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고리’ 러 화산 3개 잇단 분출…“60년 만의 강력한 화산재”

입력 2023.04.12 (06:13) 수정 2023.04.12 (08: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러시아 극동 캄차카 반도 일대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조산대에 있습니다.

이곳에서 최근 화산 활동이 이어졌는데, 어제는 가장 큰 규모의 화산인 시벨루치 화산이 분출을 시작했습니다.

화산재가 60년 만에 강력한 규모로 떨어지면서 인근 마을에 피해가 속출했습니다.

모스크바 조빛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우주에서 바라본 시벨루치 화산 분출 모습입니다.

화산재 구름의 움직임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현지 시각 11일 새벽 러시아 극동 캄차카 반도에서 가장 크고 활동적인 화산 중 하나인 시벨루치 화산이 분출을 시작했습니다.

[지역 주민 : "오전 9시인데 밤 같아요. 화산재가 떨어지고 있어요, 시벨루치 화산이 분출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밖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재는 최고 20킬로미터 높이까지 치솟았고 500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퍼져 나갔습니다.

용암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고속도로가 차단됐고, 항공기 운항 위험을 알리는 최고 단계인 적색 경보가 발령됐습니다.

[올레그 본다렌코/우스크-캄차츠키 정부 책임자 : "저기 화산재 구름이 있습니다. 오면서 만난 목격자들은 이미 용암이 흐르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더 이상은 못 가겠네요."]

며칠 동안 계속 눈이 내렸던 인근 마을은 갑자기 사막처럼 변해버렸습니다.

화산에서 5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클류치 마을에는 10센티미터 이상 화산재가 쌓였습니다.

이런 화산재 피해 규모는 60년 만에 가장 큰 것이라고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화산·지진 연구소는 밝혔습니다.

[알렉세이 가가린/기후학자 : "시벨루치 화산 분출의 영향으로 (지구에) 약간의 냉각 효과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0.1℃ 혹은 그보다 더 적거나 높은 수준으로요."]

쿠릴열도와 캄차카 반도 일대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합니다.

앞서 지난 8일엔 캄차카 반도의 또 다른 활화산인 베지미안니 화산이 분화했고, 6일엔 쿠릴열도의 에베코 화산에서도 분화가 시작됐습니다.

화산·지진 연구소는 시벨루치 화산의 강력한 분화 단계는 끝난 것으로 보고 있지만,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강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의 고리’ 러 화산 3개 잇단 분출…“60년 만의 강력한 화산재”
    • 입력 2023-04-12 06:13:16
    • 수정2023-04-12 08:06:34
    뉴스광장 1부
[앵커]

러시아 극동 캄차카 반도 일대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조산대에 있습니다.

이곳에서 최근 화산 활동이 이어졌는데, 어제는 가장 큰 규모의 화산인 시벨루치 화산이 분출을 시작했습니다.

화산재가 60년 만에 강력한 규모로 떨어지면서 인근 마을에 피해가 속출했습니다.

모스크바 조빛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우주에서 바라본 시벨루치 화산 분출 모습입니다.

화산재 구름의 움직임이 선명하게 보입니다.

현지 시각 11일 새벽 러시아 극동 캄차카 반도에서 가장 크고 활동적인 화산 중 하나인 시벨루치 화산이 분출을 시작했습니다.

[지역 주민 : "오전 9시인데 밤 같아요. 화산재가 떨어지고 있어요, 시벨루치 화산이 분출하고 있다고 들었어요. 밖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화산에서 뿜어져 나온 재는 최고 20킬로미터 높이까지 치솟았고 500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퍼져 나갔습니다.

용암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고속도로가 차단됐고, 항공기 운항 위험을 알리는 최고 단계인 적색 경보가 발령됐습니다.

[올레그 본다렌코/우스크-캄차츠키 정부 책임자 : "저기 화산재 구름이 있습니다. 오면서 만난 목격자들은 이미 용암이 흐르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더 이상은 못 가겠네요."]

며칠 동안 계속 눈이 내렸던 인근 마을은 갑자기 사막처럼 변해버렸습니다.

화산에서 5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클류치 마을에는 10센티미터 이상 화산재가 쌓였습니다.

이런 화산재 피해 규모는 60년 만에 가장 큰 것이라고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화산·지진 연구소는 밝혔습니다.

[알렉세이 가가린/기후학자 : "시벨루치 화산 분출의 영향으로 (지구에) 약간의 냉각 효과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0.1℃ 혹은 그보다 더 적거나 높은 수준으로요."]

쿠릴열도와 캄차카 반도 일대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합니다.

앞서 지난 8일엔 캄차카 반도의 또 다른 활화산인 베지미안니 화산이 분화했고, 6일엔 쿠릴열도의 에베코 화산에서도 분화가 시작됐습니다.

화산·지진 연구소는 시벨루치 화산의 강력한 분화 단계는 끝난 것으로 보고 있지만,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김인수/그래픽:강민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