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200일…엄마는 아직도 길 위에 산다

입력 2023.05.16 (21:08) 수정 2023.05.16 (21: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어서 이태원 참사 추모문화제가 열린 서울광장 분향소로 갑니다.

평범했던 가족들이 거리로 국회로, 또 법원으로 걸음을 멈추지 않는 건 그날 사고를 막을 순 없었는지, 누가 책임져야 하는지 뭐 하나 또렷한 게 없기 때문입니다.

먼저, 200일을 거리에서 보낸 유가족들을 이원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분주한 출근 시간, 서울 여의도.

고 이남훈 씨 엄마, 박영수 씨의 하루는 이곳에서 시작됩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이게 일상이 돼버렸어, 이제. 여기 안 나오면 아무 것도 못하는."]

그 날, 이태원에서 자식을 떠나 보낸 부모들은 이제 길 위의 동지가 됐습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이 나이에 무슨 노숙까지 해보고 참 내가, 이 비싼 여의도 땅에 와서."]

200일이란 시간은 무관심에도 무덤덤하게 만들었습니다.

[최선미/고 박가영 씨 어머니 : "(시민분들 반응은 어때요?) 애써 외면? 보여요. 되게 안타까워 하셔요. 근데 와서 딱 말 시키기도 어렵고…"]

이제 조금은 단단해 졌다고 생각했지만, 아들 같은 청년들과 몸싸움을 하면서는 또, 가슴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최선미/고 박가영 씨 어머니 : "엄마들이 그런 거예요. 내 새끼 같은 애들한테 맞았다는 그런 상실감. 저 친구들은 우리가 사실 보기도 아까워요. 젊은 애들이 이렇게 지나가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책임자 엄벌을 호소하느라,

["처벌하라, 처벌하라."]

시간을 쪼개가며 쉴새없이 발길을 옮깁니다.

끼니 때를 훌쩍 넘겨 밥은 먹었냐, 물어봐 주는 것도 같은 유족들.

다른 아이들도 이젠 자식처럼 챙기곤 합니다.

["158명, 많이 많이 먹어."]

기약 없는 싸움에도 유족들은 분향소를 떠날 수가 없습니다.

[최정주/고 최유진 씨 아버지 : "버티려고. 하루히루 버티려고 애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게 지금의 일상입니다."]

출근길 1인 시위로 하루를 시작한 박영수 씨가 오후 5시까지 이동한 거리는 67km.

마지막으로 들르는 곳은 병원입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엄마, 배고파요 밥줘', 걔는 그러면서 들어오거든. 그 시간 되면 해 넘어가는 시간 되면 내가 불안하다고 해야 되나? 밖에만 쳐다보고..."]

어둑해지고서야 돌아온 집, 이곳에는 200일째 풀지 못한 숙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아드님 방은?) 여기. 여기 지금 몇 개월째 문을 내가 차마 열어볼 수가 없어가지고."]

아들에게 한 마지막 다짐을 지키는 게, 엄마의 숙제입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내가 스스로 마음 정한 게 있어요. 지금은 특별법 통과 된다거나 한줄기 빛이 보이면 그때 열고 아이 물건도 정리해주고 그래야 겠다…"]

KBS 뉴스 이원희입니다.

촬영기자:정준희 서다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태원 200일…엄마는 아직도 길 위에 산다
    • 입력 2023-05-16 21:08:09
    • 수정2023-05-16 21:26:11
    뉴스 9
[앵커]

이어서 이태원 참사 추모문화제가 열린 서울광장 분향소로 갑니다.

평범했던 가족들이 거리로 국회로, 또 법원으로 걸음을 멈추지 않는 건 그날 사고를 막을 순 없었는지, 누가 책임져야 하는지 뭐 하나 또렷한 게 없기 때문입니다.

먼저, 200일을 거리에서 보낸 유가족들을 이원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분주한 출근 시간, 서울 여의도.

고 이남훈 씨 엄마, 박영수 씨의 하루는 이곳에서 시작됩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이게 일상이 돼버렸어, 이제. 여기 안 나오면 아무 것도 못하는."]

그 날, 이태원에서 자식을 떠나 보낸 부모들은 이제 길 위의 동지가 됐습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이 나이에 무슨 노숙까지 해보고 참 내가, 이 비싼 여의도 땅에 와서."]

200일이란 시간은 무관심에도 무덤덤하게 만들었습니다.

[최선미/고 박가영 씨 어머니 : "(시민분들 반응은 어때요?) 애써 외면? 보여요. 되게 안타까워 하셔요. 근데 와서 딱 말 시키기도 어렵고…"]

이제 조금은 단단해 졌다고 생각했지만, 아들 같은 청년들과 몸싸움을 하면서는 또, 가슴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최선미/고 박가영 씨 어머니 : "엄마들이 그런 거예요. 내 새끼 같은 애들한테 맞았다는 그런 상실감. 저 친구들은 우리가 사실 보기도 아까워요. 젊은 애들이 이렇게 지나가면..."]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책임자 엄벌을 호소하느라,

["처벌하라, 처벌하라."]

시간을 쪼개가며 쉴새없이 발길을 옮깁니다.

끼니 때를 훌쩍 넘겨 밥은 먹었냐, 물어봐 주는 것도 같은 유족들.

다른 아이들도 이젠 자식처럼 챙기곤 합니다.

["158명, 많이 많이 먹어."]

기약 없는 싸움에도 유족들은 분향소를 떠날 수가 없습니다.

[최정주/고 최유진 씨 아버지 : "버티려고. 하루히루 버티려고 애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게 지금의 일상입니다."]

출근길 1인 시위로 하루를 시작한 박영수 씨가 오후 5시까지 이동한 거리는 67km.

마지막으로 들르는 곳은 병원입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엄마, 배고파요 밥줘', 걔는 그러면서 들어오거든. 그 시간 되면 해 넘어가는 시간 되면 내가 불안하다고 해야 되나? 밖에만 쳐다보고..."]

어둑해지고서야 돌아온 집, 이곳에는 200일째 풀지 못한 숙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아드님 방은?) 여기. 여기 지금 몇 개월째 문을 내가 차마 열어볼 수가 없어가지고."]

아들에게 한 마지막 다짐을 지키는 게, 엄마의 숙제입니다.

[박영수/고 이남훈 씨 어머니 : "내가 스스로 마음 정한 게 있어요. 지금은 특별법 통과 된다거나 한줄기 빛이 보이면 그때 열고 아이 물건도 정리해주고 그래야 겠다…"]

KBS 뉴스 이원희입니다.

촬영기자:정준희 서다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