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238만 원이던데”…필리핀 가사관리사, 전국 확대 불투명 [잇슈 키워드]
입력 2025.02.05 (07:38)
수정 2025.02.05 (07: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잇슈키워드입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가사관리사'입니다.
일하는 엄마 아빠의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서 전격 도입된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 사업은 이달 말 종료됩니다.
당초 서비스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었지만,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필리핀 가사관리사 수요를 조사했더니, 서울과 부산, 세종, 세 곳에서만 신청한 겁니다.
이마저도 시범 운영을 한 서울시만 9백 명이었고, 부산과 세종시는 20명도 채 안 됐습니다.
서울시가 시범 사업 기간 가사관리사의 숙소와 통역비 등의 명목으로 예산 1억 5천만 원을 투입했는데, 다른 지자체들은 이 비용 부담에 난색을 보인 겁니다.
최저임금 적용 문제도 있습니다.
필리핀 가사관리사에게 지급해야 하는 비용이 하루 8시간 전일제 기준으로 월 238만 원 정도인데, 평범한 가정에선 버거운 액수란 겁니다.
시범 사업 종료를 앞두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에서는 가사·육아 공백이 생길까 전전긍긍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혼란이 없도록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가사관리사'입니다.
일하는 엄마 아빠의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서 전격 도입된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 사업은 이달 말 종료됩니다.
당초 서비스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었지만,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필리핀 가사관리사 수요를 조사했더니, 서울과 부산, 세종, 세 곳에서만 신청한 겁니다.
이마저도 시범 운영을 한 서울시만 9백 명이었고, 부산과 세종시는 20명도 채 안 됐습니다.
서울시가 시범 사업 기간 가사관리사의 숙소와 통역비 등의 명목으로 예산 1억 5천만 원을 투입했는데, 다른 지자체들은 이 비용 부담에 난색을 보인 겁니다.
최저임금 적용 문제도 있습니다.
필리핀 가사관리사에게 지급해야 하는 비용이 하루 8시간 전일제 기준으로 월 238만 원 정도인데, 평범한 가정에선 버거운 액수란 겁니다.
시범 사업 종료를 앞두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에서는 가사·육아 공백이 생길까 전전긍긍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혼란이 없도록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 238만 원이던데”…필리핀 가사관리사, 전국 확대 불투명 [잇슈 키워드]
-
- 입력 2025-02-05 07:38:35
- 수정2025-02-05 07:43:37
잇슈키워드입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가사관리사'입니다.
일하는 엄마 아빠의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서 전격 도입된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 사업은 이달 말 종료됩니다.
당초 서비스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었지만,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필리핀 가사관리사 수요를 조사했더니, 서울과 부산, 세종, 세 곳에서만 신청한 겁니다.
이마저도 시범 운영을 한 서울시만 9백 명이었고, 부산과 세종시는 20명도 채 안 됐습니다.
서울시가 시범 사업 기간 가사관리사의 숙소와 통역비 등의 명목으로 예산 1억 5천만 원을 투입했는데, 다른 지자체들은 이 비용 부담에 난색을 보인 겁니다.
최저임금 적용 문제도 있습니다.
필리핀 가사관리사에게 지급해야 하는 비용이 하루 8시간 전일제 기준으로 월 238만 원 정도인데, 평범한 가정에선 버거운 액수란 겁니다.
시범 사업 종료를 앞두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에서는 가사·육아 공백이 생길까 전전긍긍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혼란이 없도록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첫 번째 키워드는 '가사관리사'입니다.
일하는 엄마 아빠의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서 전격 도입된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 사업은 이달 말 종료됩니다.
당초 서비스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었지만,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필리핀 가사관리사 수요를 조사했더니, 서울과 부산, 세종, 세 곳에서만 신청한 겁니다.
이마저도 시범 운영을 한 서울시만 9백 명이었고, 부산과 세종시는 20명도 채 안 됐습니다.
서울시가 시범 사업 기간 가사관리사의 숙소와 통역비 등의 명목으로 예산 1억 5천만 원을 투입했는데, 다른 지자체들은 이 비용 부담에 난색을 보인 겁니다.
최저임금 적용 문제도 있습니다.
필리핀 가사관리사에게 지급해야 하는 비용이 하루 8시간 전일제 기준으로 월 238만 원 정도인데, 평범한 가정에선 버거운 액수란 겁니다.
시범 사업 종료를 앞두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맞벌이 가정에서는 가사·육아 공백이 생길까 전전긍긍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혼란이 없도록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