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비앤비 예약했더니 불법 숙박?’…숙박업계 집단 반발

입력 2023.03.23 (21:45) 수정 2023.03.23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독특하고 개성있는 숙박시설로 '공유 숙박' 검색해서 가시는 분들 많은데요,

대부분 숙박업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 영업입니다.

숙박업계가 단속을 촉구하며 처음으로 집단 반발에 나섰습니다.

박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온라인 공유 숙박 앱에 올라온 대구의 한 오피스텔.

침구와 세면도구 등을 갖췄지만 불법 업소입니다.

심지어 엉뚱한 사업자등록증을 걸어 합법인 것처럼 위장했습니다.

이 숙박업소는 구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이렇게 공유 숙박앱에 버젓이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오피스텔 등 개인 소유 주거 시설에서 숙박업을 하려면, 건축물 용도가 '생활형 숙박시설'이거나 '외국인 관광 도시 민박업'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정식 등록된 숙박업소는 대구 44곳.

하지만 공유 숙박 앱에 등록된 곳은 대구만 8천 곳 이상, 대부분 무허가입니다.

[대구시청 관계자/음성변조 : "(공유 숙박 앱 등록은) 개인적으로 하는 거라서... 그거까지 저희가 파악한 건 없거든요."]

급기야 숙박업계가 집단 행동에 나섰습니다.

["무허가 숙박업, 근절하자!"]

숙박업계는, 지자체가 불법 시설에 대한 단속은커녕 현황파악도 안 하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위생관리는 물론 가스와 소방, 전기설비 등 숙박업소가 법적으로 갖춰야 할 요건도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3년 전 7명의 사상자를 낸 강원도 동해 펜션의 가스 폭발 사고 역시 무허가 업소에서 발생했습니다.

[배상재/대한숙박업중앙회 대구광역시지회장 : "1차적으론 세금 탈루, 2차적으론 마약, 청소년 혼숙, 화재 이런 것 등이 지금 취약점이 많습니다."]

새로운 관광 트렌드로 자리잡은 공유 숙박, 반면, 불법 숙박으로 인한 각종 문제가 끊이지 않는 만큼 자치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현황 파악과 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가영입니다.

촬영기자:전민재/그래픽:김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어비앤비 예약했더니 불법 숙박?’…숙박업계 집단 반발
    • 입력 2023-03-23 21:45:15
    • 수정2023-03-23 21:54:37
    뉴스9(대구)
[앵커]

최근, 독특하고 개성있는 숙박시설로 '공유 숙박' 검색해서 가시는 분들 많은데요,

대부분 숙박업 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 영업입니다.

숙박업계가 단속을 촉구하며 처음으로 집단 반발에 나섰습니다.

박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온라인 공유 숙박 앱에 올라온 대구의 한 오피스텔.

침구와 세면도구 등을 갖췄지만 불법 업소입니다.

심지어 엉뚱한 사업자등록증을 걸어 합법인 것처럼 위장했습니다.

이 숙박업소는 구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이렇게 공유 숙박앱에 버젓이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오피스텔 등 개인 소유 주거 시설에서 숙박업을 하려면, 건축물 용도가 '생활형 숙박시설'이거나 '외국인 관광 도시 민박업'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정식 등록된 숙박업소는 대구 44곳.

하지만 공유 숙박 앱에 등록된 곳은 대구만 8천 곳 이상, 대부분 무허가입니다.

[대구시청 관계자/음성변조 : "(공유 숙박 앱 등록은) 개인적으로 하는 거라서... 그거까지 저희가 파악한 건 없거든요."]

급기야 숙박업계가 집단 행동에 나섰습니다.

["무허가 숙박업, 근절하자!"]

숙박업계는, 지자체가 불법 시설에 대한 단속은커녕 현황파악도 안 하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위생관리는 물론 가스와 소방, 전기설비 등 숙박업소가 법적으로 갖춰야 할 요건도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3년 전 7명의 사상자를 낸 강원도 동해 펜션의 가스 폭발 사고 역시 무허가 업소에서 발생했습니다.

[배상재/대한숙박업중앙회 대구광역시지회장 : "1차적으론 세금 탈루, 2차적으론 마약, 청소년 혼숙, 화재 이런 것 등이 지금 취약점이 많습니다."]

새로운 관광 트렌드로 자리잡은 공유 숙박, 반면, 불법 숙박으로 인한 각종 문제가 끊이지 않는 만큼 자치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현황 파악과 관리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가영입니다.

촬영기자:전민재/그래픽:김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