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모든 시군 지방소멸위험 악화…“전주도 안심 못해”
입력 2025.02.18 (07:35)
수정 2025.02.18 (0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전북 모든 시군의 소멸위험지수가 한 해 전보다 더 나빠졌습니다.
전주를 제외한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고, 하락 폭이 큰 전주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수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시민단체가 지난해 말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지방소멸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전북도 등 8개 시도가 4등급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습니다.
전북 14개 시군도 한 해 사이 소멸위험지수가 더 악화했습니다.
전주시를 뺀 익산, 군산 등 5개 시와 완주군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7개 군 지역은 여전히 소멸고위험지역입니다.
전주시의 지방소멸지수는 0.641로, 3등급 '주의' 단계지만, 전북 14개 시군 가운데 하락 폭이 가장 큽니다.
지방소멸위험에서 전주도 안심할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손문선/좋은정치시민넷 대표 : "전주시는 젊은 인구들이 빠져나갔다고 할 수 있거든요. 지역 내 이동이 있었다는 것이고, 전주시 인구가 완주로 이동했지 않겠는가 (생각합니다.)"]
다만 완주군과 순창군은 지난해보다 인구가 증가해 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을 최소화했습니다.
["순창군과 완주군이 양호한 편으로, (지방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이 적기 때문에 이쪽에서 어떤 사업을 했는지 전북도가 면밀히 연구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고요."]
소멸위험지수는 만 20살에서 39살까지 여성 인구를 65살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낮을 수록 고위험 지역을 뜻합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지난해 전북 모든 시군의 소멸위험지수가 한 해 전보다 더 나빠졌습니다.
전주를 제외한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고, 하락 폭이 큰 전주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수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시민단체가 지난해 말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지방소멸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전북도 등 8개 시도가 4등급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습니다.
전북 14개 시군도 한 해 사이 소멸위험지수가 더 악화했습니다.
전주시를 뺀 익산, 군산 등 5개 시와 완주군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7개 군 지역은 여전히 소멸고위험지역입니다.
전주시의 지방소멸지수는 0.641로, 3등급 '주의' 단계지만, 전북 14개 시군 가운데 하락 폭이 가장 큽니다.
지방소멸위험에서 전주도 안심할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손문선/좋은정치시민넷 대표 : "전주시는 젊은 인구들이 빠져나갔다고 할 수 있거든요. 지역 내 이동이 있었다는 것이고, 전주시 인구가 완주로 이동했지 않겠는가 (생각합니다.)"]
다만 완주군과 순창군은 지난해보다 인구가 증가해 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을 최소화했습니다.
["순창군과 완주군이 양호한 편으로, (지방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이 적기 때문에 이쪽에서 어떤 사업을 했는지 전북도가 면밀히 연구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고요."]
소멸위험지수는 만 20살에서 39살까지 여성 인구를 65살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낮을 수록 고위험 지역을 뜻합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북 모든 시군 지방소멸위험 악화…“전주도 안심 못해”
-
- 입력 2025-02-18 07:35:34
- 수정2025-02-18 09:19:44

[앵커]
지난해 전북 모든 시군의 소멸위험지수가 한 해 전보다 더 나빠졌습니다.
전주를 제외한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고, 하락 폭이 큰 전주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수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시민단체가 지난해 말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지방소멸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전북도 등 8개 시도가 4등급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습니다.
전북 14개 시군도 한 해 사이 소멸위험지수가 더 악화했습니다.
전주시를 뺀 익산, 군산 등 5개 시와 완주군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7개 군 지역은 여전히 소멸고위험지역입니다.
전주시의 지방소멸지수는 0.641로, 3등급 '주의' 단계지만, 전북 14개 시군 가운데 하락 폭이 가장 큽니다.
지방소멸위험에서 전주도 안심할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손문선/좋은정치시민넷 대표 : "전주시는 젊은 인구들이 빠져나갔다고 할 수 있거든요. 지역 내 이동이 있었다는 것이고, 전주시 인구가 완주로 이동했지 않겠는가 (생각합니다.)"]
다만 완주군과 순창군은 지난해보다 인구가 증가해 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을 최소화했습니다.
["순창군과 완주군이 양호한 편으로, (지방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이 적기 때문에 이쪽에서 어떤 사업을 했는지 전북도가 면밀히 연구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고요."]
소멸위험지수는 만 20살에서 39살까지 여성 인구를 65살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낮을 수록 고위험 지역을 뜻합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지난해 전북 모든 시군의 소멸위험지수가 한 해 전보다 더 나빠졌습니다.
전주를 제외한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고, 하락 폭이 큰 전주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수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시민단체가 지난해 말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지방소멸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전북도 등 8개 시도가 4등급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습니다.
전북 14개 시군도 한 해 사이 소멸위험지수가 더 악화했습니다.
전주시를 뺀 익산, 군산 등 5개 시와 완주군은 소멸위험진입 단계, 7개 군 지역은 여전히 소멸고위험지역입니다.
전주시의 지방소멸지수는 0.641로, 3등급 '주의' 단계지만, 전북 14개 시군 가운데 하락 폭이 가장 큽니다.
지방소멸위험에서 전주도 안심할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손문선/좋은정치시민넷 대표 : "전주시는 젊은 인구들이 빠져나갔다고 할 수 있거든요. 지역 내 이동이 있었다는 것이고, 전주시 인구가 완주로 이동했지 않겠는가 (생각합니다.)"]
다만 완주군과 순창군은 지난해보다 인구가 증가해 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을 최소화했습니다.
["순창군과 완주군이 양호한 편으로, (지방소멸위험)지수 하락 폭이 적기 때문에 이쪽에서 어떤 사업을 했는지 전북도가 면밀히 연구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고요."]
소멸위험지수는 만 20살에서 39살까지 여성 인구를 65살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수치가 낮을 수록 고위험 지역을 뜻합니다.
KBS 뉴스 이수진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
-
이수진 기자 elpis1004@kbs.co.kr
이수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