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뿌리 ‘알타이 어’를 보존하라
입력 2005.08.27 (21:28)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한국어가 속해 있는 알타이어족의 여러 언어들이 사라질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한국어의 사촌쯤 되는 이들 언어들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우리 학자들이 보존작업에 나섰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드넓은 초원이 펼쳐진 몽골 서북부의 흡스굴 지역입니다.
몽골의 전통주택인 게르 안에서 한국학자들이 다르하트족의 언어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알타이어족에 속한 것으로 추정할 뿐 그 계통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한국어의 뿌리를 찾기 위한 알타이언어 채록 작업입니다.
주민들이 말하는 한마디한마디를 음성과 영상으로 동시에 기록합니다.
⊙몽골 다르하트족 여성: '비 울란바타르아스 이르브'
'나는 울란바타르에서 왔다'
⊙기자: 이들 알타이언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같은 데다 명사 뒤에 조사를 붙여 사용하는 등 한국어의 언어특성과 많이 비슷합니다.
학자들은 이들 알타이언어를 연구해 한국어의 계통을 찾으려 하고 있지만 상당수 언어들이 거의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호영(서울대 언어학과 교수): 그 언어들이 없어지기 전에 우리가 빨리 조사해서 자료로 축적해 놔야지 우리 말의 그 뿌리를 밝히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국어의 친족 언어인 알타이언어는 만주어 등 50여 개가 남아 있습니다.
우리 학계는 앞으로 완전히 사라질 위기의 언어를 모두 기록으로 남겨 우리말의 뿌리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신강문입니다.
한국어의 사촌쯤 되는 이들 언어들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우리 학자들이 보존작업에 나섰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드넓은 초원이 펼쳐진 몽골 서북부의 흡스굴 지역입니다.
몽골의 전통주택인 게르 안에서 한국학자들이 다르하트족의 언어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알타이어족에 속한 것으로 추정할 뿐 그 계통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한국어의 뿌리를 찾기 위한 알타이언어 채록 작업입니다.
주민들이 말하는 한마디한마디를 음성과 영상으로 동시에 기록합니다.
⊙몽골 다르하트족 여성: '비 울란바타르아스 이르브'
'나는 울란바타르에서 왔다'
⊙기자: 이들 알타이언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같은 데다 명사 뒤에 조사를 붙여 사용하는 등 한국어의 언어특성과 많이 비슷합니다.
학자들은 이들 알타이언어를 연구해 한국어의 계통을 찾으려 하고 있지만 상당수 언어들이 거의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호영(서울대 언어학과 교수): 그 언어들이 없어지기 전에 우리가 빨리 조사해서 자료로 축적해 놔야지 우리 말의 그 뿌리를 밝히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국어의 친족 언어인 알타이언어는 만주어 등 50여 개가 남아 있습니다.
우리 학계는 앞으로 완전히 사라질 위기의 언어를 모두 기록으로 남겨 우리말의 뿌리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신강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말의 뿌리 ‘알타이 어’를 보존하라
-
- 입력 2005-08-27 21:20:3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우리 한국어가 속해 있는 알타이어족의 여러 언어들이 사라질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한국어의 사촌쯤 되는 이들 언어들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우리 학자들이 보존작업에 나섰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드넓은 초원이 펼쳐진 몽골 서북부의 흡스굴 지역입니다.
몽골의 전통주택인 게르 안에서 한국학자들이 다르하트족의 언어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알타이어족에 속한 것으로 추정할 뿐 그 계통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한국어의 뿌리를 찾기 위한 알타이언어 채록 작업입니다.
주민들이 말하는 한마디한마디를 음성과 영상으로 동시에 기록합니다.
⊙몽골 다르하트족 여성: '비 울란바타르아스 이르브'
'나는 울란바타르에서 왔다'
⊙기자: 이들 알타이언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같은 데다 명사 뒤에 조사를 붙여 사용하는 등 한국어의 언어특성과 많이 비슷합니다.
학자들은 이들 알타이언어를 연구해 한국어의 계통을 찾으려 하고 있지만 상당수 언어들이 거의 사라진 상태입니다.
⊙이호영(서울대 언어학과 교수): 그 언어들이 없어지기 전에 우리가 빨리 조사해서 자료로 축적해 놔야지 우리 말의 그 뿌리를 밝히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자: 한국어의 친족 언어인 알타이언어는 만주어 등 50여 개가 남아 있습니다.
우리 학계는 앞으로 완전히 사라질 위기의 언어를 모두 기록으로 남겨 우리말의 뿌리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신강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