, 시급성에 동의한다고 했고요.

대신 관계 개선 뒤에는 사죄나 배상참여 같은 후속 조치가 이어지길 바란다고 했습니다.

반면, 비판하는 쪽에서는 국민들이 반발하는 이유는 이번 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 국가적 정체성을 부정당했다고 느끼고, 그래서 자존심이 상한 건데, 대통령이 이런 정서를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윤 대통령은 비판 여론 속에서도 '정면돌파'를 선택했습니다.

앞으로 한일 관계가 순탄하게 발전될까요?

[기자]

아직 낙관하긴 이릅니다.

한일 관계 개선은 정권의 의지만으로 되는 게 아니라 국민의 광범위한 지지가 필수적입니다.

정부의 대국민 설득 노력의 진정성, 여기에 일본 정부의 호응 정도에 따라 양국 간 미래도 결정될 걸로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