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기의 핫클립] 줄줄이 문 닫는 카페…출점경쟁에 계엄까지

입력 2025.02.17 (18:10) 수정 2025.02.17 (1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얼죽아,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라고 하죠?

졸린 월요일 얼죽아로 시작한 분들 많을 겁니다.

하지만 여전히 기억 저 편엔 아아도 뜨아도 아닌 다방 커피가 생생하실 겁니다.

["채권자인 모 씨로부터 구타를 당한 이 고물 상인은 우연히 다방에서 기자를 만나..."]

전쟁의 상흔이 남은 50년대, 유일한 만남의 장소 다방이었습니다.

여기서 시작된 게 바로 커피 문화였죠.

원두 가루 두 스푼, 설탕 둘, 크림 둘 여기에 달걀노른자 띄우고 참기름 가미한 다방식 모닝커피가 유행이던 시절입니다.

[1990년 광고 : "가슴이 따뜻한 사람과 만나고 싶다."]

한국이 낳은 발명품 믹스 커피 이후 커피 없이 못 산다는 말이 여기저기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1999년 스타벅스 1호점과 함께 커피도 체인 시대 밥보다 비싼 커피란 말이 나오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텁니다.

이 무렵 급성장하다 밀려난 카페베네 같은 체인도 있었습니다.

["소비자들은 환율이 떨어졌는데도 값을 올린다며 냉담한 반응을..."]

고물가에 고금리 살림이 팍팍해지면서 결국 대세는 저가 커피로 넘어갔습니다.

빽다방, 메가커피, 컴포즈 아메리카노 한 잔에 1,500원 가성비를 무기로 밥심도 빵심도 아닌 한국인의 커피심을 파고들었습니다.

문제는 출혈 경쟁 가맹점이 많아도 너무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저가 커피 3사 매장 수는 4년 전 3천 8백여 곳에서 최근 약 8천 곳으로 두 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저가 커피 체인이 동네에 새로 들어오면 기존 개인 카페들부터 타격을 입습니다.

체인별로 출점 거리 제한을 두고 있지만 타 브랜드 간에는 적용되지 않다 보니 서울 지역 카페 절반은 문을 연 지 3년 안에 폐업합니다.

지난 3분기 기준으로 서울에서만 하루 평균 15개 카페가 문을 닫습니다.

[집회 현장 인근 카페 직원/지난해 12월 : "100잔 선결제하고 싶은데 할 수 있나.. 오시는 분들 제 이름 얘기하면 드리면 된다고.."]

선결제 응원 문화가 퍼졌지만, 상당수 카페는 계엄 사태 이후 소비심리 위축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힘든 누군가에게 전하는 따스한 커피 한 잔.

소자본 창업이 가능했던 카페까지 벼랑에 몰리면서, 자영업 사장님들의 겨울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고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박대기의 핫클립] 줄줄이 문 닫는 카페…출점경쟁에 계엄까지
    • 입력 2025-02-17 18:10:22
    • 수정2025-02-17 18:20:42
    경제콘서트
박대기의 핫클립입니다.

얼죽아,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라고 하죠?

졸린 월요일 얼죽아로 시작한 분들 많을 겁니다.

하지만 여전히 기억 저 편엔 아아도 뜨아도 아닌 다방 커피가 생생하실 겁니다.

["채권자인 모 씨로부터 구타를 당한 이 고물 상인은 우연히 다방에서 기자를 만나..."]

전쟁의 상흔이 남은 50년대, 유일한 만남의 장소 다방이었습니다.

여기서 시작된 게 바로 커피 문화였죠.

원두 가루 두 스푼, 설탕 둘, 크림 둘 여기에 달걀노른자 띄우고 참기름 가미한 다방식 모닝커피가 유행이던 시절입니다.

[1990년 광고 : "가슴이 따뜻한 사람과 만나고 싶다."]

한국이 낳은 발명품 믹스 커피 이후 커피 없이 못 산다는 말이 여기저기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1999년 스타벅스 1호점과 함께 커피도 체인 시대 밥보다 비싼 커피란 말이 나오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텁니다.

이 무렵 급성장하다 밀려난 카페베네 같은 체인도 있었습니다.

["소비자들은 환율이 떨어졌는데도 값을 올린다며 냉담한 반응을..."]

고물가에 고금리 살림이 팍팍해지면서 결국 대세는 저가 커피로 넘어갔습니다.

빽다방, 메가커피, 컴포즈 아메리카노 한 잔에 1,500원 가성비를 무기로 밥심도 빵심도 아닌 한국인의 커피심을 파고들었습니다.

문제는 출혈 경쟁 가맹점이 많아도 너무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저가 커피 3사 매장 수는 4년 전 3천 8백여 곳에서 최근 약 8천 곳으로 두 배 넘게 급증했습니다.

저가 커피 체인이 동네에 새로 들어오면 기존 개인 카페들부터 타격을 입습니다.

체인별로 출점 거리 제한을 두고 있지만 타 브랜드 간에는 적용되지 않다 보니 서울 지역 카페 절반은 문을 연 지 3년 안에 폐업합니다.

지난 3분기 기준으로 서울에서만 하루 평균 15개 카페가 문을 닫습니다.

[집회 현장 인근 카페 직원/지난해 12월 : "100잔 선결제하고 싶은데 할 수 있나.. 오시는 분들 제 이름 얘기하면 드리면 된다고.."]

선결제 응원 문화가 퍼졌지만, 상당수 카페는 계엄 사태 이후 소비심리 위축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힘든 누군가에게 전하는 따스한 커피 한 잔.

소자본 창업이 가능했던 카페까지 벼랑에 몰리면서, 자영업 사장님들의 겨울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박대기의 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고응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