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1.16명...사상 최저
입력 2005.08.24 (22:01)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출산율이 또 사상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여성의 결혼이 늦어지고 아기를 낳는 것을 꺼리는 풍조 때문으로 시급한 국가적 현안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임승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 광고회사의 여직원은 40명, 대부분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나이인데 결혼한 여성은 5명에 불과합니다.
⊙김재연(회사원): 결혼이 일보다는 우선 순위에서 좀 밀리다 보니까 아무래도 전반적으로 늦어지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기자: 결혼을 해도 자녀를 낳기가 쉽지 않습니다.
⊙주희선(회사원): 금전적인 이유도 있고 맞벌이 부부들도 계속 늘어나다 보니까 이제 육아에 투자할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기자: 이렇다 보니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들이 평생 동안 낳는 자녀수는 평균 1.16명으로 사상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OECD 국가 가운데서도 가장 낮은 출산율입니다.
⊙김동회(통계청 인구동향과장): 결혼해야 할 사람들이 결혼을 안 하고 있는 것 하고도 연관이 되어진다고 보여집니다.
⊙기자: 첫 아이를 낳는 여성들의 평균 연령도 10년 전보다 2살이 넘게 많아졌고 아이를 낳는 전체 여성들의 평균 연령은 30.1세로 처음으로 30세를 넘어섰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나라는 2020년쯤부터 인구가 줄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승권(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고령화되면서 생산 연령 인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이것이 각 개인들에게는 큰 세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고요.
또 경제적으로는 경기침체를 낳을 수 있는...
⊙기자: 한편 사망자 수는 하루 평균 672명으로 전년도와 비슷했으며 연령별로는 50대 남성의 사망률이 같은 나이대 여성보다 3배나 높았습니다.
KBS뉴스 임승창입니다.
여성의 결혼이 늦어지고 아기를 낳는 것을 꺼리는 풍조 때문으로 시급한 국가적 현안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임승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 광고회사의 여직원은 40명, 대부분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나이인데 결혼한 여성은 5명에 불과합니다.
⊙김재연(회사원): 결혼이 일보다는 우선 순위에서 좀 밀리다 보니까 아무래도 전반적으로 늦어지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기자: 결혼을 해도 자녀를 낳기가 쉽지 않습니다.
⊙주희선(회사원): 금전적인 이유도 있고 맞벌이 부부들도 계속 늘어나다 보니까 이제 육아에 투자할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기자: 이렇다 보니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들이 평생 동안 낳는 자녀수는 평균 1.16명으로 사상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OECD 국가 가운데서도 가장 낮은 출산율입니다.
⊙김동회(통계청 인구동향과장): 결혼해야 할 사람들이 결혼을 안 하고 있는 것 하고도 연관이 되어진다고 보여집니다.
⊙기자: 첫 아이를 낳는 여성들의 평균 연령도 10년 전보다 2살이 넘게 많아졌고 아이를 낳는 전체 여성들의 평균 연령은 30.1세로 처음으로 30세를 넘어섰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나라는 2020년쯤부터 인구가 줄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승권(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고령화되면서 생산 연령 인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이것이 각 개인들에게는 큰 세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고요.
또 경제적으로는 경기침체를 낳을 수 있는...
⊙기자: 한편 사망자 수는 하루 평균 672명으로 전년도와 비슷했으며 연령별로는 50대 남성의 사망률이 같은 나이대 여성보다 3배나 높았습니다.
KBS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출산율 1.16명...사상 최저
-
- 입력 2005-08-24 21:03:3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우리나라 출산율이 또 사상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여성의 결혼이 늦어지고 아기를 낳는 것을 꺼리는 풍조 때문으로 시급한 국가적 현안이 아닐 수 없습니다.
임승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 광고회사의 여직원은 40명, 대부분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나이인데 결혼한 여성은 5명에 불과합니다.
⊙김재연(회사원): 결혼이 일보다는 우선 순위에서 좀 밀리다 보니까 아무래도 전반적으로 늦어지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기자: 결혼을 해도 자녀를 낳기가 쉽지 않습니다.
⊙주희선(회사원): 금전적인 이유도 있고 맞벌이 부부들도 계속 늘어나다 보니까 이제 육아에 투자할 시간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기자: 이렇다 보니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들이 평생 동안 낳는 자녀수는 평균 1.16명으로 사상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OECD 국가 가운데서도 가장 낮은 출산율입니다.
⊙김동회(통계청 인구동향과장): 결혼해야 할 사람들이 결혼을 안 하고 있는 것 하고도 연관이 되어진다고 보여집니다.
⊙기자: 첫 아이를 낳는 여성들의 평균 연령도 10년 전보다 2살이 넘게 많아졌고 아이를 낳는 전체 여성들의 평균 연령은 30.1세로 처음으로 30세를 넘어섰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우리나라는 2020년쯤부터 인구가 줄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승권(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고령화되면서 생산 연령 인구는 빠른 속도로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이것이 각 개인들에게는 큰 세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고요.
또 경제적으로는 경기침체를 낳을 수 있는...
⊙기자: 한편 사망자 수는 하루 평균 672명으로 전년도와 비슷했으며 연령별로는 50대 남성의 사망률이 같은 나이대 여성보다 3배나 높았습니다.
KBS뉴스 임승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