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합시다] “한국선 훨훨 나는데, 중국 때문에”…나이키 시총 2년 새 ‘반 토막’

입력 2023.09.13 (18:34) 수정 2023.09.13 (1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입니다.

한정판 운동화라도 출시되는 날엔 '오픈런'이 벌어질 정도로 인기가 여전한데요.

하지만 시가총액은 2년 새 반 토막 났습니다.

2021년 고점 대비 무려 170조 원이 넘게 자산이 증발한 건데요.

연초 대비해선 18% 넘게 빠졌습니다.

잘 나가던 나이키의 발목을 잡은 건, 중국입니다.

신제품을 내놔도 안 팔립니다.

전체 매출액에서 약 15%가 중국에서 나오는데, 지난해 3분기 이후 줄곧 20억 달러를 밑돌고 있습니다.

나이키는 실적 방어를 위해 할인 판매를 내세웠지만, 중국 경기 둔화가 현실화하면서 오히려 재고가 쌓이고 있는데요.

이 영향으로 4분기 전체 순이익은 28%나 감소했습니다.

미국인들이 최근 지출을 줄이는 것도 나이키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데요.

다만 한국에선 10년 새 매출이 3배 가까이 느는 등 높은 실적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합시다] “한국선 훨훨 나는데, 중국 때문에”…나이키 시총 2년 새 ‘반 토막’
    • 입력 2023-09-13 18:34:19
    • 수정2023-09-13 18:37:50
    뉴스 6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입니다.

한정판 운동화라도 출시되는 날엔 '오픈런'이 벌어질 정도로 인기가 여전한데요.

하지만 시가총액은 2년 새 반 토막 났습니다.

2021년 고점 대비 무려 170조 원이 넘게 자산이 증발한 건데요.

연초 대비해선 18% 넘게 빠졌습니다.

잘 나가던 나이키의 발목을 잡은 건, 중국입니다.

신제품을 내놔도 안 팔립니다.

전체 매출액에서 약 15%가 중국에서 나오는데, 지난해 3분기 이후 줄곧 20억 달러를 밑돌고 있습니다.

나이키는 실적 방어를 위해 할인 판매를 내세웠지만, 중국 경기 둔화가 현실화하면서 오히려 재고가 쌓이고 있는데요.

이 영향으로 4분기 전체 순이익은 28%나 감소했습니다.

미국인들이 최근 지출을 줄이는 것도 나이키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데요.

다만 한국에선 10년 새 매출이 3배 가까이 느는 등 높은 실적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제합시다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