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절반이 ‘과충전’…기내 선반에 두지 말아야
입력 2025.02.09 (07:23)
수정 2025.02.09 (07: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얼마 전 국내 항공사 기내에서 난 화재 장면입니다.
선반에 있던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순식간에 온도가 치솟는 열폭주 현상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리튬이온배터리가 쓰이는 곳이 아주 많습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전자담배, 전동킥보드에 쓰입니다.
열폭주 현상으로 인한 화재 조심해야겠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최근 5년간 6백 건 넘게 발생했습니다.
화재 당시, 절반 이상은 배터리 과충전 상태였습니다.
잘못 보관하거나 임의로 수리해 불이 나기도 했습니다.
과충전 상태에서는 '눌림' 등의 사소한 충격에도 불이 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비행기를 탈 때 배터리는 수하물에 부치지 않고 기내에 들고 탑니다.
이때 배터리는 완전 충전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기내 선반보다는 좌석 가까운 데 둬야 화재 발생 시 빨리 끌 수 있습니다.
선반에 있던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순식간에 온도가 치솟는 열폭주 현상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리튬이온배터리가 쓰이는 곳이 아주 많습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전자담배, 전동킥보드에 쓰입니다.
열폭주 현상으로 인한 화재 조심해야겠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최근 5년간 6백 건 넘게 발생했습니다.
화재 당시, 절반 이상은 배터리 과충전 상태였습니다.
잘못 보관하거나 임의로 수리해 불이 나기도 했습니다.
과충전 상태에서는 '눌림' 등의 사소한 충격에도 불이 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비행기를 탈 때 배터리는 수하물에 부치지 않고 기내에 들고 탑니다.
이때 배터리는 완전 충전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기내 선반보다는 좌석 가까운 데 둬야 화재 발생 시 빨리 끌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재 절반이 ‘과충전’…기내 선반에 두지 말아야
-
- 입력 2025-02-09 07:23:13
- 수정2025-02-09 07:31:54
![](/data/news/title_image/newsmp4/disastercenter/2025/02/09/20_8170999.jpg)
얼마 전 국내 항공사 기내에서 난 화재 장면입니다.
선반에 있던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순식간에 온도가 치솟는 열폭주 현상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리튬이온배터리가 쓰이는 곳이 아주 많습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전자담배, 전동킥보드에 쓰입니다.
열폭주 현상으로 인한 화재 조심해야겠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최근 5년간 6백 건 넘게 발생했습니다.
화재 당시, 절반 이상은 배터리 과충전 상태였습니다.
잘못 보관하거나 임의로 수리해 불이 나기도 했습니다.
과충전 상태에서는 '눌림' 등의 사소한 충격에도 불이 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비행기를 탈 때 배터리는 수하물에 부치지 않고 기내에 들고 탑니다.
이때 배터리는 완전 충전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기내 선반보다는 좌석 가까운 데 둬야 화재 발생 시 빨리 끌 수 있습니다.
선반에 있던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불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순식간에 온도가 치솟는 열폭주 현상이 화재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리튬이온배터리가 쓰이는 곳이 아주 많습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전자담배, 전동킥보드에 쓰입니다.
열폭주 현상으로 인한 화재 조심해야겠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최근 5년간 6백 건 넘게 발생했습니다.
화재 당시, 절반 이상은 배터리 과충전 상태였습니다.
잘못 보관하거나 임의로 수리해 불이 나기도 했습니다.
과충전 상태에서는 '눌림' 등의 사소한 충격에도 불이 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비행기를 탈 때 배터리는 수하물에 부치지 않고 기내에 들고 탑니다.
이때 배터리는 완전 충전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기내 선반보다는 좌석 가까운 데 둬야 화재 발생 시 빨리 끌 수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