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 서울광장’ 주말 개장…이태원 분향소는 어떻게?

입력 2023.04.17 (15:55) 수정 2023.04.17 (15: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 "분향소 철거, 강력히 요구 중"

서울시청 앞 분향소를 두고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서울시의 입장이 계속 평행선을 긋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오늘(17일) 정례브리핑에서 분향소 철거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다만 기한을 묻는 기자들 질의에 "마지노선은 별도로 정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주말 서울시청 광장에 대규모 행사가 예고되면서, 실제 분향소 철거 행정대집행이 이뤄 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 양측 만남 없이 정례 브리핑으로 압박

서울시청 앞에 분향소를 차린지 두 달째,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이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그동안 모두 16차례 면담을 가졌다고 강조합니다. 그런데 유족 측이 제안을 수용하지도, 다른 대안을 제시하지도 않아 합의점을 못 찾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동률 서울시 대변인이동률 서울시 대변인

결국 서울시는 지난주(10일) 정례브리핑에서는 "더 이상의 대화는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 이후 오늘까지 서울시와 유가족측의 만남은 없었습니다.

좁혀지지 않는 양측의 입장 차가 느껴집니다.


■ 유가족 측 "답답한 마음...철거 운운하는데 유감"

앞서 유가족 측은 KBS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서울시 방침에 답답한 마음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서울시도 참사에 일말의 책임이 있다며, 아이들의 억울함이 밝혀질 때까지 계속 이 자리를 지킨다는 입장입니다.

또, 입장문을 통해 관혼상제에 해당하는 분향소는 허가와 신고의 대상이 아니라고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유가족들은 '특별법 제정'으로 독립적인 조사기구를 만들고 아직 남아있는 참사에 대한 의문점을 풀자고 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협의회 측에 변상금 약 2,900만 원을 통보한데 대해선 "참사 피해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와 존중조차 잊었다"며 '깊은 유감'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열린 ‘책 읽는 서울광장’ 모습지난해 열린 ‘책 읽는 서울광장’ 모습

■ "시민에게 돌려줄 때" …행정대집행 임박?

서울시는 더 기다릴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당장 '세계 책의 날'인 23일, 지난해 21만 명이 찾은 '책 읽는 서울광장' 행사를 더 크게 개최한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광장에는 시민들이 앉아 책을 읽는 시설이 설치되고, 각종 공연이 오는 11월까지 이어집니다. 광장은 공연, 독서(리딩), 놀이, 팝업 4개 구역으로 나뉩니다.

현재로서 서울시 행사가 취소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유가족들도 현 자리를 지키기로 한 상황입니다.

정치와 행정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의 상처를 제대로 봉합하지 못하는 가운데, 분향소 앞 독서회라는 어색함을 감당 하는 건 시민들 몫이 될 상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책읽는 서울광장’ 주말 개장…이태원 분향소는 어떻게?
    • 입력 2023-04-17 15:55:55
    • 수정2023-04-17 15:56:15
    취재K

■ 서울시 "분향소 철거, 강력히 요구 중"

서울시청 앞 분향소를 두고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서울시의 입장이 계속 평행선을 긋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오늘(17일) 정례브리핑에서 분향소 철거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다만 기한을 묻는 기자들 질의에 "마지노선은 별도로 정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주말 서울시청 광장에 대규모 행사가 예고되면서, 실제 분향소 철거 행정대집행이 이뤄 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 양측 만남 없이 정례 브리핑으로 압박

서울시청 앞에 분향소를 차린지 두 달째,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이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그동안 모두 16차례 면담을 가졌다고 강조합니다. 그런데 유족 측이 제안을 수용하지도, 다른 대안을 제시하지도 않아 합의점을 못 찾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동률 서울시 대변인
결국 서울시는 지난주(10일) 정례브리핑에서는 "더 이상의 대화는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 이후 오늘까지 서울시와 유가족측의 만남은 없었습니다.

좁혀지지 않는 양측의 입장 차가 느껴집니다.


■ 유가족 측 "답답한 마음...철거 운운하는데 유감"

앞서 유가족 측은 KBS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서울시 방침에 답답한 마음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서울시도 참사에 일말의 책임이 있다며, 아이들의 억울함이 밝혀질 때까지 계속 이 자리를 지킨다는 입장입니다.

또, 입장문을 통해 관혼상제에 해당하는 분향소는 허가와 신고의 대상이 아니라고 반박하기도 했습니다.

유가족들은 '특별법 제정'으로 독립적인 조사기구를 만들고 아직 남아있는 참사에 대한 의문점을 풀자고 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협의회 측에 변상금 약 2,900만 원을 통보한데 대해선 "참사 피해자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와 존중조차 잊었다"며 '깊은 유감'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열린 ‘책 읽는 서울광장’ 모습
■ "시민에게 돌려줄 때" …행정대집행 임박?

서울시는 더 기다릴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당장 '세계 책의 날'인 23일, 지난해 21만 명이 찾은 '책 읽는 서울광장' 행사를 더 크게 개최한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광장에는 시민들이 앉아 책을 읽는 시설이 설치되고, 각종 공연이 오는 11월까지 이어집니다. 광장은 공연, 독서(리딩), 놀이, 팝업 4개 구역으로 나뉩니다.

현재로서 서울시 행사가 취소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유가족들도 현 자리를 지키기로 한 상황입니다.

정치와 행정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의 상처를 제대로 봉합하지 못하는 가운데, 분향소 앞 독서회라는 어색함을 감당 하는 건 시민들 몫이 될 상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