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연료비·이자 비용이 가계 압박…저소득층 여윳돈 ‘역대 최대’ 감소
입력 2023.05.26 (06:41) 수정 2023.05.26 (06:50) 뉴스광장 1부
[앵커]
살림살이 어려움을 호소할 때 흔히 하는 이야기가 월급 빼고 다 오른 것 같다라는 거죠.
지난 1분기 우리 가계 소득과 지출 통계를 보니 이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계층의 여윳돈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병원비 20만 원, 대출이자 12만 8천 원, 이 60대 여성의 1월 지출 내역입니다.
가스요금은 1년 전보다 7배 정도 올랐습니다.
[김 모 씨/기초생활수급자/음성변조 : "보일러 값이 나가는데 좀 틀었더니. 얼마야, 4만 5천 원. 막 그렇게 나오고 아주 깜짝 놀랐어요."]
김 씨처럼 소득이 가장 적은 계층, 1분위 가구의 1분기 지출은 13.3% 증가했습니다.
병원비 같은 보건 관련 지출과 연료비에 쓴 돈이 크게 늘었고,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면서 오락문화 지출도 커졌기 때문입니다.
고금리에 대한 부담으로 이자 비용이 포함된 비소비지출도 10% 넘게 증가했습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3.2%, 물가상승분보다 적게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에서 지출을 뺀 여윳돈을 뜻하는 흑자액이 -47.2%, 1분기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4%를 웃돌던 올해 1분기, 저소득층의 사정이 유독 빠듯해진 겁니다.
상위 20%와 하위 20% 간 소득 격차도 1년 전보다 더 벌어졌습니다.
2분기부터는 전기· 가스요금의 인상여파도 반영돼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취약계층에 대한 인상분 적용을 연기하고 에너지 요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민생안정에 애쓰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 제작:박미주 안재우
살림살이 어려움을 호소할 때 흔히 하는 이야기가 월급 빼고 다 오른 것 같다라는 거죠.
지난 1분기 우리 가계 소득과 지출 통계를 보니 이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계층의 여윳돈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병원비 20만 원, 대출이자 12만 8천 원, 이 60대 여성의 1월 지출 내역입니다.
가스요금은 1년 전보다 7배 정도 올랐습니다.
[김 모 씨/기초생활수급자/음성변조 : "보일러 값이 나가는데 좀 틀었더니. 얼마야, 4만 5천 원. 막 그렇게 나오고 아주 깜짝 놀랐어요."]
김 씨처럼 소득이 가장 적은 계층, 1분위 가구의 1분기 지출은 13.3% 증가했습니다.
병원비 같은 보건 관련 지출과 연료비에 쓴 돈이 크게 늘었고,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면서 오락문화 지출도 커졌기 때문입니다.
고금리에 대한 부담으로 이자 비용이 포함된 비소비지출도 10% 넘게 증가했습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3.2%, 물가상승분보다 적게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에서 지출을 뺀 여윳돈을 뜻하는 흑자액이 -47.2%, 1분기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4%를 웃돌던 올해 1분기, 저소득층의 사정이 유독 빠듯해진 겁니다.
상위 20%와 하위 20% 간 소득 격차도 1년 전보다 더 벌어졌습니다.
2분기부터는 전기· 가스요금의 인상여파도 반영돼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취약계층에 대한 인상분 적용을 연기하고 에너지 요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민생안정에 애쓰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 제작:박미주 안재우
- 연료비·이자 비용이 가계 압박…저소득층 여윳돈 ‘역대 최대’ 감소
-
- 입력 2023-05-26 06:41:16
- 수정2023-05-26 06:50:19

[앵커]
살림살이 어려움을 호소할 때 흔히 하는 이야기가 월급 빼고 다 오른 것 같다라는 거죠.
지난 1분기 우리 가계 소득과 지출 통계를 보니 이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계층의 여윳돈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병원비 20만 원, 대출이자 12만 8천 원, 이 60대 여성의 1월 지출 내역입니다.
가스요금은 1년 전보다 7배 정도 올랐습니다.
[김 모 씨/기초생활수급자/음성변조 : "보일러 값이 나가는데 좀 틀었더니. 얼마야, 4만 5천 원. 막 그렇게 나오고 아주 깜짝 놀랐어요."]
김 씨처럼 소득이 가장 적은 계층, 1분위 가구의 1분기 지출은 13.3% 증가했습니다.
병원비 같은 보건 관련 지출과 연료비에 쓴 돈이 크게 늘었고,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면서 오락문화 지출도 커졌기 때문입니다.
고금리에 대한 부담으로 이자 비용이 포함된 비소비지출도 10% 넘게 증가했습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3.2%, 물가상승분보다 적게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에서 지출을 뺀 여윳돈을 뜻하는 흑자액이 -47.2%, 1분기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4%를 웃돌던 올해 1분기, 저소득층의 사정이 유독 빠듯해진 겁니다.
상위 20%와 하위 20% 간 소득 격차도 1년 전보다 더 벌어졌습니다.
2분기부터는 전기· 가스요금의 인상여파도 반영돼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취약계층에 대한 인상분 적용을 연기하고 에너지 요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민생안정에 애쓰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 제작:박미주 안재우
살림살이 어려움을 호소할 때 흔히 하는 이야기가 월급 빼고 다 오른 것 같다라는 거죠.
지난 1분기 우리 가계 소득과 지출 통계를 보니 이 표현이 과장이 아니었습니다.
특히 소득이 낮은 계층의 여윳돈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병원비 20만 원, 대출이자 12만 8천 원, 이 60대 여성의 1월 지출 내역입니다.
가스요금은 1년 전보다 7배 정도 올랐습니다.
[김 모 씨/기초생활수급자/음성변조 : "보일러 값이 나가는데 좀 틀었더니. 얼마야, 4만 5천 원. 막 그렇게 나오고 아주 깜짝 놀랐어요."]
김 씨처럼 소득이 가장 적은 계층, 1분위 가구의 1분기 지출은 13.3% 증가했습니다.
병원비 같은 보건 관련 지출과 연료비에 쓴 돈이 크게 늘었고,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면서 오락문화 지출도 커졌기 때문입니다.
고금리에 대한 부담으로 이자 비용이 포함된 비소비지출도 10% 넘게 증가했습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3.2%, 물가상승분보다 적게 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소득에서 지출을 뺀 여윳돈을 뜻하는 흑자액이 -47.2%, 1분기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4%를 웃돌던 올해 1분기, 저소득층의 사정이 유독 빠듯해진 겁니다.
상위 20%와 하위 20% 간 소득 격차도 1년 전보다 더 벌어졌습니다.
2분기부터는 전기· 가스요금의 인상여파도 반영돼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취약계층에 대한 인상분 적용을 연기하고 에너지 요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민생안정에 애쓰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공민경입니다.
촬영기자:문아미/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 제작:박미주 안재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공민경 기자 ball@kbs.co.kr
공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