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침식 vs 수중 방파제’ 악순환?…“침식 수용”도 대안

입력 2024.05.24 (23:13) 수정 2024.05.24 (23: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나라 동해안은 항구 건설 등으로 파도 등 바닷물의 흐름이 바뀌면서 해안침식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연안에 수중 방파제가 건설되고 있는데, 이 방파제가 또 다른 침식 피해의 원인이 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창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가 어항인 구산항을 끼고 있는 경상북도 울진의 한 해안입니다.

모래사장 앞으로 수중 방파제가 길게 이어져 있습니다.

하늘에서 보면 항구 남쪽으로 해안가를 따라 늘어선 수중 방파제 9개가 확인됩니다.

1990년대 중반 항구를 확장하면서 심각해진 해안 침식을 막기 위해, 2010년대 후반까지 수중 방파제를 잇달아 건설했습니다.

[정승용/울진군 구산어촌계 감사 : "(수중 방파제를) 놓은 쪽에는 모래가 안 빠져나가는데 안 놓은 쪽에는 모래가 또 쓸려나가거든요. 그러니까 또 모래가 못 쓸려나가게 그 다음 장소에다 또 놓고, 놓고 한 것이 이렇게 계속 길어지는 거죠."]

강릉의 한 해변도 사정을 마찬가지입니다.

침식 피해를 막고자 강릉항 남쪽에 수중 방파제를 건설했지만, 방파제 남쪽으로 또 침식 피해가 나자 방파제 건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수중 방파제가 북동쪽에서 오는 바닷물 흐름을 바꾸면서 남쪽 침식 피해의 원인이 되는 겁니다.

강릉 남항진과 염전해변 앞에는 수중 방파제 등이 추가로 건설됩니다.

2029년까지 360억 원이 투입됩니다.

이 같은 현상은 동해안 대부분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강원도 고성에서 삼척까지 17개 해변에 수중 방파제가 45개나 있습니다.

주로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건설됐습니다.

학계 일부에서는 해안침식과 수중 방파제 건설이 반복하는 것을 끊을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최광희/가톨릭관동대 지리교육과 교수 : "만약에 '감내하는 정도가 우리가 계속 뭔가를 시설하는 것보다 더 이익이 크다.'라고 결정이 된다면 저는 침식을 좀 받아들이는 것도 하나의 해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인공 시설물을 통한 해안침식 방지사업을 고집할 경우 동해안 대부분은 콘크리트 인공 해안으로 변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안 침식 vs 수중 방파제’ 악순환?…“침식 수용”도 대안
    • 입력 2024-05-24 23:13:14
    • 수정2024-05-24 23:57:10
    뉴스9(강릉)
[앵커]

우리나라 동해안은 항구 건설 등으로 파도 등 바닷물의 흐름이 바뀌면서 해안침식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연안에 수중 방파제가 건설되고 있는데, 이 방파제가 또 다른 침식 피해의 원인이 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창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가 어항인 구산항을 끼고 있는 경상북도 울진의 한 해안입니다.

모래사장 앞으로 수중 방파제가 길게 이어져 있습니다.

하늘에서 보면 항구 남쪽으로 해안가를 따라 늘어선 수중 방파제 9개가 확인됩니다.

1990년대 중반 항구를 확장하면서 심각해진 해안 침식을 막기 위해, 2010년대 후반까지 수중 방파제를 잇달아 건설했습니다.

[정승용/울진군 구산어촌계 감사 : "(수중 방파제를) 놓은 쪽에는 모래가 안 빠져나가는데 안 놓은 쪽에는 모래가 또 쓸려나가거든요. 그러니까 또 모래가 못 쓸려나가게 그 다음 장소에다 또 놓고, 놓고 한 것이 이렇게 계속 길어지는 거죠."]

강릉의 한 해변도 사정을 마찬가지입니다.

침식 피해를 막고자 강릉항 남쪽에 수중 방파제를 건설했지만, 방파제 남쪽으로 또 침식 피해가 나자 방파제 건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수중 방파제가 북동쪽에서 오는 바닷물 흐름을 바꾸면서 남쪽 침식 피해의 원인이 되는 겁니다.

강릉 남항진과 염전해변 앞에는 수중 방파제 등이 추가로 건설됩니다.

2029년까지 360억 원이 투입됩니다.

이 같은 현상은 동해안 대부분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강원도 고성에서 삼척까지 17개 해변에 수중 방파제가 45개나 있습니다.

주로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건설됐습니다.

학계 일부에서는 해안침식과 수중 방파제 건설이 반복하는 것을 끊을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최광희/가톨릭관동대 지리교육과 교수 : "만약에 '감내하는 정도가 우리가 계속 뭔가를 시설하는 것보다 더 이익이 크다.'라고 결정이 된다면 저는 침식을 좀 받아들이는 것도 하나의 해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인공 시설물을 통한 해안침식 방지사업을 고집할 경우 동해안 대부분은 콘크리트 인공 해안으로 변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촬영기자:박영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