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대석] 얼어붙은 기부 심리…온정의 손길 ‘절실’
입력 2025.01.07 (19:21)
수정 2025.01.07 (2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기 침체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면서 기부 심리가 더 가라앉는 분위기입니다.
취약계층의 겨울 나기가 그 어느 때보다 힘들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뉴스초대석, 오늘은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손 처장님, 안녕하십니까?
추운 겨울 온정의 손길이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는 요즘인데요.
희망 2025 나눔캠페인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부터 소개해주시죠.
[앵커]
희망 나눔 캠페인이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경북은 매년 목표치를 웃돌 정도로 참여 열기가 뜨거운데, 지금까지 상황은 어떤가요?
[앵커]
기부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내가 기부한 돈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도 궁금할 것 같습니다.
기부금 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앵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부의 복지 예산과 정책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웃돕기 성금모금과 같은 민간 복지 영역의 중요성도 여전히 높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이웃돕기 성금 모금에 참여하시고 싶은 분들이 있다면,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지, 참여 방법 알려주시죠.
[앵커]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경기 침체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면서 기부 심리가 더 가라앉는 분위기입니다.
취약계층의 겨울 나기가 그 어느 때보다 힘들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뉴스초대석, 오늘은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손 처장님, 안녕하십니까?
추운 겨울 온정의 손길이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는 요즘인데요.
희망 2025 나눔캠페인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부터 소개해주시죠.
[앵커]
희망 나눔 캠페인이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경북은 매년 목표치를 웃돌 정도로 참여 열기가 뜨거운데, 지금까지 상황은 어떤가요?
[앵커]
기부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내가 기부한 돈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도 궁금할 것 같습니다.
기부금 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앵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부의 복지 예산과 정책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웃돕기 성금모금과 같은 민간 복지 영역의 중요성도 여전히 높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이웃돕기 성금 모금에 참여하시고 싶은 분들이 있다면,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지, 참여 방법 알려주시죠.
[앵커]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초대석] 얼어붙은 기부 심리…온정의 손길 ‘절실’
-
- 입력 2025-01-07 19:21:35
- 수정2025-01-07 20:15:51

[앵커]
경기 침체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면서 기부 심리가 더 가라앉는 분위기입니다.
취약계층의 겨울 나기가 그 어느 때보다 힘들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뉴스초대석, 오늘은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손 처장님, 안녕하십니까?
추운 겨울 온정의 손길이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는 요즘인데요.
희망 2025 나눔캠페인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부터 소개해주시죠.
[앵커]
희망 나눔 캠페인이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경북은 매년 목표치를 웃돌 정도로 참여 열기가 뜨거운데, 지금까지 상황은 어떤가요?
[앵커]
기부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내가 기부한 돈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도 궁금할 것 같습니다.
기부금 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앵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부의 복지 예산과 정책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웃돕기 성금모금과 같은 민간 복지 영역의 중요성도 여전히 높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이웃돕기 성금 모금에 참여하시고 싶은 분들이 있다면,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지, 참여 방법 알려주시죠.
[앵커]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경기 침체에 탄핵 정국까지 겹치면서 기부 심리가 더 가라앉는 분위기입니다.
취약계층의 겨울 나기가 그 어느 때보다 힘들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뉴스초대석, 오늘은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손 처장님, 안녕하십니까?
추운 겨울 온정의 손길이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는 요즘인데요.
희망 2025 나눔캠페인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부터 소개해주시죠.
[앵커]
희망 나눔 캠페인이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경북은 매년 목표치를 웃돌 정도로 참여 열기가 뜨거운데, 지금까지 상황은 어떤가요?
[앵커]
기부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내가 기부한 돈이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도 궁금할 것 같습니다.
기부금 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앵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부의 복지 예산과 정책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웃돕기 성금모금과 같은 민간 복지 영역의 중요성도 여전히 높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앵커]
마지막으로 이웃돕기 성금 모금에 참여하시고 싶은 분들이 있다면,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지, 참여 방법 알려주시죠.
[앵커]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 손병일 사무처장과 함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