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로 들어온 ‘챗 GPT’…“한계·위험성 인지해야”

입력 2023.05.22 (06:40) 수정 2023.05.22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말 등장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이제는 학교 수업으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적절한 명령어 입력 등 활용법은 물론, 한계와 부작용을 공유하면서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여러분은 챗 GPT에 명령어를 넣어서 최대한 이와 같은 결과물이 나오도록..."]

생성형 인공지능을 둘러싼 창작 논란을 다루는 논술 시간, 교사의 주문에 학생들은 '챗 GPT' 대화창을 이용해 중심 단어 등 명령어를 입력해 작문을 시도합니다.

선택한 명령어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달라지는 내용, 이를 놓고 '창작'이냐 '모방'이냐에 대한 논의가 이어집니다.

[김준영/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1학년 : "어떤 A를 입력할지는 제가 정하는 거고, A가 입력되는 순간 B가 자동 결정되는 일대일 대응 관계니까, 그건 결론적으로 A를 창작한 거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지난해 말 등장 직후부터 챗GPT가 각 분야로 급속히 적용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도 이를 활용한 수업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간단한 검색부터 프로그램 기획, 토론 진행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또, 관련 논란들을 짚어보면서 자연스럽게 활용 방안에 대한 기준도 찾습니다.

[김준혁/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1학년 : "챗 GPT가 어떤 내용을 생성해내는 과정이나 아니면 그 속에서의 오류가 인간이 대체할 수 있는 부분이 있거든요. 그 부분을 저희가 간파해서 챗 GPT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동천/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교사 : "이용을 할 때 하더라도 이것의 한계, 이것 이 갖고 있는 위험성을 분명하게 인지한 후 에 이용을 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고 있 습니다."]

다양한 모습으로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

인공지능을 제대로 사용하고, 공존에 대비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계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교실로 들어온 ‘챗 GPT’…“한계·위험성 인지해야”
    • 입력 2023-05-22 06:40:30
    • 수정2023-05-22 07:54:09
    뉴스광장 1부
[앵커]

지난해 말 등장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이제는 학교 수업으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적절한 명령어 입력 등 활용법은 물론, 한계와 부작용을 공유하면서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여러분은 챗 GPT에 명령어를 넣어서 최대한 이와 같은 결과물이 나오도록..."]

생성형 인공지능을 둘러싼 창작 논란을 다루는 논술 시간, 교사의 주문에 학생들은 '챗 GPT' 대화창을 이용해 중심 단어 등 명령어를 입력해 작문을 시도합니다.

선택한 명령어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달라지는 내용, 이를 놓고 '창작'이냐 '모방'이냐에 대한 논의가 이어집니다.

[김준영/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1학년 : "어떤 A를 입력할지는 제가 정하는 거고, A가 입력되는 순간 B가 자동 결정되는 일대일 대응 관계니까, 그건 결론적으로 A를 창작한 거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지난해 말 등장 직후부터 챗GPT가 각 분야로 급속히 적용되면서 교육 현장에서도 이를 활용한 수업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간단한 검색부터 프로그램 기획, 토론 진행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또, 관련 논란들을 짚어보면서 자연스럽게 활용 방안에 대한 기준도 찾습니다.

[김준혁/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1학년 : "챗 GPT가 어떤 내용을 생성해내는 과정이나 아니면 그 속에서의 오류가 인간이 대체할 수 있는 부분이 있거든요. 그 부분을 저희가 간파해서 챗 GPT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동천/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교사 : "이용을 할 때 하더라도 이것의 한계, 이것 이 갖고 있는 위험성을 분명하게 인지한 후 에 이용을 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고 있 습니다."]

다양한 모습으로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

인공지능을 제대로 사용하고, 공존에 대비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계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안성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