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의료원 난항, 서부경남 의료격차 우려

입력 2023.12.06 (09:44) 수정 2023.12.06 (11: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남도립의료원 진주병원 땅 매입 예산을 최근 경남도의회가 부결하면서, 사업 추진에 우려가 제기되는데요.

경남 서부권은 치료가능 사망률이나 병상 수 등 대부분 의료 지표에서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송현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 서부권에서 최종 치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은 경상국립대병원이 유일합니다.

하동군 유일 종합병원은 2년 전 문을 닫았고, 산청군은 보건의료원이 운영되고 있지만, 응급환자 치료 등엔 역부족입니다.

[신종철/경남도의원/산청 : "노인과 농민들이 가장 많이 앓고 있는 허리·관절, 여기에 따른 전문적인 병원이 없고 의사가 없고, 특히 입원실이 없다 보니까 (어려움이 많습니다.)"]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빠른 대처가 가장 걱정입니다.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60분 안에 접근이 어려운 인구 비율은 함양 98.26%, 거창 99.41%, 남해 85.18% 등 진주를 제외한 서부경남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또, 인구 천 명당 병상 수를 따졌더니, 동부경남 20.5개, 중부경남 18.3개에 비해 서부경남은 17.2개로 적습니다.

게다가, 서부경남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많은 만큼 공공병원이 없어 의료를 받고 싶었지만 못 받은 비율이 8.2%로 중부경남과 동부경남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서부경남의 65세 이상 노령 인구 비율은 31.2%로 중부경남과 동부경남에 비해 월등히 높습니다.

즉, 복합 만성질환자가 많다는 겁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지금보다 병상 수를 더 늘여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치료했다면 사망하지 않았을 '치료가능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거창권과 진주권이 각각 57.3명과 50.1명으로 김해권과 창원권보다 더 높은 이유가 바로 지역 간 의료격차 때문입니다.

[김영수/창원 경상국립대병원 공공의료실장 : "최종치료를 할 수 있는 대형 의료기관이 경상대병원 한 군데밖에 없고요. 나머지 중소병원들이 열심히 하고 좋은 병원들은 많은데, 일단 한계가 있지요."]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는 지난해 연구를 한 결과 서부경남에 1,500~3,500병상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현준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그래픽:박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진주의료원 난항, 서부경남 의료격차 우려
    • 입력 2023-12-06 09:44:51
    • 수정2023-12-06 11:05:54
    930뉴스(창원)
[앵커]

경남도립의료원 진주병원 땅 매입 예산을 최근 경남도의회가 부결하면서, 사업 추진에 우려가 제기되는데요.

경남 서부권은 치료가능 사망률이나 병상 수 등 대부분 의료 지표에서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송현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 서부권에서 최종 치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은 경상국립대병원이 유일합니다.

하동군 유일 종합병원은 2년 전 문을 닫았고, 산청군은 보건의료원이 운영되고 있지만, 응급환자 치료 등엔 역부족입니다.

[신종철/경남도의원/산청 : "노인과 농민들이 가장 많이 앓고 있는 허리·관절, 여기에 따른 전문적인 병원이 없고 의사가 없고, 특히 입원실이 없다 보니까 (어려움이 많습니다.)"]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빠른 대처가 가장 걱정입니다.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60분 안에 접근이 어려운 인구 비율은 함양 98.26%, 거창 99.41%, 남해 85.18% 등 진주를 제외한 서부경남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또, 인구 천 명당 병상 수를 따졌더니, 동부경남 20.5개, 중부경남 18.3개에 비해 서부경남은 17.2개로 적습니다.

게다가, 서부경남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많은 만큼 공공병원이 없어 의료를 받고 싶었지만 못 받은 비율이 8.2%로 중부경남과 동부경남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서부경남의 65세 이상 노령 인구 비율은 31.2%로 중부경남과 동부경남에 비해 월등히 높습니다.

즉, 복합 만성질환자가 많다는 겁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지금보다 병상 수를 더 늘여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치료했다면 사망하지 않았을 '치료가능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거창권과 진주권이 각각 57.3명과 50.1명으로 김해권과 창원권보다 더 높은 이유가 바로 지역 간 의료격차 때문입니다.

[김영수/창원 경상국립대병원 공공의료실장 : "최종치료를 할 수 있는 대형 의료기관이 경상대병원 한 군데밖에 없고요. 나머지 중소병원들이 열심히 하고 좋은 병원들은 많은데, 일단 한계가 있지요."]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는 지난해 연구를 한 결과 서부경남에 1,500~3,500병상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현준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그래픽:박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