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워지는 중소도시 폭염 증가세 대도시보다 커졌다
입력 2023.08.16 (19:28)
수정 2023.08.16 (20: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도시가 아닌 지역보다 대도시에서 폭염이 더 자주 나타난다는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도시보다 오히려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더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이세흠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대도시를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1973년부터 2020년까지 48년간 대도시와 중소도시 등 30곳의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분석결과를 보면, 폭염 발생 빈도는 매 10년당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에서 1.6일, 인구 30만 이상의 중소도시에서 1.8일 증가했습니다.
반면, 인구 10만 안팎의 비도시에서는 1.1일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매 10년당 평균기온 상승 경향도 중소도시 0.38도, 대도시 0.36도, 비도시 0.23도 순으로 나타나 중소도시가 가장 높았습니다.
도시의 기온 상승 원인 중 하나로 도시화 효과가 지목됐습니다.
분석 기간 동안 우리나라 16개 도시의 연평균기온은 10년당 0.37도 상승했는데, 이 기온 상승의 약 24~49%는 도시화 효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중소도시의 기온 상승에 도시화 효과가 기여한 정도는 29~50%로 대도시의 22~47%에 비해 큰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은 대도시의 성장 정체와 중소도시의 성장 지속세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대도시 인구 비율은 1990년대 52%로 최고점을 기록 후 감소하는 추세지만 중소도시 인구 비율은 2015년과 2019년 최근 약 31%로 최고점을 나타냈습니다.
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성장이 폭염이라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이번 결과는 인구 변화 외 다른 요인은 고려하지 않은 분석으로 구체적인 폭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도시별 녹지 면적이나 온실가스 배출원 분포 또는 도시별 정책 변화 등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은지·김정현·이경민
도시가 아닌 지역보다 대도시에서 폭염이 더 자주 나타난다는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도시보다 오히려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더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이세흠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대도시를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1973년부터 2020년까지 48년간 대도시와 중소도시 등 30곳의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분석결과를 보면, 폭염 발생 빈도는 매 10년당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에서 1.6일, 인구 30만 이상의 중소도시에서 1.8일 증가했습니다.
반면, 인구 10만 안팎의 비도시에서는 1.1일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매 10년당 평균기온 상승 경향도 중소도시 0.38도, 대도시 0.36도, 비도시 0.23도 순으로 나타나 중소도시가 가장 높았습니다.
도시의 기온 상승 원인 중 하나로 도시화 효과가 지목됐습니다.
분석 기간 동안 우리나라 16개 도시의 연평균기온은 10년당 0.37도 상승했는데, 이 기온 상승의 약 24~49%는 도시화 효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중소도시의 기온 상승에 도시화 효과가 기여한 정도는 29~50%로 대도시의 22~47%에 비해 큰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은 대도시의 성장 정체와 중소도시의 성장 지속세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대도시 인구 비율은 1990년대 52%로 최고점을 기록 후 감소하는 추세지만 중소도시 인구 비율은 2015년과 2019년 최근 약 31%로 최고점을 나타냈습니다.
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성장이 폭염이라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이번 결과는 인구 변화 외 다른 요인은 고려하지 않은 분석으로 구체적인 폭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도시별 녹지 면적이나 온실가스 배출원 분포 또는 도시별 정책 변화 등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은지·김정현·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더워지는 중소도시 폭염 증가세 대도시보다 커졌다
-
- 입력 2023-08-16 19:28:29
- 수정2023-08-16 20:50:22
[앵커]
도시가 아닌 지역보다 대도시에서 폭염이 더 자주 나타난다는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도시보다 오히려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더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이세흠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대도시를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1973년부터 2020년까지 48년간 대도시와 중소도시 등 30곳의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분석결과를 보면, 폭염 발생 빈도는 매 10년당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에서 1.6일, 인구 30만 이상의 중소도시에서 1.8일 증가했습니다.
반면, 인구 10만 안팎의 비도시에서는 1.1일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매 10년당 평균기온 상승 경향도 중소도시 0.38도, 대도시 0.36도, 비도시 0.23도 순으로 나타나 중소도시가 가장 높았습니다.
도시의 기온 상승 원인 중 하나로 도시화 효과가 지목됐습니다.
분석 기간 동안 우리나라 16개 도시의 연평균기온은 10년당 0.37도 상승했는데, 이 기온 상승의 약 24~49%는 도시화 효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중소도시의 기온 상승에 도시화 효과가 기여한 정도는 29~50%로 대도시의 22~47%에 비해 큰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은 대도시의 성장 정체와 중소도시의 성장 지속세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대도시 인구 비율은 1990년대 52%로 최고점을 기록 후 감소하는 추세지만 중소도시 인구 비율은 2015년과 2019년 최근 약 31%로 최고점을 나타냈습니다.
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성장이 폭염이라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이번 결과는 인구 변화 외 다른 요인은 고려하지 않은 분석으로 구체적인 폭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도시별 녹지 면적이나 온실가스 배출원 분포 또는 도시별 정책 변화 등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은지·김정현·이경민
도시가 아닌 지역보다 대도시에서 폭염이 더 자주 나타난다는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런데 최근 대도시보다 오히려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더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이세흠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최근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세가 대도시를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이 1973년부터 2020년까지 48년간 대도시와 중소도시 등 30곳의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분석결과를 보면, 폭염 발생 빈도는 매 10년당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에서 1.6일, 인구 30만 이상의 중소도시에서 1.8일 증가했습니다.
반면, 인구 10만 안팎의 비도시에서는 1.1일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매 10년당 평균기온 상승 경향도 중소도시 0.38도, 대도시 0.36도, 비도시 0.23도 순으로 나타나 중소도시가 가장 높았습니다.
도시의 기온 상승 원인 중 하나로 도시화 효과가 지목됐습니다.
분석 기간 동안 우리나라 16개 도시의 연평균기온은 10년당 0.37도 상승했는데, 이 기온 상승의 약 24~49%는 도시화 효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중소도시의 기온 상승에 도시화 효과가 기여한 정도는 29~50%로 대도시의 22~47%에 비해 큰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국립기상과학원은 대도시의 성장 정체와 중소도시의 성장 지속세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대도시 인구 비율은 1990년대 52%로 최고점을 기록 후 감소하는 추세지만 중소도시 인구 비율은 2015년과 2019년 최근 약 31%로 최고점을 나타냈습니다.
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성장이 폭염이라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이번 결과는 인구 변화 외 다른 요인은 고려하지 않은 분석으로 구체적인 폭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도시별 녹지 면적이나 온실가스 배출원 분포 또는 도시별 정책 변화 등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영상편집:전유진/그래픽:강은지·김정현·이경민
-
-
이세흠 기자 hmm@kbs.co.kr
이세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