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헌재, 답 정해놓고 판단 서둘러”…야 “명태균 특검이 헌정질서 위한 길”
입력 2025.02.17 (14:02)
수정 2025.02.17 (1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대통령 탄핵심판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국민의힘은 '내란죄'를 입증할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거듭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 원인인 명태균 의혹을 규명하는 게 헌정 질서를 지키는 일이라며, 명태균 특검법 신속 처리를 촉구했습니다.
김청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비상계엄을 내란죄로 볼만한 분명한 사실이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재차 제기했습니다.
핵심 관계자들의 증언이 상충하고 논란의 소지가 많은데도 헌재가 답을 정해놓고 판단을 서두르고 있다는 겁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민주당의 기획 탄핵, 사기 탄핵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탄핵 결정에는)국민이 납득하고 수긍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뒷받침돼야 합니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오후 헌재를 직접 찾아 탄핵 심판이 불공정하다고 규탄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는 윤 대통령 부부의 부정선거와 정치자금법 위반 행위를 덮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안의 중대성에 비해 검찰의 수사 의지가 빈약하다면서, 민주당이 27일 본회의에서 표결 예정인 명태균 특검법을 요구하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란의 직접적 원인이 된 명태균 게이트에 대한 철저한 수사, 명태균 특검으로 내란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는 것은 민주주의를 지키고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법사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폭력 사태가 벌어졌던 서울 서부지방법원을 찾아 피해와 복구 현황을 둘러본 뒤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오늘 관훈클럽 토론에 나선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일각에서 거론되는 윤 대통령의 하야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고, 적절하지 않다"며 일축했습니다.
KBS 뉴스 김청윤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
대통령 탄핵심판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국민의힘은 '내란죄'를 입증할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거듭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 원인인 명태균 의혹을 규명하는 게 헌정 질서를 지키는 일이라며, 명태균 특검법 신속 처리를 촉구했습니다.
김청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비상계엄을 내란죄로 볼만한 분명한 사실이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재차 제기했습니다.
핵심 관계자들의 증언이 상충하고 논란의 소지가 많은데도 헌재가 답을 정해놓고 판단을 서두르고 있다는 겁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민주당의 기획 탄핵, 사기 탄핵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탄핵 결정에는)국민이 납득하고 수긍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뒷받침돼야 합니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오후 헌재를 직접 찾아 탄핵 심판이 불공정하다고 규탄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는 윤 대통령 부부의 부정선거와 정치자금법 위반 행위를 덮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안의 중대성에 비해 검찰의 수사 의지가 빈약하다면서, 민주당이 27일 본회의에서 표결 예정인 명태균 특검법을 요구하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란의 직접적 원인이 된 명태균 게이트에 대한 철저한 수사, 명태균 특검으로 내란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는 것은 민주주의를 지키고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법사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폭력 사태가 벌어졌던 서울 서부지방법원을 찾아 피해와 복구 현황을 둘러본 뒤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오늘 관훈클럽 토론에 나선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일각에서 거론되는 윤 대통령의 하야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고, 적절하지 않다"며 일축했습니다.
KBS 뉴스 김청윤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 “헌재, 답 정해놓고 판단 서둘러”…야 “명태균 특검이 헌정질서 위한 길”
-
- 입력 2025-02-17 14:02:48
- 수정2025-02-17 19:49:47

[앵커]
대통령 탄핵심판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국민의힘은 '내란죄'를 입증할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거듭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 원인인 명태균 의혹을 규명하는 게 헌정 질서를 지키는 일이라며, 명태균 특검법 신속 처리를 촉구했습니다.
김청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비상계엄을 내란죄로 볼만한 분명한 사실이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재차 제기했습니다.
핵심 관계자들의 증언이 상충하고 논란의 소지가 많은데도 헌재가 답을 정해놓고 판단을 서두르고 있다는 겁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민주당의 기획 탄핵, 사기 탄핵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탄핵 결정에는)국민이 납득하고 수긍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뒷받침돼야 합니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오후 헌재를 직접 찾아 탄핵 심판이 불공정하다고 규탄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는 윤 대통령 부부의 부정선거와 정치자금법 위반 행위를 덮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안의 중대성에 비해 검찰의 수사 의지가 빈약하다면서, 민주당이 27일 본회의에서 표결 예정인 명태균 특검법을 요구하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란의 직접적 원인이 된 명태균 게이트에 대한 철저한 수사, 명태균 특검으로 내란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는 것은 민주주의를 지키고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법사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폭력 사태가 벌어졌던 서울 서부지방법원을 찾아 피해와 복구 현황을 둘러본 뒤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오늘 관훈클럽 토론에 나선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일각에서 거론되는 윤 대통령의 하야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고, 적절하지 않다"며 일축했습니다.
KBS 뉴스 김청윤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
대통령 탄핵심판이 막바지에 접어든 가운데, 국민의힘은 '내란죄'를 입증할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거듭 비판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 원인인 명태균 의혹을 규명하는 게 헌정 질서를 지키는 일이라며, 명태균 특검법 신속 처리를 촉구했습니다.
김청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민의힘은 비상계엄을 내란죄로 볼만한 분명한 사실이 없다며 헌재의 공정성 문제를 재차 제기했습니다.
핵심 관계자들의 증언이 상충하고 논란의 소지가 많은데도 헌재가 답을 정해놓고 판단을 서두르고 있다는 겁니다.
[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 "민주당의 기획 탄핵, 사기 탄핵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탄핵 결정에는)국민이 납득하고 수긍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뒷받침돼야 합니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오후 헌재를 직접 찾아 탄핵 심판이 불공정하다고 규탄했습니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선포는 윤 대통령 부부의 부정선거와 정치자금법 위반 행위를 덮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안의 중대성에 비해 검찰의 수사 의지가 빈약하다면서, 민주당이 27일 본회의에서 표결 예정인 명태균 특검법을 요구하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찬대/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내란의 직접적 원인이 된 명태균 게이트에 대한 철저한 수사, 명태균 특검으로 내란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는 것은 민주주의를 지키고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법사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폭력 사태가 벌어졌던 서울 서부지방법원을 찾아 피해와 복구 현황을 둘러본 뒤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오늘 관훈클럽 토론에 나선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일각에서 거론되는 윤 대통령의 하야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고, 적절하지 않다"며 일축했습니다.
KBS 뉴스 김청윤입니다.
영상편집:조완기
-
-
김청윤 기자 cyworld@kbs.co.kr
김청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