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투자청 우선 가동하라…지역은행과 별개”
입력 2023.08.18 (21:56)
수정 2023.08.18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과 경남에 이어 대전에서도 투자청 설립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대전은 혁신기술 보유 업체에 성장 자금을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설립 논의를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시에 이어 경상남도도 투자청을 설립했습니다.
경남이 2030년까지 10조 원 규모의 기업 유치 전략을 내세웠다면, 대전은 혁신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금 마련을 꾀하고 있습니다.
대전 미래 전략 포럼에서도 대전투자청 설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서울과 경기에는 창업기업의 '돈줄' 역할을 하는 벤처금융사 2백여 곳이 포진한 반면, 대전은 달랑 2곳뿐이라며 공공 차원의 벤처캐피탈 설립을 주문했습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경제교육센터장 : "카이스트 등 굉장히 우수한 연구기관이 있는데, 그에 비해서 벤처캐피털 수가 부족하다 보니까 현장에서 스타트업, 벤처기업들이 자금을 투자받기 어려운 상황에 있습니다."]
대전시도 은행 설립을 당분간 뒤로 미룬 채 투자청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500억 원을 출자해 내년 시 산하에 투자청을 만든 뒤 점진적으로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 2030년 펀드액을 5천억 원으로 키우기로 했습니다.
[송원강/대전시 은행설립추진단장 : "장기로 12년 이상, 15년, 이렇게 긴 펀드를 만들어서 좀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성장 자금을 공급하려고 합니다."]
재계 역시 기술 투자를 이끌 투자청 설립을 반기고 있지만 바이오와 IT, 반도체 등 이른바, 혁신기술 영역을 심사할 수 있는 전문가 영입에도 신경 쓸 것을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서울과 경남에 이어 대전에서도 투자청 설립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대전은 혁신기술 보유 업체에 성장 자금을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설립 논의를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시에 이어 경상남도도 투자청을 설립했습니다.
경남이 2030년까지 10조 원 규모의 기업 유치 전략을 내세웠다면, 대전은 혁신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금 마련을 꾀하고 있습니다.
대전 미래 전략 포럼에서도 대전투자청 설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서울과 경기에는 창업기업의 '돈줄' 역할을 하는 벤처금융사 2백여 곳이 포진한 반면, 대전은 달랑 2곳뿐이라며 공공 차원의 벤처캐피탈 설립을 주문했습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경제교육센터장 : "카이스트 등 굉장히 우수한 연구기관이 있는데, 그에 비해서 벤처캐피털 수가 부족하다 보니까 현장에서 스타트업, 벤처기업들이 자금을 투자받기 어려운 상황에 있습니다."]
대전시도 은행 설립을 당분간 뒤로 미룬 채 투자청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500억 원을 출자해 내년 시 산하에 투자청을 만든 뒤 점진적으로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 2030년 펀드액을 5천억 원으로 키우기로 했습니다.
[송원강/대전시 은행설립추진단장 : "장기로 12년 이상, 15년, 이렇게 긴 펀드를 만들어서 좀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성장 자금을 공급하려고 합니다."]
재계 역시 기술 투자를 이끌 투자청 설립을 반기고 있지만 바이오와 IT, 반도체 등 이른바, 혁신기술 영역을 심사할 수 있는 전문가 영입에도 신경 쓸 것을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전투자청 우선 가동하라…지역은행과 별개”
-
- 입력 2023-08-18 21:56:55
- 수정2023-08-18 22:10:37

[앵커]
서울과 경남에 이어 대전에서도 투자청 설립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대전은 혁신기술 보유 업체에 성장 자금을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설립 논의를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시에 이어 경상남도도 투자청을 설립했습니다.
경남이 2030년까지 10조 원 규모의 기업 유치 전략을 내세웠다면, 대전은 혁신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금 마련을 꾀하고 있습니다.
대전 미래 전략 포럼에서도 대전투자청 설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서울과 경기에는 창업기업의 '돈줄' 역할을 하는 벤처금융사 2백여 곳이 포진한 반면, 대전은 달랑 2곳뿐이라며 공공 차원의 벤처캐피탈 설립을 주문했습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경제교육센터장 : "카이스트 등 굉장히 우수한 연구기관이 있는데, 그에 비해서 벤처캐피털 수가 부족하다 보니까 현장에서 스타트업, 벤처기업들이 자금을 투자받기 어려운 상황에 있습니다."]
대전시도 은행 설립을 당분간 뒤로 미룬 채 투자청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500억 원을 출자해 내년 시 산하에 투자청을 만든 뒤 점진적으로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 2030년 펀드액을 5천억 원으로 키우기로 했습니다.
[송원강/대전시 은행설립추진단장 : "장기로 12년 이상, 15년, 이렇게 긴 펀드를 만들어서 좀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성장 자금을 공급하려고 합니다."]
재계 역시 기술 투자를 이끌 투자청 설립을 반기고 있지만 바이오와 IT, 반도체 등 이른바, 혁신기술 영역을 심사할 수 있는 전문가 영입에도 신경 쓸 것을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서울과 경남에 이어 대전에서도 투자청 설립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대전은 혁신기술 보유 업체에 성장 자금을 지원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설립 논의를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시에 이어 경상남도도 투자청을 설립했습니다.
경남이 2030년까지 10조 원 규모의 기업 유치 전략을 내세웠다면, 대전은 혁신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금 마련을 꾀하고 있습니다.
대전 미래 전략 포럼에서도 대전투자청 설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서울과 경기에는 창업기업의 '돈줄' 역할을 하는 벤처금융사 2백여 곳이 포진한 반면, 대전은 달랑 2곳뿐이라며 공공 차원의 벤처캐피탈 설립을 주문했습니다.
[양준석/대전세종연구원 경제교육센터장 : "카이스트 등 굉장히 우수한 연구기관이 있는데, 그에 비해서 벤처캐피털 수가 부족하다 보니까 현장에서 스타트업, 벤처기업들이 자금을 투자받기 어려운 상황에 있습니다."]
대전시도 은행 설립을 당분간 뒤로 미룬 채 투자청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500억 원을 출자해 내년 시 산하에 투자청을 만든 뒤 점진적으로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 2030년 펀드액을 5천억 원으로 키우기로 했습니다.
[송원강/대전시 은행설립추진단장 : "장기로 12년 이상, 15년, 이렇게 긴 펀드를 만들어서 좀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성장 자금을 공급하려고 합니다."]
재계 역시 기술 투자를 이끌 투자청 설립을 반기고 있지만 바이오와 IT, 반도체 등 이른바, 혁신기술 영역을 심사할 수 있는 전문가 영입에도 신경 쓸 것을 주문했습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
-
이용순 기자 sh6558@kbs.co.kr
이용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