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경제성장률 5%”
입력 2005.12.06 (22:1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국은행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5%로 전망했습니다.
이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배경 유석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과거 중저가 모델을 주로 취급했던 이 할인점 가전매장에서는 최근 고급 모델을 잇달아 들여놓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기침체로 가전제품 교체를 미뤘던 고객들의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씀씀이도 고급화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김준 (할인점 가전매장 관리자): "판매대수는 비슷한데 고가제품을 고객님께서 많이 선호하고 찾으셔서 작년이나 올초보다 매출은 20% 성장했습니다."
실제로 경기에 민감한 품목인 승용차와 ,TV, 컴퓨터 등의 소비가 살아나면서 지난 3분기 내구재 소비 증가율이 7.5%를 기록해 3년 반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소비회복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한국은행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3.9%보다 높은 5%로 잡았습니다.
한국은행의 전망치 5%는 KDI와 같은 수준이며 민간 연구기관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입니다.
<녹취>김재천 (한국은행 조사국장): "수출이 호조세를 지속하고 소비 회복세가 이어지는 것이 5% 성장의 큰 배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년에 5% 성장을 달성하면 우리 경제는 지난 2002년 이후 4년만에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하게 됩니다.
특히 내년에는 소비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그동안 내수부진 수출 호조라는 내 외수간 불균형이 어느정도 해소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부정적 요소도 있어 낙관은 이르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인터뷰>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고유가라든가 환율 급변, 그리고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이 있어서 낙관만 하기에는 이르지 않나 싶습니다."
또 건설투자는 민간 투자사업의 본격적인 실시에도 불구하고 성장세가 1.7%에 머물면서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2.7%에서 내년에는 3%로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통요금 등 일부 공공요금과 담뱃값 인상, 내수회복 등으로 물가 상승압력이 커질 것이란 점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한차례 올렸던 금리도 내년에는 추가 상승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 물가상승압력에 대처하기 위한 내년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KBS뉴스 유석조입니다.
한국은행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5%로 전망했습니다.
이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배경 유석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과거 중저가 모델을 주로 취급했던 이 할인점 가전매장에서는 최근 고급 모델을 잇달아 들여놓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기침체로 가전제품 교체를 미뤘던 고객들의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씀씀이도 고급화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김준 (할인점 가전매장 관리자): "판매대수는 비슷한데 고가제품을 고객님께서 많이 선호하고 찾으셔서 작년이나 올초보다 매출은 20% 성장했습니다."
실제로 경기에 민감한 품목인 승용차와 ,TV, 컴퓨터 등의 소비가 살아나면서 지난 3분기 내구재 소비 증가율이 7.5%를 기록해 3년 반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소비회복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한국은행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3.9%보다 높은 5%로 잡았습니다.
한국은행의 전망치 5%는 KDI와 같은 수준이며 민간 연구기관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입니다.
<녹취>김재천 (한국은행 조사국장): "수출이 호조세를 지속하고 소비 회복세가 이어지는 것이 5% 성장의 큰 배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년에 5% 성장을 달성하면 우리 경제는 지난 2002년 이후 4년만에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하게 됩니다.
특히 내년에는 소비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그동안 내수부진 수출 호조라는 내 외수간 불균형이 어느정도 해소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부정적 요소도 있어 낙관은 이르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인터뷰>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고유가라든가 환율 급변, 그리고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이 있어서 낙관만 하기에는 이르지 않나 싶습니다."
또 건설투자는 민간 투자사업의 본격적인 실시에도 불구하고 성장세가 1.7%에 머물면서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2.7%에서 내년에는 3%로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통요금 등 일부 공공요금과 담뱃값 인상, 내수회복 등으로 물가 상승압력이 커질 것이란 점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한차례 올렸던 금리도 내년에는 추가 상승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 물가상승압력에 대처하기 위한 내년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KBS뉴스 유석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내년 경제성장률 5%”
-
- 입력 2005-12-06 21:12:55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멘트>
한국은행이 내년 경제성장률을 5%로 전망했습니다.
이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배경 유석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과거 중저가 모델을 주로 취급했던 이 할인점 가전매장에서는 최근 고급 모델을 잇달아 들여놓고 있습니다.
그동안 경기침체로 가전제품 교체를 미뤘던 고객들의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씀씀이도 고급화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김준 (할인점 가전매장 관리자): "판매대수는 비슷한데 고가제품을 고객님께서 많이 선호하고 찾으셔서 작년이나 올초보다 매출은 20% 성장했습니다."
실제로 경기에 민감한 품목인 승용차와 ,TV, 컴퓨터 등의 소비가 살아나면서 지난 3분기 내구재 소비 증가율이 7.5%를 기록해 3년 반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소비회복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한국은행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3.9%보다 높은 5%로 잡았습니다.
한국은행의 전망치 5%는 KDI와 같은 수준이며 민간 연구기관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입니다.
<녹취>김재천 (한국은행 조사국장): "수출이 호조세를 지속하고 소비 회복세가 이어지는 것이 5% 성장의 큰 배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년에 5% 성장을 달성하면 우리 경제는 지난 2002년 이후 4년만에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하게 됩니다.
특히 내년에는 소비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그동안 내수부진 수출 호조라는 내 외수간 불균형이 어느정도 해소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부정적 요소도 있어 낙관은 이르다는 반론도 있습니다.
<인터뷰>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고유가라든가 환율 급변, 그리고 세계경제의 둔화 가능성이 있어서 낙관만 하기에는 이르지 않나 싶습니다."
또 건설투자는 민간 투자사업의 본격적인 실시에도 불구하고 성장세가 1.7%에 머물면서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2.7%에서 내년에는 3%로 오름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통요금 등 일부 공공요금과 담뱃값 인상, 내수회복 등으로 물가 상승압력이 커질 것이란 점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한차례 올렸던 금리도 내년에는 추가 상승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 물가상승압력에 대처하기 위한 내년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KBS뉴스 유석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