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반지 어디 뒀더라?”…금값 왜 계속 오르나

입력 2025.02.14 (21:31) 수정 2025.02.15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금값이 너무 오르다 보니, 예전에 받아 둔 돌반지 어디 없나 찾아 보게 됩니다.

금값이 오르는 건 공급보다 갖고 싶은 수요가 많기 때문일 텐데, 그렇다고 해도 너무 가파르게 치솟고 있습니다.

왜 그런 건지,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양민효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수천 년 동안 인류의 자산으로 군림해온, 금!

금의 가치는 바로 희소성입니다.

흔해지면 싸지고, 귀해지면 비싸집니다.

지구에 있는 전체 금의 양은 24만 톤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미 상당량을 파냈고, 이제 땅 속에 남은 건 6만 톤이 채 안됩니다.

금을 캐는 비용도 늘어서, 채굴량은 해마다 줄어드는데, 금 수요는 폭발하고 있습니다.

금값은 대체로 달러가 강세면 떨어지고, 달러가 약세면 올라가는 반비례 관계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년 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 추세가 깨졌습니다.

달러가 오르는데, 금도 같이 뛰는 겁니다.

가장 큰 이유는 '불확실성'입니다.

경제가 불안하니까, 금을 사들이는 큰손, 각국 중앙은행들이 안전자산인 금을 사들입니다.

[제임스 스틸/귀금속 애널리스트/미 CNBC 인터뷰 : "글로벌 금융 위기, 코로나 때처럼 달러와 금이 함께 오르는 일이 있었는데, 이는 늘 '나쁜 신호'입니다.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달러와 금을 동시에 찾고 있다는 뜻입니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금까지 채굴된 금의 20%를 차곡차곡 금고에 쌓아두고 있습니다.

세계 금 보유고 1위는 미국!

다음은 유럽 국가들인데, 요새는 중국이 공격적으로 금을 모으고 있습니다.

민간 투자까지 몰려 금 소비량 세계 1위입니다.

[중국 상하이 시민 : "금 사려고 30분 줄섰어요 제 앞에 2백 명 있어서 최소 한시간 반은 기다려야겠네요."]

중국은 아프리카, 남미의 금광까지 투자하면서 금 생산량도 1위, 하지만 수출은 제한됩니다.

황금색 블랙홀처럼, 금을 빨아들이는 겁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1월 20일 취임식 : "미국의 황금시대가 지금 시작됩니다."]

여기에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는 트럼프의 정책은 금 값이 금값되는 '황금시대' 서막을 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 제작:박미주 여현수/자료 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돌반지 어디 뒀더라?”…금값 왜 계속 오르나
    • 입력 2025-02-14 21:31:59
    • 수정2025-02-15 08:03:55
    뉴스 9
[앵커]

최근 금값이 너무 오르다 보니, 예전에 받아 둔 돌반지 어디 없나 찾아 보게 됩니다.

금값이 오르는 건 공급보다 갖고 싶은 수요가 많기 때문일 텐데, 그렇다고 해도 너무 가파르게 치솟고 있습니다.

왜 그런 건지,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양민효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수천 년 동안 인류의 자산으로 군림해온, 금!

금의 가치는 바로 희소성입니다.

흔해지면 싸지고, 귀해지면 비싸집니다.

지구에 있는 전체 금의 양은 24만 톤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미 상당량을 파냈고, 이제 땅 속에 남은 건 6만 톤이 채 안됩니다.

금을 캐는 비용도 늘어서, 채굴량은 해마다 줄어드는데, 금 수요는 폭발하고 있습니다.

금값은 대체로 달러가 강세면 떨어지고, 달러가 약세면 올라가는 반비례 관계를 보여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년 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 추세가 깨졌습니다.

달러가 오르는데, 금도 같이 뛰는 겁니다.

가장 큰 이유는 '불확실성'입니다.

경제가 불안하니까, 금을 사들이는 큰손, 각국 중앙은행들이 안전자산인 금을 사들입니다.

[제임스 스틸/귀금속 애널리스트/미 CNBC 인터뷰 : "글로벌 금융 위기, 코로나 때처럼 달러와 금이 함께 오르는 일이 있었는데, 이는 늘 '나쁜 신호'입니다.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달러와 금을 동시에 찾고 있다는 뜻입니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지금까지 채굴된 금의 20%를 차곡차곡 금고에 쌓아두고 있습니다.

세계 금 보유고 1위는 미국!

다음은 유럽 국가들인데, 요새는 중국이 공격적으로 금을 모으고 있습니다.

민간 투자까지 몰려 금 소비량 세계 1위입니다.

[중국 상하이 시민 : "금 사려고 30분 줄섰어요 제 앞에 2백 명 있어서 최소 한시간 반은 기다려야겠네요."]

중국은 아프리카, 남미의 금광까지 투자하면서 금 생산량도 1위, 하지만 수출은 제한됩니다.

황금색 블랙홀처럼, 금을 빨아들이는 겁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1월 20일 취임식 : "미국의 황금시대가 지금 시작됩니다."]

여기에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는 트럼프의 정책은 금 값이 금값되는 '황금시대' 서막을 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민효입니다.

영상편집:이웅/그래픽 제작:박미주 여현수/자료 조사:김시온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