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이번엔 ‘원전 오염수’ 공포…손님 끊긴 자갈치 시장

입력 2023.06.13 (21:22) 수정 2023.06.13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수산물 안전 설명회를 시작했지만 먹기 불안하다는 소비자들, 적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시장인 자갈치 시장의 상인들도 코로나19에 이어 다시 위기가 닥칠까 걱정이 큽니다.

최위지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싱싱한 생선과 해산물이 좌판 가득 펼쳐져 있지만 정작 사려는 손님은 많지 않습니다.

[노점 상인 : "많이 차이 나요. 사람 둘이서 (장사)하다가 나 혼자 하잖아요."]

손님이 밀려들 점심 시간이지만 시장 안 횟집은 탁자가 군데군데 비었습니다.

단골 손님도 끊겼고, 예약 취소 전화만 늘었습니다.

[횟집 주인 : "예약을 했던 사람도 자갈치 가서 회 안 먹는다고 취소해요. 오리고기 먹으러 간다고 하던데."]

이달 들어 오염수 방류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회식 등 단체 손님은 자취를 감췄습니다.

[횟집 주인 : "50명씩 이렇게 45명씩 이렇게 받았는데, 지금은 없잖아요."]

코로나19라는 긴 터널을 지나 이제 장사 좀 하나 싶었지만 원전 오염수라는 또다른 변수에 손님 발길이 뚝 끊어졌습니다.

상인들은 일본 원전 오염수 얘기를 꺼내는것 조차 꺼리고 있습니다.

[어패류 상인 : "너무 많이 떠드니까 장사가 더 안되고, 우리 시장 상인들도 그렇지만 다른 수산업 종사하는 사람들 다 마찬가지예요."]

장 보러 나선 시민들은 벌써부터 수산물 구입을 피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미영/부산시 수영구 : "오염수가 얼마나 불안한데 그걸 안심하라고 이야기합니까. 우리는 안 믿고 있습니다."]

정부는 방사능 검사 등 수산물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얼어 붙고 있는 수산물 소비심리를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라고 상인들은 말합니다.

[횟집 주인 : "우리 상인들은 그걸(정부 발표) 믿고 (수산물을) 쓰고 하기 때문에 믿는데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정부에서 아무리 안전하다고 해도 개인이 그냥 안 먹는다는…"]

다음 달부터 일상회복 이후 처음으로 맞는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지만, 오염수 방류 시기와 맞물리면서 자갈치 시장 상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르포] 이번엔 ‘원전 오염수’ 공포…손님 끊긴 자갈치 시장
    • 입력 2023-06-13 21:22:37
    • 수정2023-06-13 22:05:32
    뉴스 9
[앵커]

정부가 수산물 안전 설명회를 시작했지만 먹기 불안하다는 소비자들, 적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시장인 자갈치 시장의 상인들도 코로나19에 이어 다시 위기가 닥칠까 걱정이 큽니다.

최위지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싱싱한 생선과 해산물이 좌판 가득 펼쳐져 있지만 정작 사려는 손님은 많지 않습니다.

[노점 상인 : "많이 차이 나요. 사람 둘이서 (장사)하다가 나 혼자 하잖아요."]

손님이 밀려들 점심 시간이지만 시장 안 횟집은 탁자가 군데군데 비었습니다.

단골 손님도 끊겼고, 예약 취소 전화만 늘었습니다.

[횟집 주인 : "예약을 했던 사람도 자갈치 가서 회 안 먹는다고 취소해요. 오리고기 먹으러 간다고 하던데."]

이달 들어 오염수 방류가 임박했다는 소식에 회식 등 단체 손님은 자취를 감췄습니다.

[횟집 주인 : "50명씩 이렇게 45명씩 이렇게 받았는데, 지금은 없잖아요."]

코로나19라는 긴 터널을 지나 이제 장사 좀 하나 싶었지만 원전 오염수라는 또다른 변수에 손님 발길이 뚝 끊어졌습니다.

상인들은 일본 원전 오염수 얘기를 꺼내는것 조차 꺼리고 있습니다.

[어패류 상인 : "너무 많이 떠드니까 장사가 더 안되고, 우리 시장 상인들도 그렇지만 다른 수산업 종사하는 사람들 다 마찬가지예요."]

장 보러 나선 시민들은 벌써부터 수산물 구입을 피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미영/부산시 수영구 : "오염수가 얼마나 불안한데 그걸 안심하라고 이야기합니까. 우리는 안 믿고 있습니다."]

정부는 방사능 검사 등 수산물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얼어 붙고 있는 수산물 소비심리를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라고 상인들은 말합니다.

[횟집 주인 : "우리 상인들은 그걸(정부 발표) 믿고 (수산물을) 쓰고 하기 때문에 믿는데 소비자들은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정부에서 아무리 안전하다고 해도 개인이 그냥 안 먹는다는…"]

다음 달부터 일상회복 이후 처음으로 맞는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지만, 오염수 방류 시기와 맞물리면서 자갈치 시장 상인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위지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