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성별 임금 격차 여전…‘최대 2백만 원 차이’

입력 2025.02.09 (21:40) 수정 2025.02.09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남 성별 임금 격차가 최대 2백만 원이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여성이 출산·육아 등으로 경력 단절을 경험하면서 남성과 임금 격차가 벌어진다는 건데요.

국내 평균 성별 격차보다 경남이 더 심각한 건 여성 인구가 경남을 이탈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보도에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근 우리나라 여성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남성의 65.3% 수준.

OECD 꼴찌입니다.

경남은 더 심각합니다.

같은 기간, 경남 여성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212만 9천 원.

352만 8천 원인 남성 임금의 60.3% 수준에 불과합니다.

국내 성별 임금 격차보다 경남에서 5%p 차이가 더 나는 겁니다.

산업별로 보면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는 더 뚜렷합니다.

금융·보험업이 216만 2천 원으로 가장 컸고, 전기·가스 등 공기 조절 공급업이 212만 원, 전문직이나 과학·기술 서비스업이 177만 4천 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격차의 원인은 무엇일까.

임금 격차는 청년기에는 크지 않았지만, 출산·육아 시기인 30~39살부터 급격히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출산과 가족 돌봄으로 여성이 경제 활동을 중단하게 되고, 경력 단절 이후에도 인사상 불이익 등 보이지 않는 차별을 겪으면서 여성 임금 상승이 남성보다 더디게 이뤄진다는 겁니다.

[40대 여성 직장인/음성변조 : "시작부터가 다르죠. 중요한 업무를 여자한테 맡기지도 않았어요. 그러니까 15년 전이나 지금이나 임금이 큰 차이도 없고요."]

다른 지역보다 심한 경남의 남녀 임금 격차가 여성 인구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김보배/경남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 : "성별 임금 격차가 경단(경력 단절)에서도 비롯되고요. 거기에 따라서 여성들이 지역을 떠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도 그 일자리 환경이라고 답하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최근 5년 동안 경남의 20~30대 여성 순유출 인구는 모두 3만 8천여 명.

성별 임금격차 해소와 일·가정 양립 지원 대책 등도 중요한 인구정책 과제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합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권경환/그래픽:김신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성별 임금 격차 여전…‘최대 2백만 원 차이’
    • 입력 2025-02-09 21:40:32
    • 수정2025-02-09 21:57:25
    뉴스9(창원)
[앵커]

경남 성별 임금 격차가 최대 2백만 원이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여성이 출산·육아 등으로 경력 단절을 경험하면서 남성과 임금 격차가 벌어진다는 건데요.

국내 평균 성별 격차보다 경남이 더 심각한 건 여성 인구가 경남을 이탈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보도에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근 우리나라 여성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남성의 65.3% 수준.

OECD 꼴찌입니다.

경남은 더 심각합니다.

같은 기간, 경남 여성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212만 9천 원.

352만 8천 원인 남성 임금의 60.3% 수준에 불과합니다.

국내 성별 임금 격차보다 경남에서 5%p 차이가 더 나는 겁니다.

산업별로 보면 여성과 남성의 임금 격차는 더 뚜렷합니다.

금융·보험업이 216만 2천 원으로 가장 컸고, 전기·가스 등 공기 조절 공급업이 212만 원, 전문직이나 과학·기술 서비스업이 177만 4천 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격차의 원인은 무엇일까.

임금 격차는 청년기에는 크지 않았지만, 출산·육아 시기인 30~39살부터 급격히 벌어지기 시작합니다.

출산과 가족 돌봄으로 여성이 경제 활동을 중단하게 되고, 경력 단절 이후에도 인사상 불이익 등 보이지 않는 차별을 겪으면서 여성 임금 상승이 남성보다 더디게 이뤄진다는 겁니다.

[40대 여성 직장인/음성변조 : "시작부터가 다르죠. 중요한 업무를 여자한테 맡기지도 않았어요. 그러니까 15년 전이나 지금이나 임금이 큰 차이도 없고요."]

다른 지역보다 심한 경남의 남녀 임금 격차가 여성 인구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김보배/경남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 : "성별 임금 격차가 경단(경력 단절)에서도 비롯되고요. 거기에 따라서 여성들이 지역을 떠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도 그 일자리 환경이라고 답하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최근 5년 동안 경남의 20~30대 여성 순유출 인구는 모두 3만 8천여 명.

성별 임금격차 해소와 일·가정 양립 지원 대책 등도 중요한 인구정책 과제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합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조형수·권경환/그래픽:김신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